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베리타스

 


GM대우의 플래그십 라인업
스테이츠맨

'''베리타스'''

알페온
[image]
1. 개요
2. 탄생
3. 성능
4. 개선한(?) 사양과 실내공간
4.1. 수납식 핸드브레이크
4.2. 길쭉~한 휠베이스
6. 영원한 작별, 그 이후
7. 수리비
8. 여담
9. 둘러보기

'''GM DAEWOO VERITAS'''[1]

1. 개요


'''POWER OF TRUTH'''

GM대우에서 스테이츠맨의 후속으로 2008년 10월에 출시한 후륜구동 대형 세단. 전작인 스테이츠맨과 마찬가지로 주행 성능과 넓은 실내 공간 등 차 자체는 좋았고, 일부 편의사양은 훌륭했지만, 전반적으로 동급 대비 다소 뒤떨어지는 편의사양 설계, 수입차 수준의 높은 수리유지비 등으로 인해 좋지 못한 판매량을 보였다.

2. 탄생


홀덴에서 만든 동명의 모델을 약간 손질해서 야심차게 출시한 스테이츠맨은 1년 2개월 동안 고작 1,760대만 팔리는 기염을 토하며(...) GM대우에게 커다란 실책이 되었고, 이 실책을 만회하기 위해 기존에 스테이츠맨으로 팔았던 차의 후속이자 홀덴 스테이츠맨/카프리스 시리즈의 제 4세대 모델 중 카프리스를 대한민국 시장에 맞게 손봐서 내놓기로 결정한다. 스테이츠맨을 통해 얻은 시장에서의 패인을 분석하여 차 곳곳에 적용해서 내놓은 모델이 바로 베리타스다. 중국에서 뷰익 브랜드로 판매한 파크 애비뉴도 이 차와는 형제차 관계이다.
2007년 서울모터쇼에서 L4X라는 이름의 쇼 카로 선보였다.

3. 성능


[image]
베리타스는 스테이츠맨의 후속답게 홀덴의 유명한 알로이텍 V6 3600에서 나오는 강력한 성능의 엔진과 5단 자동변속기, 후륜구동 방식이 혼합되어 경쾌하고 짜릿한 드라이빙을 제공한다. 물론 본토인 호주에서는 V8 6000이나 하는 엄청난 엔진도 얹고 홀덴 HSV라는 고성능 디비젼인 그레인지 HSV도 있지만, 대한민국에 들어온 V6 3600 사양의 엔진도 상당히 준수하고 재빠른 달리기 성능을 보여줬다. 전기형 252마력 버전은 5단 미션으로 MPI 엔진에 최고 토크가 1900 rpm부터 시작했다. 출발하자마자 최고 토크가 나오는 격인데. 당시 대륙 차들의 전형적인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었다. 이후 2009년형부턴 277마력 직분사 SIDI로 바뀌며 6단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되며 쌍용 체어맨 시리즈와 현대 제네시스 세단과 에쿠스 2세대의 세단과 비교할 수 있는 구동계를 갖추게 된다. 홀덴의 모델들을 대우 로얄로 들여오던 시기에 큰 차체에 작은 엔진을 단 로얄 XQ나 로얄 듀크[2]랑 대조되는 이미지다. 이 차에 대한 강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차덕들도 이 차의 주행 성능은 결코 무시하지 못한다.
[image]
[image]
원체 베리타스의 후륜구동 플랫폼인 GM의 제타 플랫폼은 원래 홀덴에서 사용하던 플랫폼인데 스포츠 세단인 홀덴 코모도어 VE로 시작해 승용 트럭인 UTE, 웨건으로 나뉘어 판매가 된다. 호주 특성상 인기가 좋았던 UTE는 말루 (MALOO)[3]라는 고성능 차량도 함께 운용되었고 길이를 줄여 쉐보레 카마로에 차용되기도 했다. 또한 베리타스의 알로이텍 엔진도 쉐보레 • 캐딜락 • 홀덴 등을 비롯한 GM 브랜드의 주요 스포츠카나 스포츠 세단들에 쓰이며 위용을 과시해 온 걸 생각하면 이 차는 태생이 고급차보다 달리기임을 알 수 있다.
홀덴 코모도어 VE의 LWB 버전이 홀덴 WM 스테이츠맨인데 컴포트는 스테이츠맨, 스포츠는 카프리스로 나뉘게 되고 3.6 엔진과 6.0 엔진으로 나뉘게 된다. 그 외 고성능 버전인 HSV grange는 6.2 LS2 엔진을 사용.
LS2 스몰블록엔진은 쉐보레 콜벳과 공유하는 엔진이다.
2009년에 엔진과 자동변속기를 몽땅 캐딜락 CTS 2세대와 같은 SIDI(직분사)로 교체, 디튠된 277마력에 6단기어가 조합되었다. 255마력 버전과 달리 고회전형의 엔진으로 교체되었고 당시 수준에서 성능은 납득할 수 있는 구성이었지만 옵션이었던 ESC 기본적용으로 인해 가격이 500만원이나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판매량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4. 개선한(?) 사양과 실내공간


