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나이트라인

 

[image]
{{{#!wiki style="margin: -5px -10px"[image]
''' 방송사·채널 '''

''' 기획·제작 '''

''' 방송 기간 '''
1994년 10월 24일~'''현재'''
''' 방송 시간 '''
''' 화~금'''
00:30~01:00
''' 방송 품질 '''
''' 화질 '''
1080i
''' 음향 '''
2채널 돌비 디지털
''' 진행 '''
''' 메인 '''
배재학
''' 날씨 '''
전소영
''' 링크 '''
''' 홈 '''
SBS 뉴스
''' 실시간 '''
SBS 뉴스
1. 개요
2. 연혁
3. 역대 앵커
5. 코너
5.1. 사실은?
5.2. 나이트라인 뉴스 속으로
5.3. SBS 날씨
5.4. 클로징
6. 종영된 코너
6.1. 오늘의 주요 뉴스
6.2. SBS 논평
6.3. 미리 읽는 조간신문
6.4. 나이트라인 스포츠
6.5. 나이트라인 문화현장
7. 논란
8. 지역민방 편성
9. 타이틀
10. 토요일 뉴스 편성
11. 경쟁 프로그램
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SBS심야 종합뉴스 프로그램. 월~목요일 밤 12시 30분부터 1시까지[1] 30분 동안 방송하며 TV 이외에 SBS u TV, SBS 공식 홈페이지, wavve에서 실시간 시청이 가능하다. 보도전문채널을 제외하면 KBS 뉴스라인, OBS 뉴스라인과 더불어 지상파 방송사의 심야 종합뉴스 프로그램이다.[2]
원래 유튜브, 네이버TV, 트위치 등 온라인(모바일)에서도 실시간 시청이 가능했지만, 2019년 11월부터는 보도본부 인력난과 낮은 실시간 시청자 수 등의 이유로 송출이 중단되었다.[3][4] 또한 시청률(평균 약 1.5~2.5%)[5]과 광고 판매율(평균 4~10개 정도)이 높지는 않은 편이다.
KBS 뉴스라인과는 달리 연휴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휴일에는 평소 그대로 30분 방송하며 중대 특보 발생 시에는 SBS 8 뉴스, 모닝와이드/1, 2부, SBS 12 뉴스,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SBS 오 뉴스와 함께 특집으로 편성된다. 다만 매해 12월 31일에는 연기대상 방송 관계로 방송되지 않는다.
타이틀의 프리즘 테마색은 남색. 2014년 5월 20일부터는 보라색이었으나 2018년 7월 3일 자막 디자인 교체에 맞춰 남색으로 바뀌었다.

