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image]
'''개최지'''
[image]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일정'''
1994년 2월 22일 ~ 2월 26일
'''경기장'''
Hamar Olympic Amphitheatre
'''주관 단체'''
[image]국제빙상경기연맹
'''경기 종목'''
6개 종목
'''참가국'''
19개국
'''참가 선수'''
87명
1992
1998
1. 개요
2. 출전국
3. 결과
4. 메달 집계
5. 기타


1. 개요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개최된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문서. 모든 경기는 2월 22일부터 2월 26일까지 Hamar Olympic Amphitheatre에서 열렸다.

2. 출전국


'''출전국 목록'''[1]
'''유럽'''
노르웨이(4) · 네덜란드(5) · 러시아(6) · 불가리아(3) · 벨기에(4) · 스웨덴(1) · 영국(3) · 이탈리아(9) · 프랑스(5)
'''아시아'''
대한민국(7) · 몽골(1) · 일본(5) · 중국(8) · 카자흐스탄(1)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1)
'''아메리카'''
미국(8) · 캐나다(10)
'''오세아니아'''
뉴질랜드(5) · 호주(5)

3. 결과


'''여자'''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500m'''
[image] 캐시 터너
45.98
[image] 장옌메이
46.44
[image] 에이미 피터슨
46.76
'''1000m'''
[image] 전이경
1:36.87
[image] 나탈리 랑베르
1:36.97
[image] 김소희
1:37.09
'''3000m 계주'''
[image] 대한민국
4:26.64
[image] 캐나다
4:32.04
[image] 미국
4:39.34
전이경
원혜경
김소희
김윤미

실비 데이글
나탈리 랑베르
이자벨 차레스트
크리스틴 부드리아

에이미 피터슨
캐시 터너
캐런 캐슈먼
니키 지겔마이어

'''남자'''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500m'''
[image] 채지훈
43.45
[image] 마르코 부일레르민
43.47
[image] 니키 구치
43.68
'''1000m'''
[image] 김기훈
1:34.57
[image] 채지훈
1:34.92
[image] 마크 가뇽
1:33.03
'''5000m 계주'''
[image] 이탈리아
7:11.74
[image] 미국
7:13.37
[image] 호주
7:13.68
마르코 부일레르민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오라치오 파고네
후고 헤른호프

앤디 게이벌
랜디 바츠
존 코일
에릭 플레임

스티븐 브래드버리
리처드 니질스키
앤드루 머사
키런 핸슨


4. 메달 집계


[image]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메달 순위'''
'''순위'''
'''국가'''
'''금'''
'''은'''
'''동'''
'''총합'''
'''1'''
[image] 대한민국
4
1
1
6
'''2'''
[image] 미국
1
1
2
4
'''3'''
[image] 이탈리아
1
1
0
2
'''4'''
[image] 캐나다
0
2
1
3
'''5'''
[image] 중국
0
1
0
1
'''6'''
[image] 호주
0
0
1
1
[image] 영국
0
0
1
1
'''총합'''
'''6'''
'''6'''
'''6'''
'''18'''

5. 기타


  • 여자 1000m와 남자 500m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러시아, 몽골, 불가리아, 스웨덴, 카자흐스탄이 처음으로 쇼트트랙에 출전했다.
  • 대한민국김기훈은 남자 1000m에서 우승하며 올림픽 2연패에 성공했다.
  • 미국캐시 터너는 여자 500m에서 우승하며 올림픽 2연패에 성공했다.
  • 대한민국전이경이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우승하며 2관왕에 올랐다.
  • 남자 1000m에서는 영국 선수의 니키 구치와 캐나다의 데릭 캠벨이 넘어졌다. 니기 구치는 실격됐고 데릭 캠벨은 일어나 달렸지만 바퀴수를 착각해 한 바퀴를 남겨둔 채 레이스를 끝마치지 않았고 결국 파이널 B에서 1위를 한 캐나다의 마크 가뇽이 동메달을 땄다.
[1] 괄호 안의 숫자는 선수단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