고급 세단임에도 역동적인 디자인과 드라이빙 감각으로 기존의 고급차들과 차별화했고,[4] 실내공간도 상당한 휠베이스를 자랑해서 "널찍하다" 라는 평가가 농담이 아님을 보여 주었다. 물론 차급이나 사양 등을 보았을 때는 현대 제네시스 세단과 에쿠스 세단의 중간 니치마켓이라는 평도 있으나[5] 오히려 긴 휠베이스에 육중한 차체를 가지고도 그만한 운동 성능을 보여준 것이 소비자나 카 매니아들에게는 특장점으로 작용했다. 그래서인지 베리타스는 기사가 끌어주는 쇼퍼 드리븐보다 오너가 모는 오너 드리븐이라는 말도 많이 나왔다.[6]
게다가 편의장비도 한층 강화되었다. 기존 스테이츠맨에 없었던 대시보드 내장 내비게이션이 추가되었고, 지상파 DMB도 달렸다. 뒷자리에는 천정에 붙어 있는 모니터를 이용, 영화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뒷좌석에는 안마 시트도 있으며, 뒷좌석 승객들을 위한 블루투스 헤드폰도 제공된다. 그리고 스테이츠맨과 달리 외장 안테나를 더 이상 안 봐도 되고, '''전동접이 사이드미러 기능도 있다.'''[7]
하지만 여전히 '''카스테레오 전원 스위치가 동승석 쪽에 위치하는 등''' 음향 및 공조 기기의 설계는 우핸들 차량 그대로였다는 것. 내비게이션도 터치식이 아닌 조그다이얼을 이용하는 방식이었다.[8]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내비게이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도 가운데에 위치시켰고, 스테이츠맨처럼 파워윈도우 스위치를 도어트림이 아닌 가운데에 위치시켰지만 이 점은 오히려 사람마다 호불호가 갈렸다고 한다.[9] 그리고 주차 브레이크를 왼쪽으로 옮기고 수납식으로 깔끔하게 마감한 점은 당연히 인정받을 만 하지만, 그래도 주차브레이크가 페달식이나 스위치식(EPB)이 아닌 핸드브레이크라는 건 마이너스 포인트였다. 이런 자잘한 면에서 신경쓰지 못한 점은 이 차의 장점을 깎아먹는데 한몫했다.

4.1. 수납식 핸드브레이크


[image]
기어노브 왼쪽 뒤에 보이는 작은 플라스틱 스위치가 사이드브레이크 부분.
[image]
베리타스의 호주 버전 홀덴 카프리스에서 사이드브레이크를 당긴 모습.
평소엔 대시보드에 일체화되어서 주차브레이크가 어디 있는지 모를 정도.
전술했듯 동급 차종의 전자식 사이드브레이크 시스템(EPB)과 달리 손으로 당기는 핸드브레이크를 쓰는 등 동급 차종에 비해서 편의나 배려가 부족한 것은 여전히 안습 포인트다. 그나마 다행인 건 주차브레이크가 운전석 쪽으로 옮겨 갔으며 (자세한건 스테이츠맨 문서 참조) 주차브레이크가 대시보드의 기어 뒷편 왼쪽에 깔끔히 일체화되어있어 당긴 상황이 아니라면 보통 풋 파킹 브레이크인 고급차들과 구별 안될 정도로 깔끔하게 정돈되었다.
이전에 수입된 스테이츠맨은 주차 브레이크가 꽤 도드라지게 튀어나와 있는 데다가 좌핸들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정작 사이드 브레이크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아 운전석은 왼쪽인데 사이드 브레이크 레버는 오른쪽에 있던 걸 생각해보면... 베리타스가 비교적 깔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에 주차 브레이크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선 어디 주차 브레이크가 있는지 알 수도 없을 정도. 홀덴의 카프리스나 코모도어의 경우 2014년형으로 페이스리프트가 되기 전까진[10] 구조 변경이 어려웠는지 저렇게 사이드브레이크를 깔끔히 처리했다. 물론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나 풋 파킹 브레이크가 고급차의 완성이지만, 구조를 바꾸지 못할 바에 이렇게라도 깔끔하게 수납한 점에 있어선 실내 편의성 개선 노력을 기울인 점이 보이는 부분이다.
하지만 아무리 이렇게 변명해봤자 당시 소나타에서도 사라지고 있던 핸드브레이크를 사용했다는 점은 한국 소비자들에게 실망을 주기에 충분했다. 많은 사람들이 핸드브레이크를 보는 순간 이 차를 살 마음을 접곤 했다.

