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
1. 의미
Fact. '사실'.
- 주장/의견의 반의어로 팩트가 사용되면 '근거'(논거).
- 허구의 반의어로 팩트가 사용되면 '지어낸 것이 아닌 사실'(논픽션).
- 당위/필연의 반의어로 팩트가 사용되면 '실재하는, 경험적인 것'.
인터넷상에서 팩트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된 원인은 2007년에 인조이재팬을 통하면서이다. 당시 한국 인터넷 토론 문화에서는 근거 자료를 통하는 주장의 개념이 거의 없다시피 했고, 인조이재팬에서 한국인 이용자는 10대 중고등학생이 주류였으니 게시판에서 근거없는 주장을 많이 했다. 일본인들이 이에 대해 fact를 가져오라고 댓글을 자주 달았는데, 이것이 퍼지면서 2010년 경부터 인터넷 토론문화에 '팩트'라는 표현이 정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당시 MBC 100분토론이 흥행했는데, 이 때 패널들이 이 단어를 즐겨 사용하였다.
2. 중요성
인터넷의 수많은 정보들 사이에서 정확한 사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자 이것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특히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곳이라면 아마 과학과 역사, 그리고 언론일 것이다. 특히나 언론에게 있어서 사실만큼 중요한 건 없다.
3. 오용
논증은 주장과 근거의 결합, 즉 주장과 그 근거로 된 진술이다. 팩트는 근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팩트는 잘못된 논증을 타당하게 만들 수 있다.'''
3.1. 맥락의 문제
[image]
'''양쪽 모두 팩트다.'''
없는 이야기를 지어내거나 있는 사실을 변형하는 것만이 조작은 아니다. 자료의 선택과 배열, 이를 통해 '컨텍스트'(맥락)를 만드는 작업 또한 조작이다.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 팩트의 위험성을 위의 사진이 잘 보여준다. 가운데 사진은 전체 맥락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한쪽 병사가 다른 군복을 입은, 포로로 보이는 군인에게 총을 겨누고 있고, 다른 병사가 포로에게 물을 먹이고 있다. 이 사진을 가운데로 잘라서 왼쪽만을 보여주면 마치 포로를 잔악하게 처형하는 군인의 모습으로 사람들은 인식할 것이다. 반대로 오른쪽 사진만을 보여주면 포로에게 물을 먹여주는 군인의 인간다운 모습을 인식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사진을 그저 일부만을 잘라내어 보여주었다는 점. 단지 정보를 취사선택하여 보여주었을 뿐인데 악당과 영웅을 가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시사가 중요한 점은, 논쟁 및 검증 과정에서 한 쪽이 '팩트'라고 들고 온 데이터가 주장하는 편에 걸맞도록 편집된 데이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사실이지만 진실이 아닐 수 있다. 위 사진에는 총구도 등장하고 물통도 등장한다. 모두 사실, 즉 '''팩트'''다. 하지만 총구라는 팩트를 보여주느냐, 물통이라는 팩트를 보여주느냐에 따라 우리가 취할 태도는 바뀐다. 총구와 물통 모두 보여주는 것이 좋지만 문제는 '''사람은 이해관계가 엮이면 정의와 다르게 행동한다.''' 어제 호부호형 하던 사람이 내일 개시발롬으로 바뀌는 게 일상이다.
심지어 주장하는 측에서 이미 한 쪽으로 편집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진실이라 받아들이고 근거로 들이대어 자신과 상대를 동시에 속이는 비극도 충분히 가능하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했다고 인터넷 이용 중 언론 플레이에 방심할 수 있지만 선동 기술이 퇴화된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팩트라도 믿을 수 없다. 완전히 믿을 수 있는 미디어는 없다. 그래도 그나마 믿을 건 미디어다.\''''라는 모순 속에서 최대한 정보를 많이 취득하여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해 스스로 객관성을 세울 수밖에. 만약 논쟁 중인 상황이라면 결론은 정보전이다.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 팩트라는 이름 속의 '발화자의 의도'를 파헤치는 것이 정답이다.
