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image]
漢中/汉中 (Hànzhōng)
1. 개요
2. 지리
3. 역사
4.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의 지역명. 현재 행정구역상으로는 산시성(섬서성)(陝西) 한중 시로, 면적은 2만 7천 km²로 경상도보다 약간 작은 정도이고 인구는 370만 명 정도이다. 한중 시내 지역인 한타이 구의 인구는 50만 명 정도.

2. 지리


지형적으로 한중분지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친링산맥(진령산맥)에서 시안(서안)이 있는 관중#s-4 쪽으로 향하며 남쪽은 다바산맥(대파산맥)에서 오늘날의 충칭 시가 있는 쓰촨 분지(사천분지)로 연결된다. 동쪽으로는 장강 유역에 이르며 서쪽으로는 천수에 이른다.
가운데에 한수#s-2가 흐르는 비옥한 분지[1]이다. 비옥하다고는 하나, 그 자체는 쓰촨 성이나 강남 등의 지역에 비할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군사적으로는 엄청나게 중요한 지역이다. 북으로는 관중 평야, 남으로는 쓰촨 성, 동으로는 장강 유역으로 갈 수 있는 교통의 요지이기 때문이다. 아찔하게 험준한 산악 지대라서 한중을 통과하지 않으면 사천 평야로 들어가는 것도, 나가는 것도 매우 어렵다.
한중이 아닌 다른 루트로 사천 평야에 진입하려면 촉한멸망전등애가 간 무도-음평[2]처럼 한중보다 더 험한 산악지역을 통과하거나, 장강(양쯔 강)을 타고 거슬러서 파서지역으로 올라가야 했다. 하지만 음평 산길은 등애 문서에 나오듯이 전시나 평상시나 도저히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산길이다. 장강 루트는 바로 장강 삼협으로 불리는 곳으로, 평상시에 교역을 위한 루트로는 좋아서 현대 중국에서도 수운으로 잘 활용하고 있지만, 계곡이 험하고 물살도 빨라서 군사용으로는 상당히 부적합한 길이다. 그래서 역사에서 관중 지역과 파촉 지역을 오가는 교통이 모두 한중을 통과하고, 전쟁의 진격로도 모두 한중을 통과했다.

