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난하이
[image]
中南海, 중남해.중난하이의 조감도
1. 개요
베이징시 시청구(西城区)에 있으며 자금성의 서쪽 바로 옆에 위치한 곳으로 과거 금·원·명·청 시대에는 황실의 원림이었다.[1]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당/정/군의 전현직 최고위 지도자들의 집무실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등이 있어 예나 지금이나 일반인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 2006년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청와대와 국무총리 관저와 공관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더군다나 중난하이는 현직 지도부는 물론 전직 지도부의 거주지 역할 또한 한다. 상당수의 전직 지도부와 그 가족들이 퇴임 이후에도 오랫동안 거주하기도 한다.
2. 역사
2.1. 금나라와 원나라
베이징이 금나라의 수도인 중도(中都)였을 때 현재의 북해와 중해는 태액지(太液池)라는 호수였고 그 인근에는 황제의 여름 별궁인 대녕궁(大寧宮)이 있었다. 이곳의 경치는 이미 이때부터 절경으로 이름 높아 황제들이 자주 머물렀다. 이후 원나라가 금을 멸망시킨 뒤 쿠빌라이 칸이 금의 중도를 폐기하고 새로운 수도인 대도(大都)를 건설하면서 태액지를 황궁에 포함시켜 그 주변에 대내(大內)[2] ·융복궁(隆福宮)·흥성궁(興聖宮)의 세 궁전을 지었다.
2.2. 명나라
그리고 명나라 때인 1406년(영락 4) 영락제가 남경에서 북경으로 천도하자 이곳은 다시금 황궁의 후원으로 편입되었다. 영락제가 자금성의 위치를 원나라의 황궁보다 약간 남쪽으로 앞당기면서 태액지 남쪽에 남해를 팠으며, 여기에서 나온 흙과 자금성 주위를 두르는 호성하를 파면서 나온 흙을 모아 황성 북쪽에 만수산(萬壽山, 뒷날 경산(景山)으로 개칭)을 쌓았다. 1459년(천순 3)에는 이곳에 광대한 규모의 서원(西苑)을 건설했다. 가정제가 자금성 건청궁에서 벌어진 임인궁변으로 죽을 뻔하자 서원으로 거처를 옮겨 20년간 지내다가 죽기 전날에야 환궁하기도 했다(…).
2.3. 청나라
청나라가 북경으로 천도한 후에는 북해·중해·남해의 3해(三海) 주변에 붉은색 담을 둘러 원림의 면적이 호수 주변에 거의 맞닿을 만큼 축소되었다. 청나라 역대 황제들은 이곳을 여름 피서지로 사용하며 정무를 돌봤고, 사람 살기에는 살풍경한(…) 자금성보다 이곳을 선호했다.
사실 대부분의 황제들이 국가적인 주요 의식이 몰려 있는 12월에서 1월까지의 연말연시에만 자금성에 머물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중난하이나 원명원, 승덕 피서산장 등의 별궁에서 기거하였다. 이는 동치제와 광서제 때 권력을 잡고 중국을 통치한 서태후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무술정변 이후 광서제가 죽을 때까지 유폐된 영대(瀛臺)가 바로 이곳의 남해에 있었다. 1900년(광서 26) 의화단 운동 때는 8개국 연합군의 약탈을 당하기도 했고 선통제가 즉위하면서는 생부인 순친왕이 머무는 섭정왕부가 지어지기도 했다.
2.4. 중화민국
1911년(선통 4) 신해혁명으로 청 왕조가 멸망하면서 위안스카이의 북양정부 총통부가 이곳에 설치되었다. 1915년 위안스카이가 스스로 황제를 칭하면서 중난하이를 신화궁(新華宮)으로 개칭하기도 했지만 한바탕 칭제 소동의 와중에도 계속해서 북양 정부의 요인이 집무하는 관저 역할을 수행했다.[3] 1927년 중화민국 육해군 대원수로 취임한 장쭤린이 집무실로 사용한 것을 마지막으로[4] , 1928년 6월에 베이징이 국민정부에 함락되고 국민정부가 그간 수도로 삼아온 난징의 정통성을 강조하면서 더 이상 관저로 쓰이지 않고 일반인들에게 공원으로 개방되었다.
2.5. 중화인민공화국
오랜만에 일반에 개방되었던 중난하이는 개방한지 20여년만인 1949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들어서고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등의 최고위 지도자들이 이곳에 관저를 두면서 다시금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었다. 다만 중해와 남해만 그렇고, 북해는 '북해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일반에 개방되고 있다.
3. 주요 건축
3.1. 중해
3.2. 남해
4. 기타
옛날에는 중난하이에 특히 느릅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그런데 1883년(광서 9) 하루는 서태후가 느릅나무 아래를 지나다가 벌레가 옷에 떨어지자 대노하여 정원의 느릅나무를 모두 베어 버리도록 했다(…).
2011년부터 중국 정부가 중난하이 확장 공사를 했다고 홍콩의 밍보가 보도했다. 이주 보상금도 다른 철거 지역보다 배 이상을 줬다고.
북해와 후해 지역은 일반에 개방되었다. 그 밖의 지역도 부분 개방 가능성이 좀 보인다.
5. 같이보기
[1] 청와대도 경복궁 후원자리에 만들어졌으니 이러한 점에서 비슷하기는 하다. 다만 청와대의 경우에는 중국으로 친다면 징산에다가 관저를 만든 격에 더 가깝기는 하지만.[2] 특정한 궁궐의 명칭이 아니라 황제의 정궁을 가리키는 일반명사.[3] 다만 위안스카이는 1913년 10월10일에 정식으로 대총통에 취임하기 전까지 외교부 거리의 호텔과 청나라 육해군부 건물을 집무실로 사용했으며 리위안훙은 1912년에 위안스카이가 사 준 건물에 거주하기 시작해 부총통 및 총통 재임기간을 포함해서 사망할떄까지 거주했다. 또한 임시집정 돤치루이는 청나라 육해군부 건물을 집무실로 사용했다.[4] 장쭤린은 중난하이에 거주하지 않고 1921년에 청나라 황족으로부터 매입한 순승군왕부(顺承郡王府)를 관저로 사용했다. 순승군왕부는 이후 장쉐량의 소유하에 있다가 1949년 이후 중국 공산당정부로 소유가 넘어가서 현재는 중국 정부 관련 시설이 들어서 있다.[5] 중화민국이 성립하면서 수도를 남경으로 정해 북경을 북평으로 개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