4.2. 길쭉~한 휠베이스


[image]
베리타스는 등장부터 상당한 너비의 휠베이스를 자랑했다. GM의 호주 본부인 홀덴에서 생산하는 중형~대형급 차들이 원체 넓은 호주에서 달리기 위해 동급 차종들에 비해 긴 휠베이스를 자랑했는데, 이는 베리타스도 예외가 아니었다. 동급 차들보다 거대한 차체가 장점이어서, 특히 '''3,009mm'''라는 무지막지한 휠베이스로[11] 길다란 휠베이스를 통해 넓은 차체를 꾀했던 사례는 과거 현대에서 들여온 포드 그라나다에서도 볼 수 있는데, 당시 그라나다가 대우 로얄에 비해 크기는 비슷비슷했지만 휠베이스가 넓어 중형이 아닌 준대형으로 분류되어 세금도 더 냈을 정도였던 점과도 비슷하다. 베리타스 역시 카프리스/스테이츠맨에서 볼 수 있는 장점을 실내에서 그대로 보여 주었으며, 전술했듯 이런 넓찍한 차체를 가지고도 체어맨이나 에쿠스 6기통보다 빠른 가속성능을 보여준 것이 소비자나 카매니아들에게는 특장점으로 작용했다.

5. 안습


하지만 대중의 평가는 대체로 좋지 않았다. 일부 베리타스 차주/매니아들은 좋은 성능을 가진 차를 대중들이 못알아 봤다고 한탄하거나, GM대우가 제대로 홍보를 못한 탓이라고 하지만, 위의 편의사양 부분을 찬찬히 읽어보면 이 차가 왜 안팔렸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오히려 이런 시대에 뒤떨어진 편의사양 설계를 가진 차량이 아래 만큼 팔린 것은 어찌보면 상당한 선방이다.
2008년 10월부터 판매하기 시작한 누적 판매량은 다음과 같다.
2008년 10월 162대
2008년 11월 28대
2008년 12월 21대
2009년 1월 128대
2009년 2월 429대
2009년 3월 434대
2009년 4월 87대
2009년 5월 15대
2009년 6월 71대
2009년 7월 68대
2009년 8월 42대
2009년 9월 77대
2009년 10월 65대
2009년 11월 107대
2009년 12월 122대
2010년 1월 43대
2010년 2월 31대
2010년 3월 22대
2010년 4월 60대
2010년 5월 58대
총 누적 2128대
베리타스의 첫 출시 당시 국산 고급 대형차 시장은 에쿠스는 아직 풀체인지 모델을 준비중인 구형이었고, 체어맨 W가 당시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은 신형 모델로 꽤나 인기가 있었다.[12]
베리타스는 체어맨 시리즈에 비해 옵션이 좀 부족했지만 누가 봐도 수입차 그 자체였기 때문에 판매량을 보았을때 부진한 마케팅으로 초기는 좀 미진했지만 입소문을 타고 판매량이 늘기 시작한다. 보다시피 2009년 1~3월은 순차적으로 순조롭게 판매량이 늘었다.
그러다 2009년 3월 에쿠스 2세대가 출시되며 4월 판매량은 100대 미만으로 급격하게 내려가고 5월엔 고작 15대가 판매되고 만다. 설상가상, 2010년 6월에는 제작 결함으로 1,300대가 넘는 차량이 리콜되는 우여곡절까지 겪었다.
