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은

 

'''이름'''
최지은 (崔芝銀)
'''출생'''
1980년 11월 21일 (43세)
부산광역시
'''학력'''
여고초등학교 (졸업)
거제여자중학교 (졸업)
명덕외국어고등학교 (졸업)
서강대학교 (경제학 / 학사)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행정학, 국제개발학 / 석사)
옥스포드대학교 대학원 (국제개발학 / 박사)
'''소속 정당'''

'''현직'''
더불어민주당 국제대변인
더불어민주당 가덕신공항 유치특위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북구·강서구 을 지역위원장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옥스포드 대학교 기술경영개발센터 연구위원
'''경력'''
세계은행 시니어 이코노미스트
아프리카개발은행 시니어 이코노미스트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수출업무담당
'''링크'''

1. 개요
2. 생애
3. 정치 활동
3.2. 선거 이후 활동
3.2.1. 가덕신공항 관련 활동
3.2.2. 부산광역시장 후보군 거론
4. 사건사고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경제학자 출신 정치인.

2. 생애


1980년 부산광역시 출신으로 명덕외국어고등학교,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서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에 4년간 근무했다.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에서 행정학과 국제개발학 석사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국제개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북한에 대한 관심으로 개발 경제를 전공, 하버드 재학 시절 여러 시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정치 상황으로 북한 일을 할수 없게 되자, 다른 체제전환국에서의 경험을 언젠가 북한에 응용하겠다며 국제금융기구에 입사했다고 한다.
2009년 한국인 최초로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에 입사, 사하라 이남의 가장 가난한 나라들에서 차관 사업을 수행했다 [2]. 2011년 자스민 혁명 당시 이집트 담당 이코노미스트로 근무하며 이집트 경제 안정화를 위한 사업을 수행하기도 했다. 당시 혁명 발발의 주요 원인을 '고용없는 성장'으로 진단하고, 그 해결방안으로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을 제시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2013년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세계은행 본사에 이코노미스트로 영입되어, 중앙아시아 및 동유럽 등 체제 전환 국가들의 시장 개방, 산업 경쟁력 제고 및 제도 개혁 등의 업무를 맡았다. 2015년 키프로스의 통일 협상시 북키프로스의 통일 준비를 위한 실무 정책을 지원했다.# 여러 나라의 경제 정책을 평가한 학술 논문 및 정책 보고서를 출판했는데, 2019년에 공저한 "미래의 일자리 보고서#는 세계 유수 경제지와 IMF, UN 등 국제기구, 그리고 브루킹스 연구소, CSIS 같은 해외 유력 싱크탱크들로부터 주목받았다.#.
2020년 초까지 세계은행에서 중국 담당 시니어 이코노미스트로 근무하여 중국 재정근대화 사업 등을 지휘하며 국제경제 전문가로 활동했다.

'''최지은 소개 영상'''

3. 정치 활동



3.1. 21대 총선


21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에 인재 영입으로 영입되면서 정치에 입문하였다. 노무현의 마지막 지역구인 부산 북구·강서구 을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상대 후보가 지역 토박이 출신 중진[3] 국회의원 김도읍이고, 짧은 선거운동 기간, 부족한 인지도와 연고[4], 막판의 보수 결집[5]# 등의 요인으로 석패하였다. 또한,부산 북구·강서구 을은 가덕도와 김해공항이 모두 있는 지역구로, 신공항에 대한 정부 입장 발표 지연으로 여당에 대한 여론이 악화된 상황이었다.
19대 총선 때 김도읍에게 석패한 문성근[6]보다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부족함에도, 노무현 전 대통령을 포함한 민주당 후보가 한번도 이겨보지 못한 험지 중의 험지에서 청년, 여성 후보가 지역구 역대 최소표차로 (8.83%) 석패한 것에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또한 한 동에서나마 적은 표차지만 이긴 곳이 있기 때문에 꽤 놀라운 결과였다. 21대 영입 인재 대부분이 수도권, 호남지역 출마로 당선했음에도 불구하고 험지에 출마했고, 좋은 성적으로 낙선하게 되자, 지난 총선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낙선이 가장 아쉬운 후보로 꼽혔다.##

