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도경
1. 개요
원 제목은 <선화[1] 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줄여서 고려도경이라고 한다. 북송의 사신 서긍(徐兢, 1091-1153)이 1123년에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인데, 고려시대 생활 풍속을 알기 쉽게 설명하여 오늘날 고려사 연구자들이 필히 참고하는 서적이다.
2. 역사
선화 5년인 1123년은 고려 예종이 붕어하고 인종 임금이 즉위한 다음해인데 북송은 예종을 조문하고 인종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사신을 보냈다. 이 사신단은 벽란도를 통해 고려의 도성 개경의 사신 숙소인 순천관에 한달가량 머물렀는데 이때 보고 들은것들 중에서 중국과 같은 것은 버리고 중국과 다른 풍속을 기록해서 3백여 조가 되었고 이를 정리하여 40권으로 만들었는데, 물건은 그 형상을, 일은 설명을 달아 '선화봉사고려도경'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3. 특징
도경이라는 말 답게 '''원래 그림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 책 간행 2년 만에 정강의 변이 일어나는 바람에 '''그림을 날려먹었다.''' 만약에 남아있었다면 고려의 사찰 및 궁궐같은 고려건축과 회화는 물론 고려시대 복식사와 생활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아래에도 언급하지만, 고려도경 자체는 그 한계 때문에 정확도를 의심받는 책이라서, 시간에 없어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타국인이기 때문에 편견을 가질 사신의 생각을 서술한 글보다는, 눈으로 본 경험이라 할 그림이 더 중요한데, 그 그림이 날아갔다. 물론 개화기 서양인들이 제대로 이해 못하고서 그린 조선에 대한 온갖 말도 안되는 그림들을 보면, 그림이라고 완벽하게 믿을 만한 것도 아니지만... 사실 서긍도 이 책 한부를 따로 가지고 있었는데, 누군가에게 빌려주었다가 나중에 그림을 분실한 상태로 다시 찾았다고 한다. 이때 다시 그림을 그릴 수도 있었지만 안 내켜서 안했다고(...). 이후 1167년 서긍의 조카 서천이라는 사람이 그림 없는 버전으로 재간행한 것이 오늘날에 이른다.
계림지(鷄林志) 등을 참고 하여 건국부터 풍속 등까지 내용을 소개하고, 작업 과정 등을 설명하였는데, 아무래도 사신이 고려를 오가는 과정과, 개성에 틀어박혀서 보고 들은 정보 위주에, 중국인 기준으로 서술해 송 황제에게 올린 글이기 때문에 교차검증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
- 서긍은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가 아니라 정말로 고구려에서 그대로 이어져내려온 똑같은 나라라고 착각했다. 그래서 고려의 역사와 관직에 대한 설명이 고구려의 것과 혼재되어 오류가 많다. 참고로 현대에는 고구려와 고려를 구분해 부르지만, 사실 고구려는 장수왕 때 국호를 고구려에서 고려로 바꿨었다. 왕건은 그 국호를 그대로 가져다 고려를 건국했다. 그러니 정보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고대와 중세에는 착각할 만도 하다. 이런 혼동은 중국이나 일본의 여러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전근대에는 외국인이 고려가 고씨에서 왕씨로 바뀌었다는 정도만 알아도 한국사를 비교적 많이 아는 것이었다. 나중에 몽골 관리아 사천택이 '너희 나라에서는 재상을 막리지라 부른다지?' 라고 물어봐서 고려 사신 이장용(李藏用)이 뻘쭘해한 일화도 있다.
- 고려가 바닷가에 위치해 있으면서 선박이 지극히 단순하고 조잡하며 작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고려는 여진족 해적을 토벌하면서 일본까지 원정을 갈 정도로 선박/항해기술이 뛰어났고(과선 문서 참조), 근래 고려시대의 고선 발굴을 통해 대형선의 존재도 입증되었다. 물론 당시 서긍 일행이 타고 온 사신선인 신주(神舟)에 비하면 보잘것 없을지 몰라도, 신주 자체도 당시 송나라에서 엄청난 기술력과 자본을 투자해 만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고려의 선박 수준은 전혀 낮은 수준이 아니다. 아마 서긍이 고려에 있는 동안 그런 배를 보지 못했던 모양이다.
당대 고려의 인물들에 대해서도 국왕 인종을 비롯해 이자겸, 윤언식, 김부식, 김인규, 이지미 등을 설명했다. 지나가면서 이름과 직책을 언급만 하는 수준으로 척준경을 소개하기도 한다.
이번에 사자가 국경에 들어가매, 모든 신하들 중에 현명하고 민첩한 자들을 가리어 영접하는 예절을 맡겼는데, 주목(州牧) 중에는 형부시랑 지전주(刑部侍郞知全州) 오준화(吳俊和), 예부시랑 지청주(禮部侍郞知靑州) 홍약이(洪若伊)ㆍ호부시랑 지광주(戶部侍郞知廣州) 진숙(陳淑)이 맡았고, 맞아 위로하고 전송하는 일은, 은청광록대부 이부시랑(銀靑光祿大夫吏部侍郞) 박승중(朴昇中),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중서시랑 중서문하평장사(開府儀同三司守太保中書侍郞中書門下平章事) 김약온(金若溫),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開府儀同三事守太保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최홍재(崔洪宰),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문하시랑 겸 중서문하평장사(開府儀同三司守太保門下侍郞兼中書門下平章事) 임문우(林文友),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척준경(拓俊京)'''ㆍ이자덕(李資德)이 맡았었는데, 이들은 모두 왕의 근신이다.
4. 여담
2015학년도 역사교사 임용고시 단답형 1번 문제로 출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