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릭 테이킹
- 영어: Trick-Taking
1. 소개
카드게임의 한 장르로, 주로 플레잉 카드를 쓰는 카드게임에서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트릭은 모든 카드를 한 차례씩 내는, 하나의 라운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트릭을 가져온다는 뜻이므로, 해당 트릭에서 승리를 하고 트릭을 가져오는 형태를 취한다.
이 트릭 테이킹 게임의 개념이 생성된 것이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지만, 동양에서는 종이의 발명으로 인한 마조가 생성과 거의 동시에 유래[1]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에서는 옴브레에서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아무튼 카드의 발명만큼 오래된 것만은 사실이며, 현재 게임의 종류도 수백가지가 넘을 정도로 다양하다. 나무위키에 등재된 유명한 트릭 테이킹 게임으로는 콘트랙트 브리지, 하트, 마이티가 있다.
기본적인 게임 개념은 간단하지만, 대부분 준비과정(패 교환) 등의 세부 규칙 생겨난다. 하지만 트릭 테이킹이라는 장르의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 게임별 규칙과 트릭 테이킹의 설명을 섞어서 하게 되면, 굉장히 게임이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며, 점수 계산까지 해야 하는 것 처럼 보이는 문턱 높은 게임이 되어버리는데, 세부 규칙은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게임방법을 숙지한 사람이 지적하면서 하는게, 주변에 전도(...)하기가 쉽다. 이런 이유로 항목 상단에 해당되는 게임 목록을 올려놓았다.
티츄처럼 어느 한 사람이 이길 때까지 계속 내다가 지는 장르는 트릭 테이킹처럼 보이지만 사실 '''클라이밍 계열'''이다.__
2. 초간단 규칙 설명
트릭 테이킹 게임의 경우 대부분의 게임 진행은 다음과 같은데
- 0. 덱을 남는거 없이 전부 균등하게 나누고
- 1. 내고(트릭)
- 2. 낸것을 먹고(테이킹)
- 3. 패가 다 떨어질 때까지 점수를 계산한다
- 4. 게임에 따라 다르지만 다시 0으로 돌아가거나, 게임을 종료한다.
3. 트릭 테이킹에 속하는 게임들
3.1. 플레잉 카드로 하는 게임
보편적으로 2명의 한 팀이 마주앉는 4인용 파트너십 형식
- 휘스트: 모든 트릭 테이킹의 기초 게임이자, 콘트락트 브리지의 원조 게임.
- 콘트락트 브리지
- 스페이드: 스페이드가 으뜸패로 고정되어 있다.
- 텍사스 42: 특이하게도 도미노를 사용한다.
- 피노클: A부터 9까지 덱을 2개 쓴다.
두 사람이서 하는 형식
모양에 따라 패의 우열이 달라지는 형식
- 옴브레: 서양의 모든 트릭 테이킹 게임의 조상
- Spoil Five
- 프랑스식 타로
- 수투(殊鬪)/수투전(數鬪牋)
- 간지파, 두기: 해당 문서의 1번 항목을 사용한다.
그 외
- 하트: 점수 카드를 덜 먹는 게임
3.2. 상업 보드게임
- 위저드
- 캐년
- 콤파네로스
- 널운트니흐트
- 슈티헤른
- 크로니클
- 까마귀와 물병
- 스티키마이스터
- 사룡
- 지킬 앤 하이드
- 블랙스파이
- 보틀임프
- 숲 속의 여우
- 스컬킹
4. 부가설명
게임에 따라서 달라지는 점은 주로
- 1.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내야하는지
보통은 처음 사람이 아무 패를 내고, 그 패의 모양에 맞춰서 낸다.
- 2. 낸것을 어떨때 먹게 되는지
보통 플레이어들이 한 장씩 내면 가장 강한 선도 수트의 카드를 낸 사람이 가져간다.
- 3. 점수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보통 오드 트릭(이긴 트릭의 수-7)이나 트릭에 포함된 점수 카드로 계산한다.
- 4 그리고 최종 승리 규칙이 뭔지
보편적으로 7트릭 이상 이기거나, 공약한 그 이상만큼 이기면 점수를 얻고, 일정 점수(500점 등)에 먼저 닿은 편이 이긴다.
