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플러스

 




[image]
'''주식회사 엠비씨플러스'''
MBC PLUS Co.,Ltd.

}}} ||
'''21세기 뉴미디어를 선도하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
'''국가'''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
MBC 드림센터
'''설립'''
1993년 9월 22일[1]
'''방송
품질'''

'''화질'''
1080i
'''음향'''
2채널 돌비 디지털
'''모기업'''

'''외부 링크'''
|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colbgcolor=#15183c><colcolor=#fff> '''대표자''' 조능희 '''업종명''' 프로그램 공급업, 유선방송업, 위성 및 기타 방송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최대주주''' '''문화방송 (지분 64.81%)''' '''직원'''
387명 (2018년 기준)
채널 ||MBC every1, [[MBC SPORTS+|{{{#000,#fff MBC SPORTS+
]]
MBC 드라마넷, MBC ON, MBC M
}}}}}}}}}
1. 개요
2. 지배구조
3. 역대 사장
4. 조직도
5. 운영 채널
5.1. 현재
5.1.1. 유튜브 채널
5.2. 이전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 계열 유료 케이블방송 자회사. 한때 운영 채널들이 여러 법인으로 나뉘어져 운영되다가 MBC 드라마넷(舊 제일방송)의 법인을 존속법인으로 하여 합병했으며, 자체적으로는 드라마넷이 MBC 드라마넷으로 채널명을 변경한 2001년 4월을 창사 시기로 보고 있다.[2]
2015년 3월 창사 14주년을 맞아 일산 MBC 드림센터로 사옥을 이전하고 2015년 8월 'MBC 플러스 미디어' → 'MBC 플러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7년 신임 사장으로 권재홍 전 MBC 부사장이 선임되었다. 그러나 모회사인 문화방송최승호 사장이 취임한 뒤 2018년에 해임되었다.
과거에는 지상파 방송의 유료방송 계열사 중 유일하게 게임 채널을 운영하기도 했지만... 사장의 방해공작으로 인해 폐국, 음악채널로 전환되면서 게임/e스포츠 팬들에게는 금지어로 낙인찍혔다. 또한 본사가 애니메이션과 어린이 프로그램[3]에 대해 지상파 방송[4] 중 가장 박한 취급을 하는 것을 증명하기라도 하듯 지상파 방송의 케이블 계열사 중 유일하게 어린이 채널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5][6]
노조는 민주노총 언론노조 소속이다. (트위터 계정)

2.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문화방송
64.81%
CJ ENM[7]
22.53%
기타
7.23%
MBC C&I
5.43%

3. 역대 사장


  • 심현우 (1993 ~ 1995)
  • 정인섭 (1995)
  • 이덕한 (1995 ~ 1996)
  • 박경홍 (1996 ~ 1998)
  • 박종구 (1998 ~ 1999)
  • 윤건호 (1999 ~ 2001)
  • 박원세 (2001 ~ 2002)
  • 곽성문 (2002 ~ 2004)
  • 장근복 (2004 ~ 2010)
  • 안우정 (2012 ~ 2013)
  • 한윤희 (2014 ~ 2017)
  • 정호식 (2018 ~ 2020)
  • 조능희 (2020 ~ 현재)


4. 조직도


  • 조능희 대표이사 사장
  • 김종규 부사장
    • 기획경영본부
      • 기획센터 - 전략기획, 홍보마케팅
      • 경영센터 - 인사법무, 총무, 재무
      • 기술센터 - 송출기술, 제작기술, 기술개발
    • 광고사업본부
      • 광고센터 - 광고전략, 광고1~3팀, 마케팅솔루션
      • 미디어사업센터 - 미디어사업, 브랜드사업, 스매시사업
    • 방송본부
    • 스포츠본부(스포츠센터) - 스포츠편성, 스포츠제작, 스포츠사업, 아나운서

5. 운영 채널



5.1. 현재



5.1.1. 유튜브 채널



5.2. 이전



6. 관련 문서



[1] 옛 제일방송(현 MBC 드라마넷) 법인의 설립일이다.[2] 2015년 4월 1일 방송된 쇼챔피언 139회는 'MBC 플러스미디어 창사 14주년 특집'으로 제작되어 MBC 드라마넷, MBC QueeN까지 4개 채널에서 동시편성되었으며, 출연 가수들이 당일 방송된 베이스볼 투나잇에 멘트 제공 형태로 출연하기도 했다.[3] 뽀뽀뽀는 2013년 8월 7일에 고별방송 없이 일반방송에 종영 자막을 올리는 것으로 일방적으로 폐지하였고 똑? 똑! 키즈스쿨을 방영했지만 반응이 없자 2018년 4월 2일에 가서야 뽀뽀뽀 모두야 놀자로 부활했지만 2020년 1월 6일을 끝으로 폐지되었다가, 그 해 7월 13일에 뽀뽀뽀 친구친구로 부활했다.[4] SBS도 <달려라 코바>를 비롯해 <날아라 호킹>, <마법의 섬 띠또띠또>, <내 친구 팅구>, <헬로우 퀴즈짱> 등을 방영했지만, 유아 프로그램 쪽은 역량이 떨어졌다.[5] KBS NKBS Kids, SBS 미디어넷 산하에 있는 SBS바이아컴니켈로디언 코리아를 산하에 두고 있지만, 전자는 KBS가 자발적으로 개국한 채널이라면, 후자는 SBS가 미국 바이어컴과 같이 운영하는 채널이다.[6] 다만 MBC every1의 전신인 MBC MOVIES에서 'MBC Kids' 블록을 통해 쫑아는 사춘기, 우당탕탕 두디 두디 등의 애니메이션을 편성한 전례가 있고 MBC ON에서 2020년 추석 특집부터 명절연휴 기간 동안 머털도사를 편성하고 있다.[7] CJ의 지분이 어느 정도 있는 이유는 전신인 제일방송이 불미스러운 일로 대표가 구속되어 이후 CJ ENM의 전신이 되는 삼구쇼핑에서 인수했고, 이후 삼구쇼핑 대표가 자살하여 그 여파로 삼구쇼핑이 CJ에 매각되고 후에 MBC 드라마넷이 MBC에 인수되면서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