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계 러시아인

 

1. 개요
2. 역사
3. 상세
4. 문화
5. 유명인
6. 관련 문서


1. 개요


'''폴란드계 러시아인'''은 러시아에 거주하는 폴란드인 또는 폴란드계 후손들이다. 폴란드계 러시아인들은 러시아내에서 주요 민족에 속해 있다.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인 중 폴란드계 조상을 두고 있는 경우나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 거주 인구를 합쳐 3백만여 명 정도에 달했다 한다.

2. 역사


[image]
  • 폴란드 독립 봉기가 진압된 후 시베리아로 끌려가게 된 폴란드인들
중세 말 폴란드 왕국이 오늘날 벨라루스와 리투아니아 일대의 동군연합을 맺은 것을 계기로, 많은 폴란드인들이 벨라루스 지역에 정착하고 루테니아(중세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일대)의 귀족 계층이 폴란드인들과 동화되면서 벨라루스 일대에는 상당한 수의 폴란드인들이 살게 되었다. 루스 차르국의 팽창 과정에서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스몰렌스크 등 동부 영토 상당수를 상실하고 많은 폴란드계 귀족들이 루스 차르국에 투항하는데, 이들이 바로 오늘날 러시아인들 중 폴란드계 성씨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직계 기원 중 하나이다.

루스 차르국과 크림 칸국과의 전쟁에서 많은 영토를 상실한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결국 폴란드 왕국과 연방 형태로 통일하면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거듭나는데, 이 과정에서 루테니아인 귀족들의 폴란드화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폴란드 리투아니아 연방은 흐멜니츠키 봉기 이후 상당수 영토를 루스 차르국에 상실한 이후 몰락하고, 결국 18세기 말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제국에 의해 분할되면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멸망했다. 이후 프랑스로 이주한 폴란드인들도 상당히 많았지만, 독립 봉기 과정에서 러시아로 유배당한 폴란드인들도 적지는 않았다.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서 폴란드인들은 19세기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저항운동을 했지만, 잔인하게 진압당하고 민족주의 활동가 상당수가 시베리아의 이르쿠츠크, 옴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 튜멘 등으로 유배를 당한다. 이렇게 시베리아로 유배를 간 폴란드인들 중에는 러시아화되면서 러시아인으로 완전 동화된 폴란드인도 생겨나기도 했다.
소련 해체 이후 폴란드계 러시아인들 중 일부는 다시 미국으로 이주하는 경우도 생겨났는데, 이들은 일반적인 폴란드계 미국인들과는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3. 상세


러시아내에서 폴란드계 러시아인들은 8만명 ~ 10만명이 거주하고 있지만, 러시아인들중에는 폴란드인 혈통을 가진 러시아인들도 일부 있다. 주로 루스 차르국의 전쟁 포로 중 귀족 계급이나 아니면 러시아 제국 시대 폴란드 분할 이후 폴란드 독립 운동 과정에서 시베리아이르쿠츠크 등으로 유배되어 러시아인과 동화된 경우이다. 카자흐스탄 내에도 한 때 4만여 명 이상의 폴란드계가 거주했다.
러시아 제국의 아슈케나지 유대인 상당수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출신 유대인이기도 했다. 폴란드 리투아니아 연방은 전성기 때 전 세계 유대인들의 3분의 2 가까이가 거주한다는 기록마저 있을 정도로 유대인 인구가 많았던 반면, 표트르 대제가 개혁을 시행하기 이전 러시아는 상업이 지지부진한 국가였고, 그나마도 무슬림 타타르인들의 비중이 더 높았다. 그러나 흐멜니츠키 봉기폴란드 분할로 영토를 팽창하면서 19세기 러시아는 유대인 인구가 많은 대표적인 나라로 거듭났다. 러시아 제국 내에서도 유대인 인구가 제일 많았던 지역은 폴란드의 지배를 받았던 우크라이나 일대였으며,[1] 유대인 인구 비중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벨라루스 지역이었다. 러시아의 유대인들은 특정한 경우가 아닌 이상 오늘날 폴란드계 러시아인으로는 분류가 되지는 않는데, 이는 근현대 폴란드 민족주의와 아슈케나짐 사이에 갈등 때문에 서로 타자로 인식하게 된 것이 그 이유이다. 물론 폴란드-리투아니아 시절 동유럽에 정착한 유대인들은 러시아 유대인들의 직계 기원이라는 점은 서로 부인하지는 못하지만...

4. 문화


오늘날 러시아 각지(특히 시베리아)의 가톨릭 성당 및 가톨릭 유적들은 러시아 제국 시절 폴란드계 러시아인들이 남긴 유산이다. 시베리아의 도시 이르쿠츠크가 시베리아의 파리라고 불릴 정도로 문화적으로 융성해진 데에는 시베리아로 유배를 당했던 폴란드계 후손들의 노력 또한 적지 않았다. 심지어 하르빈의 러시아 타운에도 폴란드인들을 위한 성당이 건설되었을 정도였다. 폴란드계 러시아인 중 적지 않은 수가 현재도 가톨릭을 믿고 있으나, 상당수 폴란드계 러시아인들은 현재 정교회를 믿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을 폴란드인에서 찾는 경우보다는 조상 중에 폴란드인이 있었다 정도로 아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러시아 제국 시절과 소련 시절 반폴란드 정책의 결과 폴란드어 대신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소련 시절 벨라루스에서 러시아로 이동한 경우 등등은 오늘날에도 폴란드어 구사가 가능한 사람이 많다.

5. 유명인



6. 관련 문서



[1] 폴란드-리투아니아의 귀족들은 농노들이 부르주아 계급으로 상승할 것을 차단할 목적으로 유대인들을 데려와 마름으로 썼다. 아이러니하게도 19세기 반유대주의를 선동한 주요 계층이 지방의 소귀족들이었다.[2] 폴란드계 유대인 혈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