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덕

 


1. 神德
2. 신(神)의 덕후(오타쿠)
3. 후백제의 인물


1. 神德


신의 공덕, 혹은 신의 은혜.

2. 신(神)의 덕후(오타쿠)


광신도의 인터넷 언어적 표현이라 볼 수 있겠다.
예전부터 회자되어 왔지만 특히 2008년에 모 교회의 장로 출신 인물의 당선에 이어서 속속들이 고개를 드는 막장스러운 특정 종교인들의 광신도 행각에 혐오감을 느낀 사람들이 광신도 + 오타쿠라는 혐오감 요소를 믹스하여 그들을 칭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대X진리교 등의 특정 종교를 비하하는 단어가 아닌 모든 종교의 광신도들에게 통용되는 말로 범용성이 높지만, 요즘에는 특정 종교인들을 칭하는 단어로 거의 확정되어 버렸다. 그 특정 종교가 앞장서서 막장짓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종교에 대한 비난을 홀로 먹고 있다 보니 그렇게 되어 버렸다.(…)
이 외에 신과함께라는 만화의 팬들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3. 후백제의 인물


新德
생몰년도 미상.
후백제에서 파진찬을 지낸 장군. 견신검, 견양검, 견용검 등이 견훤견금강에게 왕위를 물려주려는 것을 걱정하자 영순과 모의 후 견신검을 설득하여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시키고 견금강을 죽게 만들며 견신검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임병기[1]가 열연했으며 77화에서 애술과 함께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환의 말로는 용맹과 지략을 겸비한 무장.[2] 실제로 수달이 죽은 직후 나주성을 공격할 때 신중한 전투를 주장하는 최승우를 옹호하기도 했다.
극중 조물성 전투에서는 배현경과 밤을 새면서 1:1로 결투를 벌여 서로 적이면서도 우정이 성립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3] 이후 견신검이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능환, 능애와 함께 견신검을 옹립하지만[4] 이후 후백제와 고려의 마지막 전투인 일리천 전투의 황산에서 항복 후에 능환, 능애와 함께 쿠데타를 일으킨 죄목으로 처형당한다.
작중 묘사되는 바로는 언제나 신중한 타입인지라 파진찬 최승우의 소수 의견에 동조하는 거의 유일한 장수였다. 이렇게 보면 마지막에 견신검 쪽에 붙은 것이 의외일 수도 있지만 견신검과 함께 잦은 전투에 참가해 온데다 견훤이 늙어가면서 점점 신료들을 단체로 불신하고 면박주는 것에 질린 것일 수도 있다. 더구나 최승우는 금강파가 아닌 중도파인데다 후백제의 권력 투쟁에 회의를 느끼고 체념해버린 상태였기에 자신의 파당을 키울리가 없어 신덕이 신검파로 기우는건 자연스러운 수순이었다. 어차피 점점 옥좌에 대한 욕심에 총기를 잃어가는 견금강이 어리석다는 건 최승우나 신덕이나 공감하는 일이었다. 실제로 견훤은 견금강의 원만한 보위 계승을 위해 신덕이 쥐고 있던 군권을 무리해서 박영규에게 넘겨주려 시도했고 끝에는 숙청까지 하려 했지만 이를 미리 감지한 신덕은 결국 박영규를 감금시킨 후고 군 전체를 반란에 가담시킨다.
견신검의 반란 때까지 군의 총책임자로서 막강한 존재감을 과시했지만 정작 마지막 전투인 황산 전투에서는 항복을 결정하며 통곡하는 장면까지만 나오고 항복 후 처형당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5] 담당 배우인 임병기가 낙마 사고로 인해 두개골에 금이 가는 중상을 당했기 때문에 "나도 장수였소이다. 역사이름을 남기고 싶었는데 덧없이 죽게 되었으니 그게 한이오."라는 대사는 극 최후반에 등장한 파달에게 넘어가 버렸는데 원래 파달의 대사는 "놓아라, 내 발로 갈 것이다."가 전부였다. 출연분도 짧았고 우직한 부장 정도의 모습으로 나오던 파달이 얼떨결에 식견높은 인물이 쓸만한 최후의 대사를 날리는 갑자기 득도한듯한 모습을 보이게 된 셈.
[1] 야인시대에서는 박헌영을 연기했다.[2] 애술과 신덕을 포함해 4명의 이름난 지방 장수들을 능환이 수도로 불러들였는데 4명 중 "특히 신덕 장군은..."이라며 능환이 유일하게 추켜세워주었다.[3] 147회[4] 이 때를 기점으로 냉정한 지장보다는 쿠데타를 주도하는 과격한 장군의 이미지가 강해지는데 만일 견금강이 오른다면 100% 죽을 운명이기 때문이다.[5] 그냥 항복하는게 분해서 분사했다고 하면 설명이 아주 안되지는 않는다. 실제로 일리천 전투 이후 처형된 쿠데타 주역은 능환, 견양검, 견용검뿐이며 신덕은 어떻게 되었는지 전혀 언급이 없어서 이 장면에 나올 필요가 없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