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단시
[image]
정자체 邯鄲
간화자 邯郸
병음 Hándān
1. 개요
중국 중부 허베이성(하북성)의 지급시. 스자좡(석가장)에서 남쪽으로 150km, 정저우에서 북쪽으로 200km 떨어진 평야에 위치해 있다. 허베이성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산시성(산서성), 동쪽으로는 산둥성 지난시, 바로 남쪽에는 안양시가 있다.
인구는 945만 명이지만 중국의 시는 광역시 개념이라, 도시 자체의 인구는 290만 정도이다. 허베이 성의 남쪽 끝에 위치한 도시이고, 상나라(은나라)의 고도인 안양은 남쪽으로 40km 떨어져 있는 이웃 도시이다. 서쪽으로 태행산맥을 넘어 조금만 가면 창즈(長治, 장치)가 나오고, 남쪽으로는 정주, 낙양 등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관동과 관서를 잇는 요충지에 위치하여 예나 지금이나 교통의 중심지이다. 시내 서남쪽 10km에 한단 공항이 있고 동북쪽 15km 에는 최근 중국 정부에서 AAA급 관광지로 선정한 광부진(廣府鎮, 간화자로는 广府镇)이 위치해 있다. 옛 조나라의 수도이고 지금은 조그만 마을이지만 조조 관광지로 개발 중인 업성도 현재는 한단의 일부이다.
2. 역사
한단은 춘추전국시대의 위나라(衛)의 수도로 시작하여 조나라의 수도로 번영하였다. 시내 남서쪽 4km에 위치한 조왕성(趙王城)과 한나라 때의 번국인 조나라의 궁궐 유적이 남아있어 고고학자들의 관심을 끈다. 시내에 가면 조나라의 중흥을 만든 조무령왕의 커다란 석상과 호복 도입을 기념하기 위한 호복을 착용한 기마무사상이 서 있다.
기원전 260년 진나라가 조나라군을 장평대전에서 박살내고 한단성을 포위했으나, 한단성은 매우 견고했기 때문에 진나라도 결국 함락하지 못했다. 이렇게 한단성은 전국시절 당시 여러 나라들의 침략을 저지한 난공불락의 성으로 이름이 높았다. 하지만 기원전 228년 왕전이 지휘한 진나라군에 함락되었고 조나라는 멸망한다.
한나라 건국 직후, 공신 진희(한나라)가 흉노와 연합해 모반한 난을 진압하기 위해 한고조가 이곳에 교두보를 건설했다. 이것이 고대에서 한단이 유의미한 역할을 한 거의 마지막 사건이며, 이후 후한-삼국-남북조-수당시대까지 한단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후한-삼국시대에서는 한단보다는 그보다 조금 남쪽에 있었던 업성이 유명해졌다.(현재는 업성은 몰락하여 한단시에 흡수되었다.) 이곳은 한복-원소-조조가 각각 본거지로 삼을 정도로 당시 하북의 중심이었다.
북송 대에는 대명부로 불렸는데, 정강의 변 이후 금나라가 세운 괴뢰국인 제나라의 수도가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후에도 역사의 뒤켠으로 물러난 작은 도시로 전락하였고, 역사에 별로 등장하지 않는다.
중흥의 계기는 석탄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80년대에 한단의 서쪽에 있는 태행산맥에서 거대한 석탄의 광맥이 발견되었다. 이때부터 공업 도시로 발전하며 2천 년간 단역으로 머물렀던 도시가 지금 같이 천만의 인구를 자랑하는 거대한 도시가 되었다.
다만 광업도시답게 공기가 매우 좋지 않다.
의외로, 중국의 여러 도시들 중 고대로부터 단 한 번도 이름이 변하지 않은 얼마 안 되는 지명 중 하나이다. 좀 유명한 도시들은 황제의 기분대로 이름이 자주 고쳐졌는데, 한단은 춘추전국시대에 처음 기록에 나타났을 때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단 한 번도 지명이 변경되지 않았다.
[image]
광부진 성
조왕성 유적 지도
3. 다이밍 현 (대명부)
[image]
大名县
송 ~ 명나라 대의 큰 도시였던 대명부(大名府)가 한단 지급시 관할이고 시내에서 동남으로 60km 떨어져 있다. 대명부는 요나라(거란)의 위협에 대비하여 변경(카이펑)을 지키기 위한 군사 기지였다. 수호지의 조연인 노준의와 연청의 고향이다. 지금도 중세 성벽이 시내를 두르고 있다.
4. 기타
- 여담으로 중국의 도시 중에서 중국어 발음과 한국식 한자 발음이 같은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다른 유명한 예는 한단 바로 남쪽에 있는 안양시(중국).
- 중국판 구운몽인 한단지몽(邯鄲之夢)의 배경이다.
- 고사성어 한단지보(邯鄲之步), 또는 한단학보(邯鄲學步)가 이 도시에서 생겼다. "무조건 남을 따라해선 안 된다"는 뜻.
- 여불위는 진나라가 조나라에게 보낸 인질이던 자초에게 자신의 첩을 바쳤는데, 그 첩이 이후 이곳에서 낳은 아들이 바로 바로 훗날의 진시황이다.
- 이 도시의 특산물인 당나귀 소세지(驴肉香肠)가 별미로 유명하다.
- 특산주로서 종태주(丛台酒, 충타이주)가 유명하다. 도수가 50도가 넘는다.
- 이곳에서 가까운 태항산에서 1942년 중일전쟁 당시 중국공산당 소속 8로군에 편입된 조선인의용대가 역시 홍사익이 여단장으로 참가하고 있던 일본군과 싸웠다. 윤세주 등은 이곳에서 장렬히 전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