2. 연혁


연도
날짜
요일
시간
타이틀
비고
1991년
12월 9일
평일
00:30~00:40
SBS 마감뉴스
스트레이트 뉴스로 첫 방송
12월 10일
23:55~00:00
시간대 고정
1992년
3월 23일
23:50~00:00
시간대 변동
1993년
10월 18일
매일
23:50~00:00(평일)
00:05~00:15(일)
0:00~0:05(월)
시간 확대
1994년
1월 31일
평일
23:50~00:00(월~목)
00:50~01:00(토)
시간 축소
'''10월 24일'''
'''SBS 나이트라인'''
'''현재의 타이틀로 첫 방송'''
1995년
9월 4일
00:40~01:00(화~수, 토)
00:50~01:00(목~금)
시간대 변동
9월 25일
00:40~01:00
시간대 통일
10월 23일
23:55~00:10(월~목)
00:50~01:00(토)
시간대 변동
1996년
2월 5일
00:50~01:00(화, 토)
23:55~00:10(수~금)
4월 1일
00:50~01:00(화, 토)
00:00~00:10(수~금)
10월 14일
00:00~00:10(화~금)
00:50~01:00(토)
1997년
2월 3일
00:00~00:10(화, 목~금)
00:50~01:00(수, 토)
5월 19일
00:50~01:00
시간대 변동, 통일
6월 30일
23:50~00:10(월~목)
00:40~01:00(토)
시간대 변동
10월 27일
23:55~00:15(월~목)
00:40~01:00(화, 토)
시간대 변동
1998년
1월 5일
00:00~00:15(화~목)
00:45~01:00(금)
01:45~02:00(월)
시간 축소
2월 1일
매일
23:50~00:00
시간대 변동, 통일
3월 2일
23:50~00:00(월~목)
00:40~00:50(토)
00:50~01:00(일, 월)
시간 확대
4월 6일
00:00~00:10(화~금)
00:50~01:00(토~월)
시간대 변동
10월 19일
00:15~00:30(화~금)
00:45~01:00(토)
00:50~01:00(일, 월)
1999년
4월 26일
00:00~00:15(화~금)
00:40~00:55(토)
00:50~01:00(일, 월)
11월 15일
00:05~00:20(화~금)
00:40~00:55(토)
00:50~01:00(일, 월)
2000년
1월 3일
00:05~00:20(화~금)
00:50~01:05(토)
00:50~01:00(일)
02:00~02:10(월)
4월 17일
00:05~00:20(화~금)
00:35~00:50(토)
00:50~01:00(일)
00:00~00:10(월)
10월 16일
00:05~00:20(화~금)
00:35~00:50(토)
00:50~01:00(일, 월)
2001년
4월 30일
00:15~00:30(화~금)
00:45~00:50(토)
00:50~01:00(일)
01:20~01:30(월)
6월 4일
화~일
00:15~00:30(화~금)
00:45~00:50(토)
00:50~01:00(일)
월요일 방송 폐지
2002년
4월 1일
00:15~00:45(화~금)
00:45~00:50(토)
00:50~01:00(일)
화~금 시간 연장
11월 5일
00:15~00:45(화~금)
00:35~00:50(토)
00:50~01:00(일)
토요일 시간 연장
2003년
5월 12일
00:15~00:45(화~토)
00:50~01:00(일)
토요일 시간대 통일
11월 3일
00:15~00:45(화~토)
00:55~01:05(일)
시간대 변동
2004년
3월 8일
00:15~00:45(화~금)
00:45~01:00(토)
00:55~01:05(일)
2006년
7월 10일
화~토
00:25~00:40
시간 단축 및 일요일 방송 폐지
2008년
5월 5일
화~금
시간 축소
10월 27일
화~토
00:25~00:55
종합뉴스로 개편
2009년
11월 30일
00:25~00:40
시간 단축
2010년
7월 12일
00:25~00:55
시간 확대
2015년
7월 6일
화~금
시간 축소
2016년
2월 15일
00:30~01:00
시간대 변동
1991년 12월 9일, SBS의 개국과 함께 밤 12시 30분에 SBS 마감뉴스로 신설되었다. 다음 날 12월 10일부터 밤 11시 55분으로 고정되어 2년 10개월 동안 방송했다. 1994년 10월 24일에 SBS 나이트라인으로 타이틀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후 시간대 변경이 잦았다가 2000년 4월 27일부터 방송 시간대가 통일되었다. 2006년 7월 17일에는 심야 방송의 폐지로 뉴스 시간이 축소되기도 했다.
2008년 5월 5일부터 동년 10월 24일까지는 금요일까지 축소 방송했다가 동년 10월 27일에는 종합뉴스로 개편되었고 다시 토요일까지 확대 방송했다. 2015년 7월 6일부터는 다시 금요일까지 주 4회로 축소되었다.

