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인
1. 설명
한민족의 시조 단군왕검의 조부이며 환웅의 아버지이다.
단군 신화에서 흔히 말하는 하느님의 위치에 있는 신. 하지만 중세부터는 제석이라는 이름으로 '신령'들의 우두머리를 나타내는 개념에 가까워진다. 현대에도 제석신앙이라는 명칭으로 각종 기복신앙에 연결되는데, 이에 이신론적인 해설을 덧붙일 경우에는 '''인격신 이전의''' 원시적인 섭리를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중세 이후의 환인은 무교에서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된다. 제석천, 옥황상제, 하느님까지 온갖 신격들이 대입되는 경우도 많다.
오늘날까지 전국 각지에 전승되는 제석본풀이를 참조하면 업제석·복제석·천궁제석·천존제석·일월제석·용신제석·고깔제석·업영제석·삼신제석·나옹제석·넌출제석·부군제석·도당제석·몸주제석·전안제석·후대제석 등 매우 다양한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민속학자인 조자용은 '''이 수많은 신들이 환인에게서 창조되었다'''고 보았다. 힌두교의 브라흐마와 대입시켜 보면 일리 있는 해석일지도 모른다.
2. 제석천과의 관계
《삼국유사》를 보면 환인이 제석천(謂帝釋也)을 가리킨다고 주를 달아놨다. 제석천은 인도의 신 '''인드라'''의 불교식 이름이다. 인드라의 풀네임은 샤크라 데바남 인드라(Śakra devānām indraḥ, "강력한-천신들의-제왕")인데, 이걸 한자로 음역한 것이 석가라-제환-인타라(釋迦羅-帝桓-因陀羅). 줄여서 석제환인(釋帝桓因)이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물론 신에 대한 생각은 보편적이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천신(天神)에 후대에 도입된 불교가 결합하면서 삼국유사의 신화가 정립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현재 전승되는 한국 신화 중에는 미륵이 세상의 창조주로 되어있기도 하다는 사실을 참고하자[1] . 일제 강점기 때의 학자인 이능화는 도교의 원시천존과 한국의 환인을 동일시하였다[2] .
이러한 불교의 인드라와 토착신앙의 최고신의 동일화는 일찍부터 생겨났는데, 삼국유사에도 제석궁에 상제가 기거한다는 기록이 나오고 동국이상국집에 실린 이규보의 시 노무편(老巫篇 )에 보면 이규보가 개성의 늙은 무당이 개성에서 쫓겨나게 되자 이를 통쾌히 여기며 그 무당의 평소 굿하는 모습을 적고 비판하고 있는데, 여기서 언급되는 신격으로 제석천과 칠원성군(칠성신), 구요가 언급된다.[3]
한편 일부 재야사학자들은 환인이라는 표현은 우리 고유의 말인 한님이라는 말을 음차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우리말 한은 "크다"라는 뜻이지 하늘을 뜻하는 말은 아니고, 삼국유사 원문을 곡해한 설명이라 받아들기 힘들다. 민족문화대백과에는 한에 설명에 대해 최상급 형용사로 설명하고 있으며*, 환인에 대한 설명에서도 태양신으로서의 의미 해석만 담은 게 아니라 다른 설들도 같이 소개하고 있다.*
3. 신앙의 변천
고대에는 다른 민족들의 천신과 비슷한 한민족의 천신 개념이었다. 하지만 역사의 흐름에 따라 환인 신앙도 변천을 겪게 되는데, 특히 사대교린을 표방하며 천제 거행을 중지한 조선 시대에 하느님으로서의 제석은 거의 잊히게 된다.[4] 그런데, 가신(家神)으로서의 제석신 신앙이 발달하고, 무당의 제석거리와 각 집의 제석신앙으로 이어져 산신(産神)·수명신·생산신 등으로서 신앙되면서 인간 생존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기능을 지닌 신으로서 믿어지게 되었다. 그러다 1996년 말 제석의 바른 인식과 전통 제석굿을 보존하기 위하여 전통제석굿보존회가 서울에서 결성되고 전통제석굿발표회를 여는 등 제석신앙의 복원운동이 일각에서 일고 있다.
오늘날에는 한때 하늘의 제일신이었던 그 위상은 거의 사라지고 대개 부귀영화의 신령이나 조상을 위하는 신령으로 믿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굳이 말하자면 이건 한국 내 거의 모든 종교의 신 및 초월적 존재가 겪는 공통현상이다. 한국 내의 기독교와 불교도 이미 기복신앙의 성격을 띤 지 오래인 것을 보아도 명백한 사실.
매년 10월 3일 개천절에 서울의 사직공원과 평양의 단군릉을 비롯하여, 한반도 전체의 단군사당에서 일제히 개천절 행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4. 대중문화 속의 환인
- 마블 코믹스의 스카이 파더의 일원. 다만 목록에만 있고 직접 등장한 적은 없다. 스카이 파더들의 구성원을 생각해 보면 아마 위의 제석천보다 무속신앙의 하느님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5]
5. 관련 항목
[삼국유사] [제왕운기] [1] 참고로 중국과 일본에서도 비슷했다. 한국 신화의 사례는 1923년에 민속학자인 손진태가 지금의 함경도 일대에서 채록한 사례였다.[2]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능화의 저서 조선도교사에서 환인과 원시천존을 같은 위격으로 놓았다. 다만 이 주장은 토르=제우스=인드라 설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뒷받침하는 사료가 있는 게 아니라 신의 위격을 보고 이능화가 주장한 것이다. 따라서 반론도 많다.[3] 여담으로 이규보는 무속을 비판할 목적으로 노무편에 당시 무속인들이 굿하는 모습과 그들이 섬기는 신격 등에 대해 매우 세밀하게 적어 놓았는데, 현대에는 이 부분이 한국 무속신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아주 잘 쓰이고 있다.(...) [4] 이 때는 마니산 참성단 제사나 소격서 등에서 옥황상제로서 눈 가리고 아웅 식 천제를 올렸다. 자세한 내용은 옥황상제 항목 참조.[5] 스카이 파더의 구성원은 각종 신화의 우두머리격 신들이다. 즉 제석천인 인드라 또한 속해있으니 환인은 별개의 신격으로 구분될테니 그런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