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½톤 트럭

 


1. 개요
2. 미군 원조
2.2. J603
2.3. M602
2.4. M211
2.5. M35 계열
3. 국내 개발
4. 민수차량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


'''deuce-and-a-half.'''
미국이 1944년에 개발하고 전세계 각지에 뿌려진 트럭. 허나 2차대전 때는 이용되지 못했고 1949년부터 미군에서 쓰이기 시작했다.
미군과 그 동맹국들, 그리고 그 중 하나인 대한민국 국군이 운용하는 군용 트럭 중 하나로, 후방이나 포병대[1]를 제외한 일반적인 야전 부대에서 쓰는 트럭이라면 이것을 떠올리는것이 보통이다. 공군에서는 '방공포차량'으로 통한다.
수송부의 주력으로, 현재 국군에서 운용중인 장비의 제식번호는 K51x[2]/K51xA1이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기본형 카고트럭의 제식번호는 K511/A1이다.
대한민국 국군이 운용한 역사는 창군과 함께 GMC G438 모델을 운용하면서 시작되었다.
한국군에 있어서는 전시 상황에 60만 이상의 대군을 지원하고 보급하는데 그럭저럭 충분한 수량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노후 차량 문제는...
일각에서는 민수용 차량이 많으니 평상시에 군대에 막대한 차량을 비치해서 불필요한 관리 비용을 부담하기 보다는 총력전 상황에서는 민간의 차량을 징발하여 부족분을 해결하는 것이 낫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반대쪽 의견에서는 군용차와 민수용 트럭은 험지 돌파 능력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5][6] 전쟁 상황에서는 맞지 않다고 본다. 남한 내에서 전쟁하기 위해 포장 도로를 달리는 것이라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북한의 산길이며 전투로 파괴된 지형을 달려야 하는 상황에서 민수용 트럭을 쓰다가는 예상치 못하게 쉽게 퍼져 보급이 끊기고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또한 총력전 상황에선 후방의 산업력과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 또한 전쟁을 지속하기 위해 중요한데, 민간 트럭을 무턱대고 징발해 버리면 운송 수단을 빼앗긴 산업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도 없고 갑작스레 사유 재산을 빼앗긴 국민들의 지지도 떨어질 것이다.[7]

2. 미군 원조



2.1. G508


[image]
GMC에서 생산한 카고트럭으로, CCKW 353이라고도 불린다. 1945년 해방 이후 창군과 함께 국내에 카고형으로만 도입되어 1966년까지 운용되었으며, 퇴역 이후로는 J603이 그 자리에 들어오게 된다.

2.2. J603


[image]
1960년부터 도입된 차량. 생산은 토요타에서 이뤄졌고# 토요타에서의 명칭은 2DW15L이다, G508의 노후차량 대체와 차량 추가 도입을 위해 생산되었다. 대한민국 국군이 최초로 도입한 디젤 차량이기도 하며, 이 차량이 의외로 평판이 좋아서 육공트럭이라는 애칭은 비공식적으로 여기서 유래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다. 1976년에 토요타 D형 디젤 엔진에서, 신진그룹 시절의 한국기계[8]가 처음으로 라이센스 생산하기 시작한 MAN D0846HM엔진으로 교체되었으며, MAN D0846HM 엔진의 성능에 흡족한 대한민국 국군은 K-511에도 MAN 0846HM 엔진을 탑재하였고, 이후에 M602/M35계열 트럭의 엔진도 MAN 0846HM 엔진으로 교체한다. 이후 K-511이 도입 될 때 까지 장기 운용되다 1989년 전량 퇴역하였다.
민간에 불하된 이후로는 제무시로 불리며[9] 산지에서 목재를 운반하는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금도 강원도나 경기도 북부 산간지대로 가면 가끔가다 볼 수 있다. # ## ### ####
종류: 군용 중형트럭
엔진: 5,890cc 6기통 수냉식 디젤 엔진 (토요타 D형). 102PS / 33kg.m
변속기: 전진 4단, 후진 1단
전원: 24V
속도: 최대 96㎞/h
길이: 6.81m
폭: 2.26m
높이: 2.79m
중량: 5,070kg
탑재량: 4,536kg(포장)/2.268kg(야지)
도입연도: 1960년~1964년