교과서적인 표현인 '정보의 홍수'에서 '팩트'를 접한 사람들 중 일부는 팩트에 매혹되어 팩트를 근거로 극단주의를 드러낸다. 고급스럽게 말해서 래디컬한 사람들이다. 일베충, 메갈리아 등. 이들이 말하는 '팩트'는 조작되어 있거나 특정 성별에 유리하도록 짜깁기 되어 있다. 거르고 걸러서 나온 비 편향적 성 평등 문제는 이들의 열성적인 갈등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유명 연예인 A가 유명 연예인 B에게 심한 욕설을 했다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는 엄연한 사실, '''팩트'''이며 당연히 여론의 비난은 A로 흐른다. 그러나 B가 이전에 A의 부모를 구타했다는 사실이 숨어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만약 이 사실이 발견된다면 곧 여론은 B의 죄로 반전될 것이다. 심한 욕설도 분명한 죄지만 타인의 부모를 구타한 죄만큼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A가 B에게 심한 욕설을 한 '팩트'가 사라지는가? 아니다. 이 때 A의 안티 팬들이 A가 B에게 심하게 욕설 한 사실, '''팩트'''만 퍼날라 사건의 전말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퍼뜨린다면? A는 엄연히 따지면 피해자임에도 애먼 B를 괴롭힌 죄인이 되어 '팩트만 알지 사건의 전말은 모르는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는다. 물론 이후 '''진실'''이 밝혀지면서 수습은 되겠지만... 이 동안에 여론은 휘둘리고 A는 더욱 피해를 입는다. B의 죄가 밝혀진다면 그나마 다행이고 그나마도 B의 폭행에 대한 정보가 들어오지 않으면 A는 불한당이 된다. 결론은 정보전이며 그 정보를 수집하고 공표하는 사람들의 역량과 의지에 달린 것.
3.1.1. 관련 문서
3.2. 검증의 문제
팩트를 밝히는 것 자체는 훌륭한 일이지만, 그것을 검증하려는 풍토가 없다면 (의도적이든 아니든) 어떤 이에 의해 왜곡된 자료가 마치 사실인 양 돌아다니게 될 수 있다. 그러한 팩트들이 대중들에게 흘러들어가 일부에게 사실처럼 흘러가게 된다면 팩트 제시하는 것 자체의 의미가 사라진다. 주장하는 '팩트'란 것이 공신력없는 정보라면 의심부터 해보는 것이 좋다.
정치적 논쟁에서 이 단어를 오용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는 데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심지어 팩트를 비판의 대상으로부터 자유로운 완전무결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보인다. 리얼 팩트니 뭐니하는 거창한 수식어를 덧붙여서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고자 객관적인 자료를 오용하는 것은 철이 덜든 짓.
3.3. 논증의 문제
옳은 전제로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전제가 팩트여도 논리적 오류가 있는 논증의 오류는 치유되지 않는다.
매개념부주연의 오류, 인신공격의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 발생학적 오류, 문맥을 무시한 인용, 의도확대의 오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거짓 원인의 오류, 공통원인 무시의 오류, 인과 전도의 오류등은 팩트인 전제에서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면
- 빨갱이는 A정책을 지지한다. 모 정치인은 A정책을 지지한다. 따라서 모 정치인은 빨갱이다.
위 논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검증/논파 가능하다.
- #1
- 모 정당은 가 지은 곡을 당가로 사용한다.
- 숨은 전제: 가 지은 곡을 당가로 사용하는 정당은 다.
- 따라서 모 정당은 다.
- →숨은 전제에 인신공격의 오류/연좌의 오류가 있으므로, 이 논증은 잘못되었다.
- #2
- 모 정당은 가 지은 곡을 당가로 사용한다.
- 숨은 전제: 가 지은 곡을 당가로 사용하는 것은 적인 행동이다.
- 따라서 모 정당은 적인 행동을 하는 집단이다.
- →숨은 전제에 의도 확대의 오류가 있으므로, 이 논증은 잘못되었다.
- #3
4. 팩트 오용의 위험성
'''선동질.'''
한 는 이렇게 주장했다.
