저어새
[image]
[clearfix]
1. 개요
사다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조류의 일종. 근연종으로는 노랑부리저어새가 있다.
2. 특징
몸길이는 75 cm 정도고, 몸은 하얀색이고,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부리는 주걱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 부리를 좌우로 저으면서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저어새'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영어로는 부리 모양을 본따 spoonbill이라고 한다.
얕은 바닷가나 갯벌, 갈대밭, 논 등에 서식하며, 물고기, 개구리, 수생곤충 등을 먹는다.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경계심이 강하다. 5월에 알 4~6개를 낳는다.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등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27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 1급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노랑부리저어새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하여 보호받는다. 주요 서식지인 한반도 서해안의 갯벌이 시화호, 새만금 등 간척사업과 인천국제공항, 송도국제도시 건설 등의 매립으로 면적이 점차 줄어들면서 위협받는 종이다.
갓 태어난 새끼 또한 주둥이가 비교적 넓고 납작하다.
위에 언급되었듯이 동아시아에 한정하여 분포하며, 여름 동안에는 전 세계 번식집단의 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안의 무인도에서 번식한다.[1]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 나름 심각한 멸종위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서해안의 갯벌 지역에서는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다만 겨울에는 대만, 중국 등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며, 최북단 월동장소는 제주도로 알려져 있다. 근연종인 노랑부리저어새는 한반도에서는 겨울철새로, 저어새와는 달리 겨울에 도래한다.
수도권에서 저어새를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장소는 아마도 인천광역시의 남동유수지이다. 원래 인천광역시 남동구, 연수구 일대는 상당한 면적이 갯벌을 매립한 지역인데, 이 때 홍수방지용으로 남겨 둔 유수지에서 2009년부터 저어새가 번식하고 있다. 원래 무인도에서나 번식하는 천연기념물 저어새가 도시 한가운데서 번식을 시작했으니 처음에는 상당한 이슈거리였다. 사실 이곳의 서식환경이 좋아서 찾아왔다기보다는 인근 갯벌이 대부분 매립된 후 저어새가 쉴 수 있는 곳이 그곳밖에 남지 않았다...그 넓은 송도 갯벌을 다 메워 버렸으니... 언젠가 인천광역시의 시조(市鳥)를 두루미에서 저어새로 바꾸자는 제안이 나온 적이 있는데, 실상은 인천광역시가 저어새에게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상황.
그 외에는 서울대공원에 전시해 놓은 노랑부리저어새가 상당히 개체수가 많다.
3. 기타
[1] 지상에 둥지를 트는 새라서 쥐나 고양이 같은 지상 포식자가 없어야 번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