2.3. M602


[image]
G508의 퇴역 이후 도입되었다.
미군이 운용하는 M계열 차량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카고트럭과 그를 기초로 한 계열 차량들이 도입되기 시작한다. 덤프트럭이나 샵밴등이 대표적이며, 이 트럭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도입되었는데 주로 1974~1976년 사이에 대량으로 도입되었으며 먼저 도입된 J603이 디젤엔진을 쓴것과 달리 M602는 6기통 가솔린 엔진을 사용했다. 1984~85년에 대우중공업 생산 MAN D0846HM 디젤엔진으로 교체하여 연명하다가 1994년 전량 퇴역한다.
참고로 이 차량의 카고형 모델번호인 M602에서 '''육공트럭'''이란 명칭이 본격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기술적으로는 미군이 1950년대 초반부터 운용한 M35 2½톤 트럭 과 대동소이[10]하며 디자인은 후계 차량으로 개발된 K-511로도 이어진다.
위의 G508과 마찬가지로 주한미군이 민간에 불하한 차량들이 제무시 트럭으로 현역으로 뛰고 있다.
종류: 군용 중형트럭
엔진: 6기통 수냉식 가솔린 엔진 (컨티넨탈 OA-331). 146HP
변속기: 전진 5단, 후진 1단
전원: 12V
속도: 최대 89㎞/h
연비: 2.54km/L
항속거리: 480㎞
최고등판능력: 60%
도섭능력: 0.671m
길이: 6,71m
폭: 2,44m
높이: 2,8m
중량: 5,654kg
탑재량: 4,695kg
도입연도: 1966년~1976년


2.4. M211


[image]
본격적인 국내 도입은 1968년~1969년에 월남전 철수 미군으로 부터 도입한 중고 차량으로 1971년까지 고작 3년간 사용하였다. 대한민국 육군이 역대 보유했던 2½톤 트럭 중에서 가장 단명한 차량인데 덕분에 대한민국의 역대 군용차 중에서는 가장 존재감이 없다. 게다가 도입 당초부터 월남전에서 상당히 혹사당하다 온 1950년대 년식의(1951년 첫 생산) 중고차량이라 상태가 그리 좋지 못했다고 하며 당시의 군용차량 답지 않게 자동 변속기(4단 변속, 2단 레인지, 1단 레인지 싱글 트랜스퍼 케이스)를 탑재 했었지만, 이 자동변속기가 말썽이 많았고 워낙 구조가 복잡해서 정비도 까다로웠던 점도 이 차가 단명하는데 일조하였다. 년식으로 따지면 J603보다 더 오래된 차량(…)이고 G508(CCKW)처럼 GMC에서 생산한 차량으로 사실상 CCKW의 후속모델이다.
[image]
한국전쟁 당시 수원공군기지에서 복무했던 로버트 리 월워스 병장이 1953년 찍은 사진.
다만 국내에 처음 발을 들인 시기는 박정희 정권이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로 1951년과 이후 생산분이 한반도에서 주한미군과 한국군을 수송하고 물자를 보급하는데 사용되었다. 조선호텔 화재사고 당시 기록사진을 보면 50년대 말에도 주한미군에서 운용중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 GMC의 302 CID (L6 4.9)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
선배인 CCKW 처럼 소수의 차량이 산판에서 사용중이다.

2.5. M35 계열


[image]
M35 / M35A1 / M35A2 / M35A2C / M36 [11]
1969년부터 1976년까지 미국의 군사원조로 도입된 트럭으로 M602의 형제차이며 도입시기도 M602와 상당부분 겹친다. M602와의 차이점은 전장계통이 24V라는것이며 그 외에는 거의 대등소이하다. M35계열 트럭도 M602처럼 가솔린 엔진을 썼으며 1984~85년에 대우중공업 생산 MAN D0846HM 디젤엔진으로 교체하여 연명하다가 1994년에 M602와 함께 퇴역하였다. 퇴역 이후엔 민간에 불하되어 CCKW와 마찬가지로 산간지대에서 목재를 운반하는 트럭으로 이용되고있다.

3. 국내 개발



3.1. K-511


  • 해당 문서 참조 바람

3.2. 중형표준차량(가제)


2019년 10월 양산 업체가 결정될 예정이다. 기아자동차 및 한화 디펜스가 이 사업에서 입찰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항목 참조