팩트는 종종 어마어마한 힘을 발휘한다. 무고한 사람의 참혹한 죽음이 민주화 운동의 계기가 된 것이 그 예다. 팩트는 분노를 일으킬 수도, 공포[2] 를 일으킬 수도, 혐오를 일으킬 수도 있다.우리의 시각을 애써 주입할 필요가 없다. 미국놈들 나쁜 놈이라고 애써 홍보할 필요가 없다. 위컴이 "한국민들은 들쥐 속성을 지녔다."고 한 말, 팀 스피리트 훈련 때 미군이 임신한 여교사를 강간한 사건, 그것을 사실적으로 대중에게 알려주고 폭로하라. 폭로하고 또 폭로하라. 그리하여 모든 '''사실들'''을 대중에게 알려 주라. 그 때 우리의 선동은 지금보다 수백 배, 수천 배나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선동은 폭로로부터 시작된다.''' 강석진, 『대중선동론』, 아침, 1989. 22쪽. (강조 표시는 인용자가 한 것)
이런 힘이 있는 팩트를 선동질에 사용한다면? 이얼끔+흠좀무+충공깽. 팩트를 사용한 선동은 사람들의 감정에 호소할 수 있을 뿐더러 그럴싸한 명분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논증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그 효과가 매우 빠르고 강력하다. 선동의 메시지(주장)에 들어 있는 숨은 전제에 오류가 있거나 논증의 오류가 있어도 숨기기 쉽다. "모 정당은 윤민석의 곡을 당가로 사용한다. 윤민석은 다. 끝." 하면 팩트만 제시하였으므로 상대방은 뭐라 할 말이 없다. "그럼 모 정당은 네?"라는 결론에 이르는 것은 팩트를 읽은 독자이고, 논리적 오류를 일으킨 것도 독자이지 주장한 사람은 아니기 때문. 한마디로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5. 온라인에서의 오남용
보통 인터넷 상에서의 팩트란 토론, 논쟁에서 사실 그 자체를 직시하는 증거자료의 의미를 가지며, 사실에 기반하여 상대방의 논리를 논파할 수 있는 승리의 필수요소로 사용되어왔으나, 2016년 들어 자신에게 불리한 사실을 아몰랑 등의 안들려 모드로 일관하는 정상적인 논쟁이 불가능한 상대가 늘어나자 이들을 비꼬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팩트폭력 문서로. 반대로 불합리한 사실의 정당성을 논하기 보다 팩트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용도로 쓰이는 경우 또한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팩트라고 이름 붙이기도 부족한, 자신의 편견이나 망상을 갖다대고는 '''~~한 것이 팩트'''라는 식으로 말하는 사람도 많다.예시: 비겁하게 팩트를 들고 오다니, 정정당당하게 선동과 날조로 승부하자!
아예 드립의 목적으로 '''팩트) 팩트다.'''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은 '''팩트) 출처 XXX에 따르면 YYY는 ZZZ다.'''라고 써야 맞지만, 그냥 우격다짐으로 아무 근거도 설명도 없이 '''팩트) 팩트다.''' 라고만 써 둠으로써 웃음을 유발하는 것이다. 사례
6. 참고
재밌게도 일본 인터넷에서도 팩트와 똑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정론(正論)이라는 단어가 있다. 한국에서의 정론은 자주 쓰지 않아 학술적인 단어같은 느낌이 강하지만 일본에서는 굉장히 일상적인 단어다. 한국말에서 팩트를 쓰는 곳에 정론을 넣어주면 어감이 굉장히 비슷하다.
2017년 여름,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팩트너무아프고'''라는 표현이 유행한 적이 있다. 문장이 더 이어질 것 같지만 안 이어지는 묘한 표현이어서 인기를 끌었다. 구글 검색 결과예시: この国で正論を言うな 이나라에서 정론을 말하지마
[1] '약속'이나 '조약'이라는 의미에 가깝다.[2] BSE와 vCJD의 특성 자체는 팩트라고 할 수 있다. 문제라면 BSE가 vCJD의 인과관계. BSE 걸린 소의 고기를 먹고 vCJD가 걸리는 게 아니라면, 실제로는 인과관계가 없는 두 사실을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엮은 거짓 원인의 오류를 저지른 것이다. BSE와 vCJD의 인과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