2009년 말에 1,000만원 이상 할인이라는 떨이로[13] 자영업자들이나 전문직에게 어필해 100대 가량으로 올라섰지만, 미봉책은 미봉책일뿐 다시 2010년부턴 내리막을 걸으며 쓸쓸하게 역사의 뒤안길로 가게 된다.
GM대우는 베리타스를 옵션을 적게 넣고 볼륨 모델로써 들여왔지만 이것은 잘못된 기획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베리타스는 태생이 호주 총리가 타는 리무진이고 덩치는 에쿠스나 체어맨보다 크다. 에쿠스와 체어맨의 1세대를 압도하는 크기고 리무진을 제외하면 에쿠스와 체어맨의 2세대보다도 길다.[14] 현대 제네시스 세단을 살 사람들에게 베리타스는 크기가 너무 큰 차였다. 그렇다고 에쿠스 세단이나 체어맨 시리즈를 사는 사람들에게 어필하기도 어려웠던 것이 베리타스는 투박하고 옵션이 없는 호주 스타일 차량이었고 풋 파킹도 아닌 핸드 브레이크와 중앙집중식 윈도우 스위치는 그들에게 부담스러운 것이었다. 경쟁모델이었던 에쿠스 세단과 체어맨 시리즈가 막강하기도 했지만 가격 낮춘다고 옵션도 적게 들여온게 가장 큰 패인이었다.
'''보험이나 유지비가 수입차로 넘어가는 것도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요소였다.[15]'''
현대자동차에 대항하려면 훨씬 화려하고 많은 옵션을 가진 형제차인 중국 파크 애비뉴와 HSV를 함께 들여왔어야겠지만 대우자동차 판매에겐 불가능한 일이었고 결국 중국에서 히트를 치던 뷰익 라크로스 2세대를 또다시 낮은 옵션으로 들여와서 알페온으로 출시하는 같은 실수를 범하며 자멸의 길로 들어선다.

6. 영원한 작별, 그 이후


결국 2010년 9월에 수입이 중지되어 대체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베리타스의 원판인 홀덴 카프리스는 몇 안되는 수출 시장에서도 별 볼일도 없었던 것을 보면 당연한 결과.[16] 다만 호주 본토와 플릿수요로 납품되는 미국, 제 3세계 시장 등지에서는 아직 현역이라고 한다. 쉐보레 임팔라가 10세대부터 더 이상 플릿 (경찰, 렌터카용) 차량이 아닌 패밀리 세단으로 변하겠다고 선언하며 경찰차 공급을 중단한 이후에는 홀덴 카프리스가 쉐보레 뱃지를 달고 경찰차로 납품되고 있다. 정식 명칭은 쉐보레 카프리스 PPV. 닷지 차저, 포드 토러스와 함께 2010년대 미국 경찰차로 자주 보인다.
이 차의 단종 이후 한국GM 쉐보레(구 GM대우)의 기함은 대형차가 아니라 준대형차알페온쉐보레 임팔라가 담당한다. 그리고 수입형까지 아우를 때 GM코리아의 기함은 캐딜락이 담당하는 중. 캐딜락 브랜드의 플래그십 대형 세단도 DTS 시절에는 영 기를 못 피다가 캐딜락 CT6 출시 이후 나오며 평이 좋아지고 있다. 사실 DTS 자체가 캐딜락 드빌 페이스 리프트인데다가 구형 엔진을 쓴 탓에 성능도 연비도 편안함도 영 좋지 못한 구린 차이긴 했다.