4. 민수차량


21세기 들어 야전에서 구를 가능성이 적은 후방 부대나, 지원부대, 교육기관등에 보급되는 차량을 상용차량으로 대체하는 민수화가 진행중이다. 이는 특성상 연비나 적재함 면적이 작은 관계로 다량의 화물을 운송하는 군수사령부 등과 같은 부대에서 유지비가 많이 들어서 그런듯.
주로 상용 5톤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이는 견인능력이 2½톤이라 두돈반이라 불리지만 포장도로상 수송능력은 4.5톤이라는 것에 착안한다. 따라서 보급대대가 아닌 야전 부대에서도 민수용 상용 차량을 볼 수 있다. 물론 한 부대의 전 차량이 상용차량으로 교체될 일은 없다. 상용차량은 비포장 야지에서 쓰기 힘드니까. 그래서 민수차량이 많이 보급된 부대들 같은경우 군 차량을 훈련때나 사용한다. 아니면 부대내에서 신병운전 교육용으로 사용하던가.....
주로 보급되는 차량은 현대 메가트럭(4.5t~5t)과 타타대우 노부스 5톤 모델[12]로 2010년부터는 보급되는 차량 대부분이 ZF나 앨리슨사의 자동변속기를 탑재하고 나온다. 군 복무기간이 짧아진데다가 그나마도 입대하는 운전병들이 대부분 사회에서 오토를 몰고 들어와서 수동을 가르쳐서 실제로 써먹으려면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물론 후반기교육을 받고 오긴 하지만 대부분 영내에서만 돌기 때문에 실제 운행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비 문제등이 조금 걸리긴 하지만 조금 큰 수리를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상급부대나 민간 수리센터로 가기 때문에 크게 상관없다.[13]
참고로 그렇게 연비를 따지는 민간 5톤 트럭 시장도 자동변속 차량이 꽤나 많이 보급되어 있다. 고속도로에서의 장시간 정속 주행에선 자동 변속기의 기어비가 낮기 때문에 유리하고, 가감속이나 오르막/내리막이 많은 환경에서도 최적의 변속을 해 주는 반응 속도 측면에선 자동 변속기가 수동 변속기보다 앞서기 때문이다. 물론 급격한 오르막이나 힘을 써야 되는 곳에서까지 변속이 이뤄져 곤란함을 간혹 겪긴 하지만 이는 수동 모드를 이용해 충분히 극복이 가능하다.
심지어 트럭 쪽에서는 굉장히 보수적인 북미 지역마저도 최근 자동 변속기 차량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연비면에서 이제는 수동 변속기를 앞서기도 하고 유지보수면에서도 수월하기 때문이다.[14] 현재 대부분의 북미 물류회사들은 신규차랑으로 자동변속기 차량을 주로 출고하는 추세이다. 이를 반영한듯 캐나다의 경우 트럭면허 도로 주행 시험때 자동변속기 차량으로 시험을 보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상용차량 도입시 색깔은 군청색(메가트럭) 및 청색(노부스)으로 통일되어 있긴 하지만 위장무늬 도색도 있다. 기본 사양에 가깝긴 해도 군용 2½톤 차량보다 승차감은 물론 적재량, 속도, 운전 편의성 등 모든 면에서 월등하기에 짬이 좀 되는 운전병들은 이 차량으로 나가는 배차를 원하는 게 보통.
결국 신형 두돈반도 자동변속기를 탑재할 예정이라고 하며, 수동변속기 옵션은 없다.

5. 기타


  • 표기와 실제 견인력이 다른데, 이름의 2½톤은 미국 단위계로서의 톤[15]으로, SI 단위 기반의 국제 표준 톤으로는 2.3톤 남짓 된다.
  • 미군은 1996년부터 LMTV를 도입해 M35 계열들을 상당수 대체했다. 그래서 M35계열은 운용 안할거 같지만 주방위군이나 후방 지원대에서는 아직도 M35의 개량형인 M44를 운용하고 있다. 물론 국군처럼 튜브타이어에 개량도 안하고 쓰는게 아니라, 거의 마개조에 가깝게 개량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조차도 일선 전투부대에서 운용하지는 않는다.2020년 기준 주방위군도 LMTV로 전부 교채했다.
  • 미군에서도 2.5톤 트럭을 두돈반과 비슷하게 Deuce and Half라고 부른다고 한다. Two ton and half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쓴다.
  • 푸른거탑 시즌 2 1편 군기어에서 60트럭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탔으나, 엔진 배기구 위치와 보닛 형상, 하드탑 스타일의 운전석 지붕 등 여러가지 요소로 미루어 보아 K511이 아닌 M35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각종 매체에서 ‘군인’을 상징하는 스테레오타입 소품으로 등장한다. 배경이 해군이나 공군이여도 등장한다.

