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템킨

 


1. 제정 러시아의 귀족
2. 러시아 제국의 전함
2.1. 포템킨 반란 사건
3. "초라한 상태를 은폐하기 위해 꾸며낸 겉치레"라는 뜻을 가진 관용어
4. 길티기어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1. 제정 러시아의 귀족


러시아어: Григо́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отёмкин-Таври́ческий
영어: Grigory Aleksandrovich Potemkin-Tavricheski
1739~1791.
제정 러시아의 귀족 출신 정치인, 관료, 군인이자 예카테리나 2세의 총신 겸 정부. 크림 반도를 러시아 땅으로 하는 공로를 세웠고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총사령관으로 복무했다.
포템킨은 'ё'(요)를 잘못 읽었거나 Potemkin을 받아들이는 바람에 생긴 오류.[1]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포툠킨-타브리체스키, 구개음화를 반영한 원어 발음로는 '빠쫌낀'에 가깝다.
2,3,4번 항목의 어원이다.

2. 러시아 제국의 전함



[image]
'''«Князь Потёмкин-Таврический»'''
기공
1898년 10월 10일
진수
1900년 9월 14일
취역
1905년 5월 20일
퇴역
1925년 11월 21일
이전 함급
페레스베트급 전함
다음 함급
레트비잔
배수량
12,500톤
길이
115미터
너비
22.3미터
최고속도
16노트
주무장
12인치 연장포 2기(4문) / 6인치 단장포 16문
보통 '포템킨'이란 명칭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정식 함명은 '크냐지 포툠킨(파촘킨) 타브리체스키'.
1898년부터 건조가 시작되었으나 중간에 화재사고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로 1905년이 돼서야 흑해 함대에 배치되었다. 건조 시기부터 따져봐도 상당히 뒤늦게 만들어진 전 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서 이미 영국에서는 드레드노트급이 건조되고 있을 무렵이었지만, 러일전쟁으로 인해 발트 함대가 증발당한 러시아에는 그야말로 막 뽑혀나온 최신예 전함이었다.

2.1. 포템킨 반란 사건


포템킨 반란 문서 참고.

2.2. 영화 전함 포템킨


해당 문서 참고.

3. "초라한 상태를 은폐하기 위해 꾸며낸 겉치레"라는 뜻을 가진 관용어


'''포템킨 마을'''이라고 한다. 유래는 '포템킨'이란 명칭으로 잘 알려져 있는 1번 항목의 러시아 귀족 그리고리 포툠킨(포템킨)의 이야기에서 나왔다. 포템킨은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 치하의 궁정 인사였고, 여제의 연인이기도 했다. 또한, 포템킨은 당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지 얼마 안 된 옛 크림 칸국의 통치를 맡기도 했다. 그에 관해서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어느 날 예카테리나 여제가 포템킨이 통치하고 있는 지역을 순방하겠다고 나서자, 포템킨은 쾌히 응했다. 그러나 그가 통치하고 있던 지역은 러시아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들 중 하나였다. 그런데 만약 예카테리나에게 낙후되었던 영지가 자신 치하에서 크게 발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하게 만들면, 자신의 궁정에서의 영향력은 물론이고 덤으로 러시아의 위상도(여제의 일행에는 외국 외교관들도 포함됐다)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짧은 기간에 대규모의 개발을 마칠 수는 없는 노릇 . 그래서 포템킨은 예카테리나 여제가 그의 영지를 관통하는 드네프르 강에서 바지선을 타는 것이 유일한 순방 계획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러니까, 여제는 실제로 마을에 들어가지는 않고 오로지 배에서 강 유역에 있는 마을과 도시를 바라볼 것이라는 사실! 그래서 포템킨은 한 가지 묘안을 떠올리는데, 바로 '''가짜 마을'''을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는 여제가 배를 타고 바라볼 드네프르 강 유역의, 두꺼운 종이에 발전 되어 있는 마을의 모습을 그려넣은 뒤 마치 이곳이 부유하고 발전된 곳인 마냥 위장했다. "우왕 여기 심시티 쩌네여ㅋ"라는 평을 받아낸 포템킨은, 여제가 배를 타고 둥둥 떠나가면 그 그림을 철거하여 여제가 바라볼 다음 장소에 또 갖다 놓았다. 여제 일행은 역시 계속해서 낚였고(...) 포템킨은 목표 달성에 성공하였다!

위 이야기가 사실일 가능성은 적지만, 그후 그레고리 포템킨의 이름을 딴 '포템킨 마을'이라는 용어는 초라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를 은폐하기 위해 꾸며낸 겉치레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또한 포템킨 마을 전략은 전쟁터에서 상대적으로 전력이 약한 군대가 전력을 실제보다 더 강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법이라는 뜻도 있다.
소련이 냉전 시대에 이 수법을 사용하였다. 흐루쇼프는 미국에 비하면 얼마 되지도 않는 미사일과 핵무기를 가지고 미사일로 미국을 싸그리 지워버릴 수 있을 것이라며 60년 초에 수많은 공갈 협박을 자행해왔다[2]. 폭격기 갭 논란, 미사일 갭 논란 등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 이후 80년대에 들어서는 소련이 핵무기를 무진장 늘려놔서 미국보다 더 많은 수의 핵무기를 가졌었다. 그만큼 핵전쟁의 공포는 더 늘어났지만 상호확증파괴 덕분에 다행히 핵전쟁은 일어나지 않았고 소련은 얌전히 붕괴했다.
한국도 해당 상황과 아주 무관하지는 않다. 세계가 지켜보고 있습니다 ~을(를) 자제해 주십시오가 대표적. 특히 군인 출신이 정권을 잡았던 군정 시절에 이러한 "전시(보여주기) 행정"이 심하였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녹화(잔디 심기) 정도가 미진하자 큰 도로 주변의 잔디밭에 녹색 페인트를 스프레이칠한 것은 당시 세대에게 잘 알려진 일화이다.
북한도 똑같이 구는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평양의 일부 지역 외엔 절대 여행 허가를 안내주는 것이 그것이다. 일부러 가장 발전된 지역만 외국인에게 보여주려는 목적.

4. 길티기어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포템킨(길티기어) 참조.
[1] 러시아어 키릴문자 ё는 e로 표기하는 일이 많다. Ё 참조. 포템킨도 Потeмкин으로 표기되었으므로 '포템킨'으로 착각했을 가능성이 있다.[2] 그리고 미국 정부는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인 것마냥 두려워하는 척 하였다. 왜냐면 우선 자기들이 저들의 패를 훤히 읽고 있다는 사실을 소련 측이 알기를 원치 않아서였고, 또 소련에 대한 공포감을 조성해 더 많은 국방예산을 타기 위해서였다. 그야말로 적도 아군도 철저히 속여먹은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