7. 수리비


[image]
기본적으로 '''호주산 수입차'''라서 각종 부품들의 가격도 수입차 뺨치는 수준이라 '''유지비가 매우 사악하다. 후드탑 엠블럼 값을 보면 경악을 금치 않을 수 없다. 33만원인 것만으로도 엄청나지만 저것도 그나마 엠블럼 가격이 많이 싸던 시절이다.''' 보배드림의 한 게시글에 따르면 2015년 8월 기준 베리타스 엠블럼 가격이 '''49만 2천원'''이었다. # 엠블럼 다섯개 가격이 베리타스 중고차 시세와 같다.... 저 가격은 누가봐도 납득하기가 쉽지가 않은 가격인데 그 유명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의 삼각별 후드 엠블럼도 순정 부품으로 3~5만원이고, 이보다 싸게 서드 파티 부품이나 중고로 구입할 수 있다.
참고로 저 후드탑 엠블럼은 호주 본판 카프리스에는 없다. 미국 수출 카프리스 버전에도 없으며 대한민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베리타스 버전에만 존재하는 GM대우 전용 엠블럼이다.
저 엠블럼 가격 하나가 이후 베리타스의 중고차 가격을 나락으로 만든 주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인터넷에서 베리타스 중고로 어떠냐고 묻는 글마다 댓글에 저 엠블럼 가격이 링크로 뜨고, 질문자들이나 검색한 사람들은 저 엠블럼 가격을 보고 경악하고는 곧바로 베리타스 구매에 대한 마음을 접게 된다.

8. 여담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정보석이 타는 차량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다만 휠을 보면 풀옵션 차량은 아닌 듯.

9. 둘러보기



[1] 라틴어로 진리를 뜻한다.[2] 로얄 XQ나 로얄 듀크는 중형 차체에 1.5 엔진을 달아 힘이 턱없이 부족해서 절름발이 세단이라고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3] 마오리 원주민 언어로 천둥을 뜻함[4] 실제로 차의 치고 나가는 운동성능은 쌍용 체어맨 시리즈보다 우수했다고 평가된다.[5] 이는 농담이 아니었는데, 차급 자체는 에쿠스 세단에 가까우나 달리기 성능이 유독 강한 점도 그렇고 후술할 사양 호불호도 그렇고 실질적 가치는 현대 제네시스 세단급에 가깝다는 이야기도 있었다.[6] 차의 크기 덕인지 쇼퍼드리븐으로 쓰는 분들도 계시지만 차를 아는 분들은 대부분 이 차를 오너드리븐으로 많이 쓴다고.[7] 스테이츠맨은 한국 사람들의 선호 기능을 무시하고 고급 세단답지 않게 '''수동접이 사이드미러다!!!!!!''' 당시에 전동접이 사이드미러 기능은 소형차인 젠트라에도 있는 기능이다.[8] 참고로 BMW 차들도 조그다이얼 방식을 쓰는데, 처음 달린 2000년대 초반에는 버튼에 대한 안내도 거의 없었다. 지금은 BMW의 아이덴티티로 자리잡았지만, 처음에는 쓰레기 취급을 받았다. 그리고 그게 사실이었다. 그래도 열심히 개선을 해서 쓸만할 정도로 만들었다.[9] 3인 이상 탑승하는 일이 많거나, 사장님이나 회장님을 모시는 기사, 보좌관들한텐 가운데 있는게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어트림에 위치하게되면 운전자만 모든 창문을 컨트롤 할 수 있지만, 가운데에 있게 되면 동승석의 승객과 뒷좌석의 승객까지 허리만 좀 떼면 모두 조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생소한 조작방식 때문에 불호가 많았다. 사실 이 방식의 파워윈도 스위치는 대우에선 낮선방법은 아니다. 96년식 이전의 프린스와 에스페로가 이런방식 이었고 기아 캐피탈도 마찬가지[10] 2014년형 홀덴 카프리스와 홀덴 코모도어는 버튼형 전자식 주차브레이크가 달린다.[11] 체어맨 H(2895mm)나 W(2970mm)보다도 크다![12] 지금은 11년이 지난 노후한 모델에 빈약한 상품성 개선으로 단종된 체어맨 시리즈지만 처음 나올 당시에는 그야말로 끝판왕의 칭호가 전혀 아깝지 않은 모델이였다.[13] 6180만원이던 럭셔리 트림은 1500만원을 할인해주는 경우도 있었다.[14] 단, 2세대 에쿠스 세단보다 휠베이스는 짧다.[15] 대한민국에서의 대형 세단은 '''가장 저렴한 파워트레인'''이 많이 판매된다. '''지금 당장만해도 그랜저/K7은 2.4 모델이 많이 판매되고 K9 2세대와 G90 세단은 3.8 모델이 많이 판매된다.'''[16] 다만 미국에서는 공무수행용 차량이나 경찰차용 플릿 수요가 있어서 적지만 어느정도 일정 수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