3. 역대 앵커


SBS 나이트라인의 역대 앵커는 SBS 마감뉴스의 앵커들, 나이트라인 스포츠의 앵커는 스포츠 와이드, 스포츠 투나잇의 앵커들도 포함한다.[6]
특이하게 SBS 나이트라인의 메인 앵커는 일반적인 다른 뉴스와 달리 기자나 아나운서가 아닌 연배가 어느정도 있는 논설위원이나 간부급 인사가 진행한다. 대표적으로 이궁 前 논설위원, 현재 정의당 고양시 병 당협위원장인 박수택 前 선임기자, 현재 국제방송교류재단(아리랑국제방송)의 사장을 맡고 있는 이승열 前 보도제작국장,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지명받았었던 정성근 前 논설위원, 하남신 前 논설실장, 이형근 편집2부 부국장, 김석재 보도본부 부장, 편상욱 국제부장, 현재 SBS 나이트라인의 앵커인 배재학 부장급 기자[7]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다른 뉴스 프로그램들 보다도 나이트라인은 유독 앵커 돌려막기가 심한 뉴스 프로그램이다. 같은 앵커가 몇년 만에 재진행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8]
그 이외에 김성준, 양만희 기자, 김태욱, 박광범, 최기환, 염용석 아나운서가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당시 주말 앵커를 맡거나 평일 앵커 부재 시 대신 진행하기도 했다.

2020년 6월 30일 방송분은 편상욱 국제부장을 대신해서 SBS 오 뉴스를 진행하고 있던 한수진 선임기자가 진행했다.[9]
2020년 8월 4일부터 2020년 8월 7일까지의 방송분은 편상욱 국제부장의 휴가로 12대 진행자였던 이형근 논설위원이 대신 진행하였다.
'''메인 앵커'''
''' 이름 '''
''' 당시 직위 '''
''' 진행기간 '''
''' 비고 '''
이재윤
아나운서
1991년 12월 9일 ~ 1994년 4월 15일
현재 퇴사
김태욱
아나운서
1994년 4월 19일 ~ 10월 22일
1996년 10월 21일 ~ 1997년 3월 1일
이궁
국제부 차장
1994년 10월 24일 ~ 1996년 3월 22일
논설위원
2002년 1월 7일 ~ 2003년 2월 1일
김성호
기자
1996년 3월 23일 ~ 10월 19일
이승열
기자
1997년 3월 4일 ~ 6월 28일
편집2부장
2005년 4월 26일 ~ 2007년 2월 16일
박수택
보도본부 차장
1998년 10월 19일 ~ 2000년 4월 15일
신우선
기자
2000년 4월 18일 ~ 2002년 1월 4일
2004년 4월 27일 ~ 2005년 4월 23일
정성근
사회2부장
2003년 2월 4일 ~ 2004년 4월 24일
논설위원
2011년 3월 22일 ~ 2012년 1월 11일[10]
고희경[11]
기자
2007년 2월 20일 ~ 2009년 4월 25일
현재 SBS 뉴스토리 팀장
편상욱
편집2부 차장
2009년 4월 28일 ~ 2011년 3월 19일
-
부장급 기자
2019년 7월 23일 ~ 2020년 6월 26일
2020년 7월 1일 ~ 2020년 7월 31일
[12]
2020년 8월 11일 ~ 2020년 12월 31일
[13]
하남신
논설위원실장
2012년 1월 31일 ~ 2013년 12월 7일
현재 퇴사
배재학
편집2부장
2013년 12월 10일 ~ 2015년 11월 20일
[14]
부장급 기자
2021년 1월 5일 ~ '''현재'''
-
이형근
편집2부 부국장
2015년 11월 24일 ~ 2018년 11월 14일
-
논설위원
2020년 8월 4일 ~ 2020년 8월 7일
[15]
김석재
부장급 기자
2018년 11월 15일 ~ 2019년 7월 19일
-
''' 나이트라인 스포츠 앵커 '''
''' 이름 '''
''' 당시 직위 '''
''' 진행기간 '''
''' 비고 '''
박상도
아나운서
1999년 3월 1일 ~ 2006년 11월 3일
-
염용석
아나운서
2006년 11월 6일 ~ 2009년 11월 27일
2012년 5월 14일 ~ 2018년 12월 6일
박은경
아나운서
2009년 11월 30일 ~ 2012년 5월 11일

