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기후
寒帶氣候, 極氣候
Polar climate
1. 개요
말 그대로 추운 기후. '''극기후'''라고도 부르며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기후로 북극과 남극 주변에서 나타난다. 툰드라 기후와 빙설 기후로 나뉜다. 최한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영하 3도 이하이고, 최난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10도 이하인 기후이다.[1]
최난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영상 0도에서 10도 사이라면 툰드라 기후로 분류하고, 최난월의 평균 기온도 섭씨 0도를 넘지 못한다면 빙설 기후로 분류한다.
2. 상세
한대 기후에서는 영구 동토층이 발달해서 농사가 불가능해 여기 사는 사람들은 사냥과 유목 등으로 먹고 산다고 한다. 툰드라 기후에서는 땅이 녹기는 하지만, 2-3달 정도 밖에 녹지 못해 농사가 불가능하다. 이 정도면 사는게 아니라 견디는 거라고 표현해야할 수준.
툰드라 기후에서는 영구 동토층 위에 있는 흙이 매년 빙결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땅이 움직이면서 자갈이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구조토라고 하는 특이한 지형이 생긴다.
극지방에서는 백야 현상으로 여름에 하루 종일 해가 내리쬐기 때문에 생각보다 범위가 넓지 않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E로 표시된다. 단 E는 고산기후도 포함되므로 극기후에 해당되지 않고 최한월의 온도가 그렇게 낮지 않으면 일반적인 한대기후에 포함이 안 된다.
한대기후보다 그나마 덜 추운 기후를 냉대기후라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남극이나 그린란드 내륙 같이 사람이 아예 살지 않는 곳을 제외하면 냉대기후 지역이 의외로 최저 기온은 더 낮은 경우가 많다.[2] [3] 이런 경우 아이슬란드마냥 기온이 10℃ 이상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바로 온대기후의 일종인 'Cfc'로 넘어가게 된다. [4]
참고로 남반구에서는 남극이나 남극과 가까운 섬들[5] , 칠레와 아르헨티나 남부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한대기후가 거의 뉴기니 중부 마오케 산맥(Maoke Mountains)이나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산 등의 고산 지대에서만 나타난다. 한대기후는 보통 위도 60도 이상에서 나타나는 기후인데, 남반구에서 위도 60도 이상의 대륙은 남극을 제외하고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북반구에서도 북대서양 난류의 영향이 강력한 유럽은 70도까지 냉대기후이고, 80도에 있는 스발바르 제도쯤 가야 한대기후를 볼 수 있다.
한대기후에서는 태양의 입사각이 작아, 일사량이 적기 때문에 나무가 잘 자라지 않는다. 그래서 관목이나 선태류와 지의류가 많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식물이 사멸하면, 특유의 추운 날씨 때문에 분해가 잘 되지 않아 이탄이 많이 존재한다.
[1] 즉, 최난월의 평균 기온이 10°C가 안 되어도 최한월의 기온이 영상권인 극단적인 경우는 온대 기후인 아극 해양성 기후로 분류된다. 또한 고도가 높으면 고산 기후인 상춘 기후가 될 수도 있다. 근데 일부는 이들도 한대기후라 하는 곳도 있다.[2] 그 대표적인 예로 '''북위 78°'''에 있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롱위에아르뷔엔의 1월 평균기온이(-16.5℃)이 '''북위 42°'''에 있는 북한 삼지연시의 1월 평균기온(-19.8℃)보다 높아서 '''더 따뜻하다'''![3] 위도가 매우 높아서 최난월 기온이 낮은 해안가 북극 지역보다 위도가 그리 안 높은 대륙성 기후를 띠는 지역이 겨울 추위는 더 혹독한 경우가 많다. 연교차가 크기 때문.[4] 만약 아이슬란드의 수도 레이캬비크의 최난월 평균기온이 단 '''1.5°C'''만 내려가면 한대기후로 재분류된다.[5] 케르겔렌 섬, 크로젯 섬, 부베 섬, 암스테르담 섬, 사우스조지아 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