이 세부 규칙에 따라서 게임의 개성이 결정되는데, 크게 비드한 만큼 또는 그 이상을 성립시키거나 이를 막는 경우, 마이티나 Belote처럼 다른 카드를 이용해서 특정 카드를 '''먹는''' 경우와 하트처럼 마이너스점을 피하기 위해서 최대한 남에게 '''먹이는''' 경우의 게임으로 나눌수 있는데, 이렇기 때문에 준비물은 굉장히 단순해도, 잘 하게 되면 굉장히 머리를 쓰게되고 큰 전략성이 있는 게임 장르이다. 상업적 트릭 테이킹 게임은 플레잉 카드와는 차이가 나는, 주로 글자 없는 카드로 진행하는 게임이기에, 설명도 잘하면 단순하고, 일반 트럼프로도 적당히 덱을 두세벌 준비해서 적당히 숫자나 표기만 해주면 플레이가 가능하다.
5. 게임의 진행 및 용어 설명
트릭테이킹 게임의 기본적인 진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드를 모든 플레이어에게 동일하게 분배하고, 선 플레이어가 자신이 가진 카드 중 1장을 선택해서 내면 시계 방향[2] 으로 순서대로 각자 자신이 가진 카드 중 1장씩을 선택해서 낸다. 이걸 ‘트릭(Trick)’이라고 한다.[3] 물론 앞사람이 내는 카드를 보고 자신이 내는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모든 플레이어들이 카드를 한 장씩 내면 게임 규칙에 따라 낸 카드의 순위를 정하고, 이 순위에 따라 한 명 또는 몇몇 플레이어가 카드를 가져간다(웬만한 게임에서는 1등이 전부 가져가는데 다른 규칙을 쓰는 게임도 있다). 이것을 ‘테이킹(Taking)’이라고 한다. 테이킹을 한 사람은 다음 라운드의 선이 되며, 각자에게 나눠준 모든 카드들을 다 사용할 때까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테이킹한 카드들은 앞면이 보이지 않게 뒤집어서 자신의 앞에 놓고 게임이 끝날 때 공개해서 점수를 계산한다.
트릭테이킹에서 주요한 개념은 선도패와 으뜸패가 있다.
여기서 선 플레이어가 낸 카드 한장을 '''선도패''', 해당 카드의 문양을 '''선도 수트(lead suit, 선도 모양)''' 라 한다. 기본 적으로 카드를 낼 때는 이 선도 수트와 같은 수트의 카드를 내야 한다. 낼 수 있는 카드가 여러 장이라면 순서에 제약은 없으며 그 중에서 골라서 내면 되는데, 만약 가진 카드 중에서 선도 슈트의 문양이 없다면[4] 어떤 카드든지 낼 수 있다.
하지만 선도 수트의 카드가 없어서 다른 카드를 냈다면 해당 카드는 숫자의 비교에서 탈락한다. 즉 비교를 할 수 있는 카드는 오직 선도패의 카드 중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게임에 따라 테이킹을 하는 방식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선도 슈트 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를 가진 카드를 낸 사람이 테이킹을 합니다. 게임에 따라 가장 최강의 모양을 정해두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으뜸패(Trump Suit, 으뜸 수트)'''라고 한다. 으뜸 수트는 선도 수트보다 더 강력한 문양으로 이 카드가 나오면 선도 수트의 카드들은 무시되고 으뜸패의 카드들끼리만 숫자를 비교해서 테이킹을 진행하게 된다.
대부분의 트릭 테이킹 게임은 이러한 규칙을 바탕으로 테이킹 방식에 변주를 주거나 점수를 세는 방법을 독특하게 한다. 따라서 각 게임의 방식에 따라 점수를 세는 방법은 제각각이며, 으뜸패 없이 리드 슈트만 존재하는 게임도 있다(흔히 '"노트럼프(No Trump)"'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한 각 게임에서 테이킹을 하기 위한 패를 비교하는 방법도 다를 수 있으며, 같은 숫자의 카드가 여러장 존재해서 같은 숫자가 여러장 나왔을 경우에 대한 규칙을 별도로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게임에 따라서 매 회마다 비드(공약)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게임에 따라 트릭 전부를 지는 등의 특수 비드도 있을 수 있다.
참고 문서
[1] 우리나라에 마조와 함께 전해진 트릭 테이킹도 이와 유사하다. 조선에서도 양반들끼리 투전으로 순우리말로 우등뽑기라는 것을 했다.[2] 별로 중요한건 아닌데 설명서를 보면 동양쪽 게임은 반시계 방향, 서양쪽 게임은 거의 대부분 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3] 코리아 보드게임즈 버전 티츄에는 이런 설명 없이 뜬금없이 트릭이란 표현을 쓴다. [4] 이때 속이면 안된다. 게임마다 예외가 있지만, '''속이면 안 되는 경우에 속이면 게임이나 규칙을 막론하고, 어떻튼 불이익을 당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카드를 다 쓰기 때문에 언젠가는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