4. 역대 기상캐스터


  • 조경아 前 기상캐스터. (2004년 3월 2일 ~ 9월 날짜 미상/2008년 12월 9일 ~ 13일/2015년 11월 24일 ~ 2016년 2월 26일)
  • 황현주 前 기상캐스터. (2004년 10월 ~ 2005년 7월)
  • 우혜진 前 기상캐스터. (2005년 8월 ~ 10월 29일/2006년 11월 14일 ~ 2007년 3월 31일)
  • 최윤정 前 기상캐스터. (2005년 11월 2일 ~ 12월 30일/2006년 3월 1일 ~ 11월 10일/2007년 4월 3일 ~ 14일/2008년 12월 16일 ~ 2010년 8월 28일)
  • 이나영 前 기상캐스터. (2006년 1월 2일~ 2월 28일/2010년 8월 31일 ~ 2011년 12월 31일/2014년 3월 11일 ~ 11월 1일)
  • 오하영 前 기상캐스터. (2007년 4월 17일 ~ 2008년 12월 13일/2013년 10월 2일 ~ 11월 2일/2015년 9월 1일 ~ 11월 22일)
  • 신소연 前 기상캐스터. (2012년 1월 3일 ~ 6월 2일/2013년 11월 5일 ~ 2014년 3월 8일)
  • 김다은 前 기상캐스터. (2012년 6월 5일 ~ 2013년 10월 1일)
  • 정주희 기상캐스터. (2014년 11월 4일 ~ 2015년 8월 28일/2016년 12월 20일 ~ 2017년 9월 1일)
  • 이여진 기상캐스터. (2016년 3월 1일 ~ 4월 15일)
  • 윤서영 前 기상캐스터. (2016년 4월 19일 ~ 12월 16일)
  • 전소영 기상캐스터. (2017년 9월 5일 ~ 29일/2020년 ~ 현재)
  • 양태빈 기상캐스터. (2017년 10월 11일 ~ 2020년)

5. 코너



5.1. 사실은?


SBS 8 뉴스의 코너를 재방송한다.

5.2. 나이트라인 뉴스 속으로



2018년 7월 2일 ~ 2019년 7월 25일 타이틀.
문화예술인, 고위공직자 등 유명인과 만나 인터뷰를 하는 코너. 2002년부터 '나이트라인 초대석'으로 신설되었으며, 2006년에 방송 시간이 짧은 관계로 폐지되었다가 2008년 11월부터 방송 시간이 늘어나면서 '뉴스 속으로'라는 명칭으로 부활했다. 이후 2013년부터 다시 '나이트라인 초대석'으로 명칭이 환원되었고, 2019년 7월 29일부터 현재의 '나이트라인 뉴스 속으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전녹화로 진행한다. JTBC 뉴스룸의 인터뷰 코너와 유사하다.
2017년 5월 30일부터 9월 20일, 2018년 2월 28일 방영분은 SBS 12 뉴스에서 '12시 人사이트'라는 명칭으로 일부 내용을 편집하여 재방송되었다.

5.3. SBS 날씨



2018년 7월 2일 ~ 현재 타이틀.
일기예보 코너. 코너 타이틀 음악은 SBS 8 뉴스의 SBS 날씨와 공유한다.