3. 역사


춘추시대에는 한수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초나라의 영토였다. 초나라가 성장하면서 장강유역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고, 초나라의 중심지도 형주로 옮겨지면서 중심지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전국시대 들어 팽창한 진에게 한중을 빼앗긴 초나라는 현재의 쓰촨-충칭 지역인 파촉에 대한 영향력도 상실하게 되고, 결국 지속적으로 진나라에게 압박을 받아 수도마저 빼앗기게 되면서 몰락했다.
한고제 유방과 서초패왕 항우가 아직 군벌로서 진에 반기를 들고 연합하던 시절, 누가 진의 수도 함양에 먼저 입성하는지를 두고 경합을 벌였다. 승자가 관중 지방(함양 일대. 현재의 산시성(섬서성) 지역)을 먹기로. 승자는 유방이었으나, 반진 연합군의 맹주에 가까운 중추적 역할을 하던 것은 초나라의 후계라는 정통성을 가진 항우의 세력이었기 때문에 유방은 관중 대신 훗날의 위협을 제거할 겸 첩첩산중의 분지라 진출이 어려운 한중을 영지로 받았으며, 진의 명장이던 장한 등을 삼진왕으로 봉해 유방을 감시했다.
그러나 위에 설명된 대로, 군사/지정학적으로는 엄청난 요지인 탓에 세간에서는 항우가 유방에게 관중 대신 한왕[3]으로 봉하고 한중에 가둔 게 가장 큰 실책이라고 평할 정도다. 험한 지세와 그럭저럭 풍요한 물산 덕에 한중 지방은 전쟁 내내 안전하게 보호받으며 물자를 제공했는데, 딱 유방이 북진한 직후에 관중에는 대기근이 돌았기 때문에 이곳을 본의 아니게 얻지 못했다면 한나라는 그대로 자멸했을지도 모른다.
삼국지를 읽어본 사람들에겐 오두미도장로의 본거지와 유비가 한중왕을 자칭한 것으로 유명하다. 삼국지에서는 사천성 지방을 서천(西川)이라고 하는 것과 상대적으로 한중 지방을 '''동천'''(東川)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후 비옥한 한중 분지 지역은 촉한이 차지하고 한중 동쪽 산간 지역 요충지인 상용 지역은 잠시 촉한이 차지했다가 동삼군(東三郡)이라고 하여 조위가 차지했다.
진수정사 삼국지에서 조비의 위황제 등극보다 유비의 한중왕 선언에 더 많은 기록을 할애하고 있다. 이는 진수가 촉 출신이라서는 얘기도 있지만 삼국지의 전체 흐름, 특히 촉한의 대립에선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조비가 위나라 황제에 오른 것은 당시 거의 멸망한 거나 다름없었던 후한의 공식적인 소멸이었으므로 비중이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유비가 한중왕을 칭한 것은 역사적인 흐름보다 당시에는 엄청난 정치적 제스처였다.
전한고조 유방항우와 대립하다가 한중 땅을 분봉받아 한왕이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왕조가 일어섰다. 그의 후손 유비는 한중왕에 오르면서 선조인 유방과 자신을 동일시한 것이다. 망해가는 한나라를 부흥시키겠다는 유비가 그 옛날 유방처럼 제2의 한고조가 된다는 제스쳐는 정치적으로 큰 상징을 가진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가 "'''돗자리나 짜던 놈이 나와 맞먹으려고 하다니!'''"[4]라고 단순히 빡쳐서 유비를 치려고 한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정사나 창천항로에서 조조가 괜히 유비의 한중왕 등극 소식을 듣고 충격 받은 게 아니다.
간단 요약으로 정치적인 입장에서 유비가 '조조 이 색휘는 항우와 같은 역적이고 나는 한 황실의 종친이니 한고제의 뜻을 이어받아 역적을 무찌르고 천하를 통일하겠다!' 라고 선포한 것.
이후에도 진령산맥 깊숙한 곳에 분지에 있는데다가 서안과 성도사이의 중간지, 잔도때문에 높은 침략난이도 덕분에 이곳 지방정권들의 군사적 요충지로 활약했다. 본래 사천성인 익주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언제부턴가 섬서성으로 넘어왔다. 화북과 사천이 서로 분열되어 있어 싸울 때에는 군사요충지로서 잘나가지만, 통일왕조시기에는 군사적 요충지의 가치가 떨어져서 명/청대엔 망한 동네였다. 그러다 공산당이 들어서고 서부대개발할 때 이지역에 고속도로를 연결해서 서안-성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서 부활에 성공했다.

4. 관련 문서



[1] 애초에 '한중'이라는 이름도 한수에서 따온 거다. 한나라~위진남북조 시기엔 '이 지방은 토양이 비옥하고 물이 맑다. 공품이 나오는 것은 거의 삼촉三蜀(촉군,광한군,건위군)과 맞먹을 정도였다'는 기록이 화양국지에 있다. 여기서의 한중은 상용까지 아우르는 영역으로 촉한이 차지한 영역보다 더 넓은 구역이다. 하지만 상용이 요충지이기는 하나 대부분 산악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촉한이 차지한 한중 영역에서 나오는 물산이 만만치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2] 원래 광한서부도위-광한북부도위가 있는 곳이었다.[3] 이것은 항우의 사상이 낡은 봉건제의 부활이었기 때문인 점도 크다. 진나라식의 중앙집권제가 아니라 옛 춘추전국시대 국가의 후예들에게 봉토를 내려 왕으로 삼은 것뿐이니 명목상으로는 항우(혹은 초왕 미심)와 동급의 통치자들인 셈이고, 4백 년 한나라의 중앙집권을 경험한 삼국시대와는 사정이 다르다. 물론 그 시절과 달리 이 땅 자체의 정치적인 상징성 자체는 증가했지만.[4] 당시 조조는 위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