6. 둘러보기
















[1] 105mm 견인포 포병 부대는 제외함. 이걸로 포 견인은 물론 정찰, 탄약수송 등 뽕을 뽑을 정도로 많이 쓴다.[2] 가장 뒷자리의 숫자는 형태에 따라 달라짐.[3] AWD 트럭은 비싸고 연비도 떨어지기 때문에 민수 시장에서 인기가 적지만, 산골/공사장 등 도로가 열악한 곳을 다니는 운전자들을 위한 민수용 AWD 트럭이 없는 건 아니다. 그나마 군용 두돈 반이 민수용 트럭 대비 내세울 건 AWD 뿐인데 비교 대상으로 이런 물건들이 나오면 정말 모든 면에서 군용 트럭의 성능이 밀린다.[4]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과적의 일상화(....)를 감안해 민수용 화물차들의 안전 여유가 상당히 크다.[5]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소리다. AWD를 채택하거나 직경이 큰 바퀴를 사용하는 등 군용 트럭이 험지 주행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은 맞다. 하지만 K-511은 '70년대'에 설계된 모델이다보니 거의 매년 년식이 바뀌고 수년이면 풀 모델 체인지가 나오는 21세기 민수용 트럭의 기술력을 따라가질 못한다. 현용 군용 트럭은 동급의 민수용 대비 엔진 마력 수부터가 굉장히 밀리고, 런 플랫 타이어는커녕 민수 차량에선 상식인 튜브리스 타이어도 아닌 얇은 튜브 타이어가 아직도 쓰이는 마당이라 접지력도 약하고 접지 압력만 크다. 차대 강도 대비 공중량도 쓸데없이 무겁고 일반적인 민수용 트럭[3]이 험지 주행 능력을 설계 당시 크게 고려하진 않았어도 각종 전자 제어와 그간 발전한 차체/서스펜션 설계[4] 덕에 의외로 꽤 잘 한다. 도로 주행 능력은 말할 필요도 없고, 유사시 전략적 차원에선 상당히 중요한 연비도 도로 주행 기준으론 엄청난 차이가 난다. 진부화만 따져도 이런데 여기에 군용 차량의 노후화 문제가 더해지면..... 이런 문제는 하술할 차기 중형표준차량이 배치되면 해결될 것이다.[6] 일각에선 방탄 성능 때문에 군용 트럭을 써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생긴 것만 무지막지하게 생겼지 현용 군용 차량들도 방탄 성능이 없는 건 매 하나다. 5.56mm K100 보통탄도 200m 정도 거리 안에선 일반적인 구조용 연강 8mm 정도는 관통할 수 있는데, 이런 걸 호루나 일반적인 차량 유리, 두께 1mm 될까 말까한 철판으로 된 문짝 따위가 막아줄 것 같은가? 방탄 성능을 고려하지 않은 차량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9mm 권총탄으로도 반대쪽 문짝까지 깔끔하게 관통당한다. 총격을 방호하려면 차기중형차량이나 기동차량처럼 애초 내탄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하거나 최소한 방탄재를 추가할 중량, 출력 여유가 있어야 한다. 자이툰 부대 파병 당시 레토나 등 그동안 써먹던 군용 차량에 방탄재라도 덧대려고 보니 출력 여유가 없어 값싼 케블라 대신 가볍지만 비싼 다이니마 방탄재를 써야 했다는 것은 꽤 유명한 이야기다. 돌격소총탄 이상의 제대로 된 내탄성을 원하면 이미 그건 트럭의 영역이 아닌 장갑차의 영역이고, 그런 용도로 써먹기 위해 K808/806 차륜 장갑차를 대량 발주 중이다.[7] 이러한 이유로 새 군용 트럭이 개발/도입되기를 굳이 기다릴 것 없이 군에서 민수용 트럭을 구매하여 군용 트럭의 임무를 일부 대체해 온 지는 꽤 오래 되었다. 특히 후방에서 보급/군수를 담당하는 기행 부대에서는 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민수용 트럭을 더 많이 굴린다.[8] 이후에 대우그룹에 인수되어 대우중공업이 된다.[9] 어원은 제조사인 GMC. 당시 소형 트럭과 1/4톤 트럭이 각각 닷지와 지프로 불린 이유와 비슷하다.[10] 유럽권 NATO회원국에서의 운용을 위해 전기계통을 12v로 교체한 정도.[11] M36은 M35의 장축형이다[12] 최근에는 프리마 5톤도 넣는다. 백령도 해병대에서 확인함[13] 신형 민수차량의 경우 일정기간 동안 일상 점검 이외의 차량이상 발생시 상급부대나 민간 수리업체로 보낸다. 아예 상급부대에서 신차 받아올때 제발 차량 건들지 말라고 신신당부까지 할 지경[14] 수동의 경우 기어변속 습관이 나쁘면 부속품이 빠르게 망가진다. 특히 대형 트럭들은 기어 단수가 10단을 넘는 경우도 있는데 아무리 숙련된 운전 기사라도 이런 차량의 기어 변속을 항상 최적으로, 신속하게 행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15] 쇼트 톤(short ton)이라고 한다. 약 907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