5.4. 클로징


SBS 뉴스 프로그램 중 SBS 8 뉴스와 더불어 얼마 되지 않게 클로징 멘트를 하는데 현재 진행자인 배재학 앵커 같은 경우에는 1차 진행 초반에는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클로징 멘트를 했었지만 후반에는 따로 클로징 멘트를 하지 않고 "행복한 오늘 되십시오. "[16]라는 말로 뉴스를 끝냈었다.[17] 그러다가 2차 진행 중인 2021년 1월 5일 방송을 기점으로 다시 논평을 담은 클로징을 하고 있지만 역시나 지금도 따로 클로징 멘트를 하지 않고 "행복한 오늘 되십시오. "[18] 라는 말로 뉴스를 끝내고 있다.[19]
이전 진행자들 역시 클로징 멘트를 했었는데 이형근, 하남신, 정성근 앵커 같은 경우에는 정치적인 클로징 멘트를 주로 했었으며, 김석재 앵커 같은 경우에는 사회현상에 대한 내용 위주로, 박수택, 신우선, 이승열 앵커 같은 경우에는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형식 위주로 많이 했었다. 반대로 고희경 앵커는 클로징 멘트를 거의 하지 않았으며, 편상욱 앵커 같은 경우에는 1차 진행과 2차 진행 때 모두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클로징 멘트를 많이 했었다. 이후로는 특별한 상황이 없는 이상 별다른 말 없이 "나이트라인 오늘 여기까지입니다. 편안한 밤 되십시오. 고맙습니다" 라고 클로징멘트를 했다.[20]

6. 종영된 코너



6.1.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뉴스 코너. 2006년부터 종합뉴스처럼 도입했으나 2014년 10월에 폐지되었다.

6.2. SBS 논평


뉴스 해설 코너. SBS 논설위원실 소속 위원들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주요 이슈들을 모아 논평한다. 2000년 4월 17일부터 뉴스의 눈으로 신설되었으며, 2001년부터 SBS 논평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김형민, 정성근, 하남신, 이궁, 박수택 등 당시 SBS 원로 기자들이 논평을 주로 했었다.

6.3. 미리 읽는 조간신문


신문 코너. 아침에 발행되는 10대 주요 신문 일간지 중에서 기사 일부를 사전에 입수하여 앵커가 인용 형식으로 읽어준다. 2004년에 폐지되었다. 다만 모닝와이드 1, 2부의 조간 브리핑 코너는 계속 방송 중이다.

6.4. 나이트라인 스포츠


[image]
[image]
염용석 앵커.[21]
2011년 9월 6일 ~ 2014년 8월 8일 오프닝.
2014년 8월 11일 ~ 2018년 6월 7일 오프닝.
2018년 7월 16일 ~ 2018년 12월 6일 오프닝.
연도
날짜
요일
시간
타이틀
비고
1999년
3월 2일
평일
01:00~01:10
스포츠 와이드
신설과 함께 독립 편성
2000년
4월 17일
00:55~01:05
시간대 변동
2006년
7월 10일
00:40~00:50
'''11월 6일'''
00:30~00:40
'''나이트라인 스포츠'''
SBS 나이트라인에 흡수
2008년
5월 5일
월~목
시간 축소
10월 27일
평일
00:45~00:55
시간 확대
2009년
11월 30일
00:15~00:25
스포츠 투나잇
독립 편성
'''2010년'''
'''7월 12일'''
00:50~01:00
'''나이트라인 스포츠'''
SBS 나이트라인에 흡수
2015년
7월 6일
월~목
시간 축소
스포츠뉴스 코너. 화~금요일(방송상 월~목요일) 밤 12시 50분에 10분 동안 방송했다. 앵커의 멘트로는 스포츠 소식으로 표현되었다. 앵커는 염용석 아나운서.

6.5. 나이트라인 문화현장



2019년 1월 23일 ~ 2019년 8월 타이틀.
문화 정보 코너. 2019년 1월 2일부터 수, 목요일 한정으로 SBS 12 뉴스의 코너 문화현장을 미리 방송한다. 그러나 2019년 8월부터는 해당 코너들을 방영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 수요일 : 이번 주 볼만한 공연 및 전시 소식(김수현 기자)
  • 목요일 : 이번 주 개봉하는 영화 소개(김영아 기자)


7. 논란


2010년 8월 11일 광고기획자 이제석씨를 가리켜 '루저'에서 '광고천재'로라는 자막을 쓰고 앵커도 그렇게 소개하여 지방대 출신을 비하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8. 지역민방 편성


나이트라인 방송을 하지 않는 날에는 자체 방송을 편성한다.
  • 평일 : KNN, TJB, kbc, ubc, JTV, CJB, G1, JIBS
  • TBC는 평상시에는 자체 프로그램을 방송한다[22]. 다만 특집 편성 시에는 SBS 나이트라인을 그대로 방송한다.

