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듈럼(유희왕)
1. 개요
일반 마법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 의해 지정된 유희왕의 카드군. 즉, 서치 가능한 카드들을 모은 것이다.
펜듈럼 몬스터 한정이라 클러스터 펜듈럼이나 칼날 고문 기계[1] , 융합 펜듈럼 드래곤 몬스터는 카드군에 속하지 않는다.
2. OCG
2.1. 펜듈럼 몬스터
2.1.1.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2.1.2.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
2.1.3. EM 펜듈럼 매지션
2.1.4. 홍채의 마술사
'''펜듈럼''' 드래곤으로 취급.
2.1.5. 룡검사 라스터P
펜듈럼 루비.
2.1.6. 룡검사 마스터P
펜듈럼 루비.
2.1.7. 용마왕 벡터P
펜듈럼 루비.
2.1.8. 용마왕 렉터P
펜듈럼 루비.
2.1.9. 펜듈럼무쵸
2.2. 마법 카드
2.2.1. 펜듈럼 콜
2.2.2. 어메이징 펜듈럼
2.2.3. 성상의 펜듈럼그래프
2.2.4. 펜듈럼 어라이즈
2.2.5. 펜듈럼 스톰
2.2.6. 펜듈럼 턴
2.2.7. 펜듈럼 모라토리엄
2.2.8. 펜듈럼 퓨전
2.2.9. 펜듈럼 패러독스
2.2.10. 펜듈럼 홀트
2.2.11. 영혼의 펜듈럼
2.2.12. 펜듈럼 엑시즈
2.2.13. 펜듈럼 시프트
[image]
유희왕 ARC-V/코믹스 13화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한 카드.
효과는 펜듈럼 스위치의 열화판 일반 마법으로,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를 2장까지 펜듈럼 존에 세팅하는 효과가 있다. 상황에 따라 소환된 몬스터를 펜듈럼 존으로 옮겨 펜듈럼 효과를 쓰거나 스케일을 세팅하는 용으로 사용 가능하나, 스위치와 달리 펜듈럼 존의 카드를 몬스터 존으로 불러내는 효과는 없으며, 단발성이고 일반 마법이라 속공성이 떨어지기에 그리 유용한 카드는 아니다.
EM 도크로배트 조커의 서치 효과를 쓴 후 이 카드로 펜듈럼 존에 세팅해 스케일을 확보하는 용으로 쓰는 게 그나마 나은 방법이다.
'''수록 팩 일람'''
2.3. 함정 카드
2.3.1. 시공의 펜듈럼그래프
2.3.2. 펜듈럼 에리어
2.3.3. 펜듈럼 백
2.3.4. 펜듈럼 홀
2.3.5. 펜듈럼 리본
2.3.6. 펜듈럼 스위치
2.3.7. 펜듈럼 디멘션
[image]
펜듈럼을 이용한 융합, 싱크로, 엑시즈를 보조해주는 카드. 각 효과는 소환법별로 1턴에 1번씩만 사용 가능하다.
융합 소환 성공시엔 덱에서 그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불러와 엑시즈 소환을 보조해주며, 싱크로 소환 성공시엔 융합을 서치해 융합 소환으로 이을수 있게 해주고, 엑시즈 소환 성공시엔 덱에서 그 랭크 수치 이하의 레벨을 가진 튜너를 서치하거나 특소해 싱크로 소환을 보조해준다. 엑시즈 소환의 경우 보통 랭크 4를 주로 하게 되는데, 유령토끼나 하루 우라라 같은 패 트랩으로 쓰이는 튜너들이 레벨이 3 이하라, 패 트랩을 서치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일러스트에 나온 건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진화체인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수록 팩 일람'''
2.3.8. Pendulum Encore
2.4. OCG화 되지 않은 카드
2.4.1. 펜듈럼 클라이맥스
2.4.2. 매지컬 펜듈럼 박스
2.4.3. 펜듈럼 일루전
ARC-V 144화에서 유우야가 사용한 마법 카드.
2.4.4. 펜듈럼 카드 버스트
ARC-V 147화에서 유우야가 사용한 마법 카드. 필드의 펜듈럼 카드 2장을 파괴하고 2장 드로우하는 효과가 있다.
2.4.5. EM 펜듈럼 컨덕터
2.4.6. EM 펜듈럼 아트 & 클린
2.4.7. 펜듈럼 부스트
최강 D 13화에서 사용한 카드.
2.4.8. 샤프 펜듈럼 스트라이크
유희왕 ARC-V/코믹스 31화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한 카드.
3. 관련 문서
[1] 영어명이 '''Pendulum''' Machin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