3.2. 선거 이후 활동


2020년 5월 4일 더불어민주당 국제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이후 외교, 통상 등의 민감한 사안에 대한 당의 입장을 해외에 전략적으로 설명하고, 정당 외교를 강화했다는 평을 받는다. 민주당 최초로 외신 브리핑을 하고 있으며, 해외 방송 및 언론에서도 종종 볼수 있다.
낙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의 경제, 외교, 정당 혁신을 다루는 여러 위원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국가경제자문회의 위원, 더혁신위원회 위원, 한반도 TF 위원 등 주요 역할을 맡아 당의 정책 기획과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국민성장분과에서 기재부, 산업부 담당 국정과제에 정책 자문을 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3.2.1. 가덕신공항 관련 활동


최근의 동남권 신공항 이슈와 관련해 가덕신공항 유치를 적극적으로 밀고 있다. 2020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전 최지은이 이낙연, 김부겸, 박주민 세 후보에게 질문지를 보내 세명의 당대표 후보 모두에게 가덕신공항 유치 약속을 받아냈다.# 당시 김부겸 후보는 "최지은이 가덕신공항 안하면 부산에 발도 못 붙이게 한다"며 농담을 했다고 한다.
이후 부산시당 가덕신공항 유치특위 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가덕신공항 및 부산 경제 관련 정책 토론과 시민 소통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가덕신공항 유치가 서부산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공항 배후도시 및 물류단지 조성 계획을 밝힌바 있으며, 유통, 의료, 첨단 산업 분야에서 민간 투자 유치를 위해 정부가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가덕신공항이 고추 말리는 공항이 될것이라는 야권의 발언을 강하게 비난했으며 #,‘가덕공항공사’를 부산시와 부산시민들이 주주가 되는 방식으로 설계해서 공항 수익을 시민들이 나누고 부산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을 주장한다#.

3.2.2. 부산광역시장 후보군 거론


2021년 재보궐선거부산광역시장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 # #.
실제로 2020년 12월 프라임경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자들로 부터 15.6%, 전체 지지율 7.8%로 2위다. 아시아경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자들로 부터 11.5%로 김해영을 앞지르고 2위다. 2021년 1월 KSOI 부산시장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타 후보들이 출마선언 및 선거운동 중인 반면 출마 선언도 하지 않은 최지은이 월등한 2위다. 젋은층, 여성, 서부산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은 편이다.

4. 사건사고


  • 이중당적 논란이 발생한 적이 있는데, 2020년 총선 예비 경선 후보자가 민주당원을 사칭한 지인으로 하여금 민주당의 조강특위를 앞두고 최지은에 대한 허위 사실을 고의적으로 퍼트린 것으로 밝혀졌다. 논란의 발단은 최지은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던 2010년 당시 한나라당 구청장 예비후보자가 경선을 위해 당사자도 모르게 추천인으로 한나라당에 입당시킨 사안이였다.# 논란이 발생하자 여러 사람들이 비슷한 일을 당했다고 밝혔는데, 당시에는 본인 확인 없이 당에 가입시킬수 있었다고 한다.# 향후 유사한 일을 방지하기 위해, 2020년 민주당은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당원 가입시 본인 확인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2020 -
정계 입문

6.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북·강서 을)
더불어민주당
63,146 (43.20%)
낙선 (2위)



[1] 화려한 학벌을 가지고 있지만 IMF 때 부도난 가정환경으로 대학부터 자력으로 공부했다고 한다[2] 1980년대 한국이 AfDB 회원국이 된 이후 최초의 한국인 정규직원이다. 하버드 졸업 당시 홍콩에 있는 투자 은행에서도 채용 기회가 있었으나 부자를 더 부자로 만드는 일 보다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경제학자가 되겠다며 아프리카로 갔다고 한다[3] 21대 국회에 입성한 후에는 3선이 된다.[4] 최지은 후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나온 동래구, 연제구와 본가가 있는 기장군에만 연고가 있지만 출마 지역엔 연고가 없었다. 반면에 김도읍은 강서구 토박이에다가 대학교까지 전부 부산에서 다녔다(동아대학교).[5] 투표 직전 다수 여론조사에서 최지은의 역전승을 점쳤다. 유시민 180석 발언 논란 이후 일부 지역에서 보수결집이 되었다는 분석이 있는데 부산이 대표적이다.[6] 친노계인 유력 인사이자, 문익환의 아들로 인지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