9. 타이틀



역대 오프닝 모음.

2018년 7월 2일 ~ 현재 오프닝과 엔딩.[23]

10. 토요일 뉴스 편성


2015년 7월 6일부터 편성이 화 ~ 금요일로 축소된 뒤에도 금요일에 중대한 사안이 발생했을 경우 임시로 편성하기도 하는데 현재까지 2차례 있었다.

11. 경쟁 프로그램



12. 둘러보기




[1] 시간상 화~금요일[2] MBC는 현재까지 심야 뉴스 프로그램을 방송하지 않고 있다.[3] 하지만 2020년 7월 9일에 발생한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으로 인해 유튜브와 네이버TV 실시간 방송을 즉시 하는 것으로 봐서는 특집으로 방송에 한해서는 실시간 송출을 할 방침인 듯. 예외적으로 2020년 9월 21일 SBS 뉴스 개편 다음날인 9월 23일(22일에서 23일로 넘어가는 새벽 시간이다.)에 다시 유튜브 수중계가 열렸었다. 이 때는 SBS 모바일 24가 종료되는 밤 9시 이후 뉴스라서 따로 방송되었고 평일에만 하는 정규 뉴스 중 유일하게 다시보기가 남았다.# 이후 수중계는 없는 것으로 봐서는 일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4] 이 뉴스에서 첫 리포트가 나갈 때는 그 리포트만 뽑아서 업로드한다.[5] 닐슨코리아 기준.[6] 참고로 2004년 이전까지의 역대 앵커는 신문 기사 및 SBS 보도자료 등을 참고하여 작성된 것.[7] 1차 진행 당시에는 편집2부장[8] 단. 나이트라인에서 유일하게 역대 여성 앵커로는 현재 고희경 뉴스토리 팀장 밖에 없음. 그 이후엔 다 남성 앵커다.[9] 2020년 6월 30일 방송분 링크[10] 2012년 국회의원 출마 선언으로 인한 중도 하차하여 2012년 1월 12일부터 28일까지는 배재학 기자(당시 뉴스퍼레이드 앵커)가 임시로 진행했다.[11] SBS 나이트라인에서 유일한 여성 앵커.[12] 2020년 6월 30일 방송분은 편상욱 국제부장을 대신해서 SBS 오 뉴스를 진행하고 있던 한수진 선임기자가 진행했다.(2020년 6월 30일 방송분 링크)[13] 2021년 1월 4일부터 편상욱의 SBS 오 뉴스 진행자로 이동.[14] 이후 뉴스브리핑 진행자로 이동.[15] 편상욱 국제부장의 휴가로 인한 대리 진행[16] 단. 토요일, 명절에는 "행복한 주말(명절) 되십시오. " 라는 말로 뉴스를 끝냈었다.[17] 1차 진행 당시에는 2대 진행자 였던 김태욱 전 아나운서가 토요일만 대신 진행 했었음.[18] 단. 명절, 연휴에는 "행복한 명절(연휴) 되십시오. " 라는 말로 뉴스를 끝내고 있다.[19] 단. 배재학 앵커가 휴가나 출장시 역대 나이트라인 진행자가 대신 진행 할 수도 있음.[20] 단. 편상욱 앵커가 휴가 갔을 당시에는 12대 진행자였던 이형근 논설위원이 당시 클로징 멘트를 했었음.[21] 현재 SBS 12 뉴스 앵커[22] 2000년대에는 TBC 나이트라인이 자체 방송되었다.[23] 현재는 오프닝과 오프닝 멘트 장면 사이에 광고를 삽입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