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꼬리수리
[image]
먹잇감을 잡는 모습
[image]
[1]
수리목 수리과의 조류. 몸길이 80∼94cm, 익장 2.45m.
크고 아름다운 맹금류로, 몸 빛깔은 황갈색에서 담황갈색의 머리와 목, 백색 꽁지를 제외하고는 균일한 갈색이다. 새끼때는 머리와 목의 담색부가 없고 전체가 갈색으로 얼룩지며 백색을 띤 꽁지는 나이에 따라 차가 있다. 어릴 때는 꼬리가 얼룩덜룩하다가 나이가 들수록 흰색으로 변한다. 북아메리카 지역에는 반대로 머리가 흰색인 흰머리수리가 산다.
해안의 바위, 진흙 갯벌, 소택지, 내륙의 호수, 하천, 하구 및 개활지나 산림에도 서식하나 산악지대에는 살지 않는다. 단독으로 생활하지만 번식 직후 어린 새를 동반하기도 한다. 날개를 완만하게 퍼덕거려 난다. 비상할 때 날개를 곧게 수평으로 뻗고, 날개를 퍼덕여 날 때 날개를 일정한 각도로 굽힌다.
산란기는 2월 하순에서 4월 중순이며 1∼4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물고기나 작은 짐승으로 때때로 사슴이나 여우, 고니 등 대형 동물을 사냥하기도 한다.
아시아 북부, 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겨울에는 결빙되지 않은 수면을 찾아 일부가 남하 이동한다. 한국에서는 임진강, 한강, 낙동강 등의 대형 하천이나 하구, 또는 동서 해안 및 남해 도서 연안 등 도처에서 월동한다. 드물게도 2012년 흑산도에서 한쌍의 개체가 번식했던 기록이있다.[2]
1973년 4월 12일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겨울철에는 서울에서도 나름 쉽게 볼 수 있다. 한강 상공에서 자주 날며, 한강이 결빙되었을 때는 흔히 강 한가운데 얼음 위에 앉아서 쉬기도 한다.
신체의 일부분이 흰색이라는 점에서 미국의 흰머리수리와 비슷하다. 실제로 이 둘은 같은 속에 속한다.
다른 맹금류에 비해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은 편인데, 국내의 경우 검독수리나 참수리에게 밀린다.
해안지역에 서식하는 특성 덕에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2010년부터 독수리 대신 상징으로 채용했다.
울음소리는 쥐라기 공원의 랩터의 울음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 듯 하다. https://youtu.be/cm6iyq0H0rA
말똥가리와 솔개 다음으로 맹금류의 울음소리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녀석이다.
미국에선 흰머리수리가 국조라면 폴란드의 국조는 바로 이 흰꼬리수리로 지정되어 있다.
[image]
로마시대부터 이어져온 국가수리[3] 전통에 따라 흰꼬리수리를 국가 문장으로 사용중이다.
먹잇감을 잡는 모습
[image]
[1]
1. 개요
수리목 수리과의 조류. 몸길이 80∼94cm, 익장 2.45m.
크고 아름다운 맹금류로, 몸 빛깔은 황갈색에서 담황갈색의 머리와 목, 백색 꽁지를 제외하고는 균일한 갈색이다. 새끼때는 머리와 목의 담색부가 없고 전체가 갈색으로 얼룩지며 백색을 띤 꽁지는 나이에 따라 차가 있다. 어릴 때는 꼬리가 얼룩덜룩하다가 나이가 들수록 흰색으로 변한다. 북아메리카 지역에는 반대로 머리가 흰색인 흰머리수리가 산다.
해안의 바위, 진흙 갯벌, 소택지, 내륙의 호수, 하천, 하구 및 개활지나 산림에도 서식하나 산악지대에는 살지 않는다. 단독으로 생활하지만 번식 직후 어린 새를 동반하기도 한다. 날개를 완만하게 퍼덕거려 난다. 비상할 때 날개를 곧게 수평으로 뻗고, 날개를 퍼덕여 날 때 날개를 일정한 각도로 굽힌다.
산란기는 2월 하순에서 4월 중순이며 1∼4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물고기나 작은 짐승으로 때때로 사슴이나 여우, 고니 등 대형 동물을 사냥하기도 한다.
아시아 북부, 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겨울에는 결빙되지 않은 수면을 찾아 일부가 남하 이동한다. 한국에서는 임진강, 한강, 낙동강 등의 대형 하천이나 하구, 또는 동서 해안 및 남해 도서 연안 등 도처에서 월동한다. 드물게도 2012년 흑산도에서 한쌍의 개체가 번식했던 기록이있다.[2]
1973년 4월 12일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겨울철에는 서울에서도 나름 쉽게 볼 수 있다. 한강 상공에서 자주 날며, 한강이 결빙되었을 때는 흔히 강 한가운데 얼음 위에 앉아서 쉬기도 한다.
2. 기타
신체의 일부분이 흰색이라는 점에서 미국의 흰머리수리와 비슷하다. 실제로 이 둘은 같은 속에 속한다.
다른 맹금류에 비해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은 편인데, 국내의 경우 검독수리나 참수리에게 밀린다.
해안지역에 서식하는 특성 덕에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2010년부터 독수리 대신 상징으로 채용했다.
울음소리는 쥐라기 공원의 랩터의 울음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 듯 하다. https://youtu.be/cm6iyq0H0rA
말똥가리와 솔개 다음으로 맹금류의 울음소리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녀석이다.
미국에선 흰머리수리가 국조라면 폴란드의 국조는 바로 이 흰꼬리수리로 지정되어 있다.
[image]
로마시대부터 이어져온 국가수리[3] 전통에 따라 흰꼬리수리를 국가 문장으로 사용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