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언신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유학자로 우의정, 병조판서 등을 지냈다. 니탕개의 난을 진압하는 등 공도 세웠으나 정여립과 친척(9촌)이었으며, 그와 서신을 주고 받았던 탓에 기축옥사 당시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다.
2. 본문
2.1. 생애
조선 중기 문신이다. 전주 지역의 명문가 출신으로 부친은 영의정에 추증된 정진(鄭振)이며, 조부는 좌찬성에 추증된 정홍손(鄭洪孫)이다. 친형 정언지(鄭彦智) 또한 이조 참판을 지냈다.[2]
1566년 명종 21년에 40세의 나이로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71년에는 전라도 도사를 지내고 이후에는 사헌부에서 경력을 쌓다가 1579년 경기도관찰사로 임명된다. 1582년 여진족 니탕개가 니탕개의 난을 일으켰다. 이에 선조는 정언신을 우참찬으로 승진시키며 함경도 도순찰사를 겸직시키며 종언신에게 이 니탕개의 난을 진압할 것을 명했다. 이에 정언신은 신립, 이일, 이순신, 김시민, 이억기 등의 장수들을 이끌고 난을 성공적으로 진압했으며,[3] 녹둔도에 둔전을 설치하고 병사를 주둔시켰다. 선조는 난을 진압한 정언신을 함경도 관찰사에 임명했다. 1587년 병조판서를 거쳐 1588년에는 우참찬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589년에는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2.2. 정여립의 난
1589년 9촌 친척인 정여립이 모반 혐의를 받게 된다. 처음에는 정언신은 이를 조사하는 위관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정철이 정언신이 정여립과 혈연관계임을 지적하면서 상황이 달라진다. 정언신은 위관은 물론 우의정 자리까지 사직했으나 사헌부와 사간원에서는 정언신도 조사할 것을 청했다. 결국 정언신은 정여립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옥에 갇히게 된다.[4] 이 때의 일화가 한가지 있는데, 평소 친분이 있던 선전관 이응표가 정언신의 이름이 들어간 서신을 모두 제거하고 이를 정언신에게 알렸다. 이를 믿은 정언신은 선조에게 정여립과 서신을 주고 받은 적이 없음을 주장했지만... 宗老信(종가의 늙은이 언신)이라고 적은 글이 무더기로 나와 처벌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무신이던 이응표가 당시 문인들이 멋부려서 자신을 칭하는 말을 이해하지 못해 일어난 일. 정언신은 유배형에 처해졌으며 유배지인 갑산에서 사망한다. 기축옥사의 대표적인 희생자 중 하나인 셈.
3. 여담
이항복은 정언신이 사망하자 몰래 찾아가 관속에 만언시(挽人詩)를 지어 넣어 애도의 뜻을 표했다. 선조도 정언신의 사후에는 그의 죽음을 후회하고 복권시켜주었다.
군사적 재능은 확실히 뛰어났는지 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병조판서 황정욱은 정언신이 있었으면 왜적에 이렇게 짓밟히지는 않았을 거라고 탄식했으며, 류성룡도 징비록에서 임란 시기에 그가 없음을 아쉬워했다.
비록 정언신은 억울하게 얽혀 죽었지만, 완전히 집안 자체가 풍비박살난 이발과는 다르게 손자 정세규도 이조판서를 지내는 등, 자손대에까지 피해가 크진 않았다.
[1] 유배지[2] 형 정언지 역시 정언신과 마찬가지로 정여립의 난에 엮여 고초를 겪었다. 다만 정언지는 임진왜란이 터지자 한성부 좌판윤으로 복관되었다.[3] 이 때 함께했던 장수들은 임진왜란 때도 명성을 떨치게 된다. 참고로 이순신의 경우는 정언신이 선조에게 직접 유능한 장수로 추천하기도 했다.[4] 이 때 정언신이 추천했던 이순신도 옥에 찾아왔다고도 한다. 이 때문에 이순신이 정읍현감으로 좌천되었다는 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