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3

 



[image]
대한항공 우남호(HL2002).[1] 현재 인하대학교에 전시되어 있다.
[image]
DC-3-277B 콕핏
1. 개요
2. 개발
3. 활약
4. 파생형
5. 현재
6. 운용사
7. 관련 항목
8. 참고 링크


1. 개요


미국더글라스에서 개발한 중,단거리용 협동체 쌍발 레시프로엔진 여객기. 초창기 단엽 금속제 여객기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기종이다.

2. 개발


첫 시작은 1930년대 초반, TWA의 빡침(...)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무슨 소리인고 하니 당시 TWA는 유나이티드 항공과 불꽃튀는 경쟁중이었는데 유나이티드 항공은 같은 계열사였던 보잉[2]의 당대 최신 여객기인 보잉 247을 주문하게 되었다.[3]
그 시절 항공사들은 특정 항공기 제작업체를 선호하여 해당 업체 제품들만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고 항공기 제작업체 역시 자신들을 선호하는 항공사들에게 우대정책을 펴는 상황이었다.[4] 이러한 상황속에 유나이티드 항공은 보잉의 신형 여객기를 도입했고 보잉은 계열사였던 유나이티드 항공이 주문한 60기의 기체를 납품하기 전까지는 타 항공사들에게 247를 팔지 않는다고 선언해버린다(...).
이에 빡돈 TWA는 더글라스에게 유나이티드 항공과 맞붙을 수 있는 신형 여객기를 주문하는데 이에 대한 더글라스의 응답은 바로 1933년에 출시한 DC-1이었다. TWA의 하워드 휴즈와 기술 자문인 대서양을 처음 횡단한 찰스 린드버그가 이전에 엔진 하나가 고장나 TWA 비행기가 떨어져 전원 사망한 사건 때문에 엔진 하나가 고장나도 날 수 있는 3발기를 요구했는데 더글라스는 쌍발기로 가능하다고 호언장담하며 내놓은 DC-1이 엔진 하나로 못 날자 당장 단종시키고(…) 재설계에 들어가 1934년에는 개량형 DC-2를 선보이면서 TWA를 만족시켰다.
한편 아메리칸 항공의 CEO였던 C. R. 스미스 회장은 자사의 커티스 T-32 콘도르 복엽 여객기를 대체할 신형 여객기를 더글라스에 주문하게 된다. 이에 더글라스는 DC-2 기반의 신형 여객기를 개발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야간노선을 위한 침대 여객기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DST(Douglas Sleeper Transport)라고 불렀다. 이후 1935년 12월 17일,[5] DST 프로토타입이 초도비행에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었다.

3. 활약


1936년부터 1942년, 그리고 1950년까지 총 607대가 생산되었다. 인지도에 비해 생산댓수가 적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건 군용 버전을 포함시키지 않아서 그런 것. 군용 버전인 '''C-47''' 스카이트레인까지 포함시키면 '''1만대''' 넘게 생산되었다(...).
[image]
증손자뻘 되는 녀석과 함께 비행 중...

4. 파생형


  • 생산말기에 슈퍼 DC-3(DC-3S)라는 엔진강화 및 동체연장(1m) 버전이 있었으나 민간 판매는 신통치 않아 겨우 5대 팔았다.
  • 소련에서는 Лизунов ЛИ-2(Lisunov Li-2, 나토코드 Cab)라는 이름으로 4,937대를 1939년부터 1950년까지 라이센스 생산하여 군용으로 투입하였던 이력이 있다고 한다.
  • 미쯔비시의 킨세이 엔진을 단 DC-3이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쇼와와 나카지마에서 Showa/Nakajima L2D 이름을 달고 라이센스 생산[6] 형식으로 487대가 생산되었다.
  • 전후 많은 기체가 터보프롭 개조가 행해졌다. 주로 롤스로이스 다트 엔진, 프랫&휘트니의 PT-6 계열, 암스트롱-시들리의 맘바 엔진이 탑재되었다.
  • 위스콘신 오시코시에 위치한 Basler사에서 동체연장, 항전장비 추가,터보프롭으로 엔진 교체 등의 개조를 통해 DC-3를 현대화된 BT-67로 탈바꿈시켜준다. Basler 사는 오직 이런 DC-3 개조만 하는 회사이다.

5. 현재


하도 많이 생산하다 보니 군대에서 쓰고남은 C-47과 함께 저가에 민항시장에 1500여대가 풀렸는데 아직도 400여대가 수송기나 저가 항공사에서 날아다니고 있다.[7] 다만 현재까지 운행되는 기체들은 기골이 보강되거나 터보프롭 엔진으로 바꾼 것들이라고 한다. 항공 업계사람들이 뽑은 '''첫 생산 이후 100년 이상 운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체'''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6. 운용사


당시의 미국 민항사는 다 운용했다고 봐도 된다.
  • 아메리칸 항공
  • TWA
  • 유나이티드 항공
  • 델타 항공
  • 팬암
  • [8]
  • KLM[9]
이외에도 대한항공[10]을 비롯한 많은 항공사들이 운용했다.


7. 관련 항목



8. 참고 링크



[1] 1954년 도입 후 대한민국 최초로 태평양을 비행한 민항기. 우남은 이승만대통령의 호이다.[2] 노스롭프랫&휘트니도 같은 계열사였다.[3] 하지만 보잉 247은 유나이티드가 주문한 물량을 빼고는 거의 주문량이 없어서 실패했다. 안습.[4] 이 경향은 훗날 보잉 707DC-8 제작 시절까지 이어진다.[5] 공교롭게도 라이트형제가 비행한지 딱 32년후다.[6] 더글라스와 2차세계대전 이전인 1935년 $90,000에 맺어진 라이센스로 DC-2의 라이센스 생산의 성공으로 맺어졌다.[7] 항공 법규가 까다로운 북미에서도 정기운항편서에 잘 날아다닌다.[8] 1926년 창립된 미국의 17개 레거시 케리어 중 하나로, 1970년대까지 빅4였으나 1991년 파산.[9] 1936년 도입 후 암스테르담-자카르타 경유-시드니 운항.[10] 전신인 KNA 등에서 운용했으며 이 문서 최상단에 있는 우남호 외 3기를 운용했다. 그 중 한 기인 창랑호는 납북되었고 행방이 묘연해졌으며 나머지 한 기인 만송호는 착륙 중에 사고가 나 완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