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

 


1. 개요
2. 중국 주, 당, 송 왕조의 도성제
2.1. 한국사
2.2. 중국사
2.3. 일본사
2.4. 베트남사


1. 개요


皇城
사전적 의미는 황제가 거주하는 성. 황도(皇都), 제성(帝城)과 같은 의미다. 그래서 외왕내제였던 고려의 개경, 대한제국 시절 한성부의 별칭이었다. 황성신문이나 황성 YMCA 야구단이 그 예.

2. 중국 주, 당, 송 왕조의 도성제


건축물로서 의미는 내성(內城)과 동일하다. 동아시아 유교식 상하관계에 있는 천자만이 세울 수 있는 성벽이다. 하늘의 대행자이자 아들인 천자(天子)는 수도에 나성#s-2(외성) > '''황성(皇城)''' > 궁성 순으로 지을 수 있다. 보통 이 도성제를 따른 수도는 궁궐의 크기를 황성까지 잰다.
당나라의 장안이 그 시초로 주례에 따라 오문을 두고 직사각형으로 반듯하고 건물이 깔끔하게 정리된 모습을 띄고 있다. 일반적으로 황성은 궁성에 붙어있고 궁성 앞부분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다. 그래서 중국 왕조의 오리지널 황성은 크기가 작다. 단 자금성의 황성은 서쪽의 중난하이와 북쪽의 북해,경산공원과 남쪽의 태묘,사직을 감싸고 있어서 큰편이었다. 안엔 보통 정부 청사나 원구단, 사직 등 제단이 설치됐다.
한국사에서 등장은 발해부터인데 그 이전 왕조들은 중국에서 유교식 궁성 질서가 넘어오기 전에 이미 고대 한국의 독자적인 원칙을 가지고 도성을 완성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발해는 아주 완벽하게 당나라 도성제를 수용했다. 당 장안과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태봉과 고려는 당제와 살짝 달라졌다.
태봉은 직사각형으로 외성, 내성, 궁성을 지었지만 내성의 크기가 매우 컸다. 이는 당식 도성제를 독자적으로 수용해 고쳐 사용했기 때문이다. 고려는 나, 황, 궁성 순의 순서만 따르고 자연과 산의 지형을 맞추어 완전히 독자적으로 지었다. 그래서 황성이 크다. 심지어 고려는 황성 정문이 남대문이 아니라 동대문이었다고 추정된다. 조선의 경우 희한하게 황성을 짓지 않고 바로 궁성 경복궁이 있었다. 왜인지는 모르지만 아마 성리학에 입각한 제후를 자처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고려는 고려사, 고려도경, 조선 시대에 편찬된 수많은 지리서와 실제 유적으로 황성의 존재를 입증할 수 있다. 사실 고려 이전에도 한국사엔 발해와 태봉이 황성을 쌓았다고 추정되는데 왜 추정만 하나면 발해는 중국이 철저히 관련 정보를 막아버렸기 때문이고 태봉은 한국과 북한 사이에 끼여서 연구고 뭐고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조선 경복궁은 황성이 없다.
그래서 한국과 중국의 궁궐 크기를 비교할 때 자주 논란이 되는게 '''"궁궐의 범위가 어디까지냐?"'''이다. 정확히 당나라식 도성제를 따라 지었다면 황성의 범위까지가 궁궐이지만 한국은 발해 외에 그런 왕조가 없다...
예를 들면 중국 자금성의 궁궐 둘레 길이를 황성의 길이로 감안하면 약 4,000m인데 '''태봉의 황성 길이는 7,700m, 고려는 4,800m다.''' 즉 이렇게 되면 태봉과 고려는 명나라보다 압도적인 길이의 궁궐을 가지게 된 것이다. 만약 궁성 크기로만 따지면 자금성은 3,400m인데 태봉은 1,800m, 고려는 2,200m다. 태봉과 고려는 내성에 비해 작은 궁성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런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1]

2.1. 한국사


고려 왕조의 황성은 세 성이 있었다.
발해 왕조의 황성은 한 도시가 추정된다.
  • 상경성 황성. 상경용천부 문서로. 한국 황성 중 유일하게 당식 도성제를 철저히 지켰다.
태봉 왕조는 황성(내성)의 유적이 남아있다.

2.2. 중국사


당나라의 황성.
명나라 / 청나라의 황성.
  • 자금성 황성. 해당 문서로. 근대 이후 잦은 훼손으로 황성이 거의 없어졌다.

2.3. 일본사




2.4. 베트남사



[1] 심지어 고려는 궁궐이 산 위에 있어서 높이가 가파르고 둘레가 짧았다. 송나라의 고려도경도 이 점을 언급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