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혜린

 


[image]
田惠麟
1934년 1월 1일 ~ 1965년 1월 10일 (향년 만 31세).

그러나 가끔 나는 내 피부 속에서 불안을 느낄 때가 있다. 좁은 껍질 속에 감금되어 있는 정신의 중량이 확 느껴지고 파괴 의욕을 느낄 때가 있다. 무언지 일격이 내 머리 위에 떨어질 것을 기다리는 그런 때다. '''이 반 의식 상태를 활짝 갠 의식 상태로 바꿔주고 이 반 소망된 생활을 열렬히 소망된 생으로 만들 무엇이 하루아침에 갑자기 나타날 것을 기다린다.''' 요술 지팡이를 기다리듯.

저서 「목마른 계절」 中

1. 개요
2. 생애
3. 설명
4. 저서
4.1. 역서


1. 개요


한국의 번역가이자 수필가.

2. 생애


1934년 평안남도 순천군에서 전봉덕[1]의 1남 7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1952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였다. 1955년 문리과대학 독어독문학과로 전과하고 독일로 유학하였다.1959년 독일 뮌헨대학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이 학교 조교로 근무하였다. 유학 중이던 1955년 가톨릭에 귀의하여 막달레나(Magdalena)라는 세례명으로 세례성사를 받았다. 한국에서부터 만나던 김철수와 독일에서 혼인하여 딸 김정화를 낳았다.
독일로 유학을 떠난 것은 당시 기준으로 대단한 특권이지만 생활비는 원활하게 조달되지 않았던 것 같다. 전혜린의 독일 시절 기록에는 번역으로 돈을 버는 과정에서 피로와 불안이 들어있다. 돈이 완전히 떨어져 일생에서 처음으로 일주일 동안 물배를 채우며 굶어봤다는 내용도 있다.
1959년 5월 귀국하여 경기여자고등학교, 공주사범대학 독어교육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이화여자대학교의 교강사를 거쳤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강사를 지낼 때에는 서울대학교 독문학 동아리인 독우회를 지도하였다.[2] 1964년 김철수와 이혼했다. 그 후 성균관대학교 독문학과 조교수가 된다.
1965년 1월 10일, 서울 중구 자택에서 31세로 자살하였다.
독일 유학시절부터 헤르만 헤세 등 독일작가들의 작품을 수 권 번역하였다. 사망 후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가 발간되었다.

3. 설명


요절한 천재를 이야기할 때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다. 전혜린이 번역한 독일 소설들은 당시 호평을 받으며 '전혜린 신드롬'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사후 출판된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는 한국을 대표하는 수필집 중 하나로 여겨진다.
순수와 진실을 추구하고 정신적 자유를 갈망하던 전혜린의 모습은 지금까지도 당대의 새로운 여성상으로 평가받는 한편, 완벽한 정신세계를 지향하는 지성적인 현대 여성의 심리로서 분석된다.
전혜린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일화가 있다. 김철수는 후에 재혼하였는데 부인이 평생동안 전 부인인 전혜린의 제사를 지내고, 자신이 낳은 자식들도 제사에 참석하게 했다고 한다.
전혜린이 천재로 유명세를 떨친 것은 맞지만, 앞으로도 계속 한국의 천재로 기억될 지는 알 수 없다. 전혜린은 일찍 세상을 떠났기에 이렇다 할 성과물이 없고, 31세까지를 기준으로 더 많은 업적과 성과를 남긴 문인들이 있다. 소싯적 전혜린의 글을 탐미하던 여성이 나이가 들어 전혜린의 글이 그렇게 대단하지 않다고 생각하기도 한다.[3]
2004년에 방영한 EBS 드라마 <명동백작>과 <지금도 마로니에는>에서 전혜린의 일생을 간략히 다룬다. 배우 이재은이 전혜린 역을 맡아 연기하였다.

4. 저서


  •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1966년
  •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 1968년
  • 《목마른 계절》. 1994년

4.1. 역서


  • 프랑수아즈 사강 《어떤 미소》(Un certain sourire). 1956년
  • 에른스트 슈나벨 《안네 프랑크 : 한 소녀의 걸어온 길》(Anne Frank). 1958년
  • 이미륵 《압록강은 흐른다》(Der Yalu Fliesst). 1959년
  • 에리히 캐스트너 《파비안》(Fabian). 1960년
  • 루이제 린저 《생의 한 가운데》(Mitte des Lebens). 1961년
  • H.게스턴 《에밀리에》. 1963년
  • W.막시모프 《그래도 인간은 산다》. 1963년
  • 하인리히 뵐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Und Sagte kein Einziges Wort). 1964년
  • 하인리히 노바크 《태양병》. 1965년
  • 헤르만 헤세데미안》. 2013년

[1] 경성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의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였다. 일제강점기 친일 경찰로 활동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2] 노태우 정부의 실세였던 박철언이 당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생으로 독우회 멤버였다고 한다. [3] 이와 관련한 내용은 2017년에 출간된 김용언의 《문학소녀 (전혜린, 그리고 읽고 쓰는 여자들을 위한 변호)》라는 책을 참조하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