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건설

 



'''SK건설
SK Engineering & Construction Co.,Ltd.'''
[image]
'''정식 명칭'''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영문 명칭'''
SK Engineering & Construction Co.,Ltd.
'''설립일'''
1962년 2월 21일
'''업종명'''
기타 토목시설물 건설업
'''아파트 브랜드'''
SK VIEW, 아펠바움 (APELBAUM)
'''상장유무'''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대기업
'''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7길 32 (관훈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길 19 (수송동)
'''대표자'''
안재현, 임영문
'''도급순위'''
10위
'''홈페이지'''
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역대 임원
4. 특기 사항
5. 사건·사고
6. 주요 건설 실적
6.1. 화공 플랜트
6.2. 발전 플랜트
6.3. 인프라(토목)
6.4. 주택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K그룹 계열 종합 건설업체.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7길 32 (관훈동)에 위치하며, 직원 수 및 사업부문 특성에 따라 관훈동 본사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길 19 (수송동)에 위치한 G.plant 총 2개 사옥에 분산되어 있다.

2. 상세


1962년 협우산업으로 세워져 1965년 건설업 허가를 받았고, 1967년 무역업에도 진출하여 1976년 해외공사 면허를 따내 중동에 진출했다. 1977년 선경그룹에 인수되어 '선경종합건설'로 바꾸고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첫 해외지사를 차린 뒤, 삼덕산업을 합병했다. 1978년 주택건설사업자로 등록된 후 1979년 사우디 주택단지를 시초로 첫 해외공사를 수주했으며, 1980년 경기도 안산시 반월지구 개발에 뛰어들어 본격적으로 세를 불리기 시작하였다.
1984년 '선경건설'로 사명 변경 후 엔지니어링 부서도 신설했고, 1989년 부설연구소를 세우고 1990년에는 인도네시아에 첫 해외지사를 세웠다. 1992년 11월에는 업계 최초로 아파트 브랜드인 선경 호멕스를 만들었고, 1993년 ALC공장을 세웠다. 1998년 현 명칭으로 변경하고 이듬해 건물 관리업체 (주)중원을 합병했다. 2000년 아파트 브랜드 SK뷰를 만들고, 2002년 오피스텔 브랜드 'SK HUB'를 출시하였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는 SK뷰 브랜드만 사용하고 있다. 대기업 건설사의 아파트 브랜드라 전체 아파트 브랜드중 브랜드 인지도는 상위권이라 볼 수 있다. 2004년 SK임업, 2006년 골프장 운영업체 (주)정지원을 각각 합병했다. 2009년에 임업부문을 'SK임업'으로 재분사했다.
지주회사 SK주식회사SK C&C와 합병하기 이전에는 SK증권과 더불어 SK그룹의 최상위 기업이었으나, 2015년 양사 합병으로 SK건설이 건설업 외부분인 SK TNS로 분할했다. 아마 이 분할기업은 SK텔레콤이 인수한 뒤 SK브로드밴드와 합병하게 될 걸로 보인다. 주식시장 기업공개 떡밥은 간간히 있었으나 SK C&C 문제로 인해 상장이 지연되었는데, SK와 C&C가 합병하게 되면 그 이후에 SK그룹 측에서 상장시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자사업자로 경전선 광역전철화(부전 ~ 마산) 사업의 주간사 역할을 하고 있다. 때문에 사업 시행자인 스마트레일주식회사 본사가 관훈동 본사 8층에있다.
2020년 기준 시공능력평가 순위에서 HDC현대산업개발에 이어 10위에 등극하였다.
2020년 우한폐렴(코로나 바이러스)이 대한민국을 점령하였으나 철저한 방역과 위생으로 현재 SK Hynix M16 PJT Ph1이 돌아가고 있으며 7월 기준 문재인 대통령이 다녀간 바 있다.

3. 역대 임원


  • 이사회 의장
    • 최창원 (2008~2013)
  • 부회장
    • 조종태 (1987~1993)
    • 유웅석 (2008~2009)
  • 대표이사 부회장
    • 문우행 (2004~2005)
    • 손관호 (2006~2008)
    • 윤석경 (2008~2011)
    • 조기행 (2017~2018)
  • 대표이사 총괄사장
    • 김치상 (2000)
  • 대표이사 사장
    • 최종현 (1977~1978)
    • 조종태 (1978~1987)
    • 김종헌 (1987~1991)
    • 정순착 (1992~1998)
    • 김치상 (1998~2000)
    • 문우행 (2000~2003)
    • 손관호 (2004~2006)
    • 유웅석 (2006~2008)
    • 조기행, 최광철 (2012~2016)
    • 안재현 (2018~ )
    • 임영문 (2019~ )

4. 특기 사항


주요 1군 건설사(현대, 삼성, 대우 등)과 다른 특징점이 있는데, 아파트 브랜드 및 매출 비중이 낮다는 것이다. 일반건설업체 2017년 시공순위에 따르면 SK건설은 10위에 랭크되어 있지만, 아파트 브랜드 인지도는 15위에 랭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사의 사업구조에 따른 결과로써 타 업체 대비 건축 사업의 비중이 낮다. 1977년 설립 이래 사업비중은 플랜트 57%, 건축주택 24%, 인프라 18% 등이다. SK이노베이션 등 계열사의 정유, 석유화학, LNG 플랜트 설비수주 비중이 가장 높다. 이 밖에 발전플랜트, 상업·업무용 빌딩 및 공장건축도 상당하다. (SK건설 Annual Report #)
현재 기업구조개편을 이유로 IPO 상장 소식이 들리고 있다.

5. 사건·사고


2018년 7월 23일,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인 한국서부발전과 합작하여 라오스에서 따내어 2017년 가동하기 시작한 세남노이 댐이 갑자기 붕괴했다는 최악의 뉴스가 떠 버렸다. 기사 심지어 이런 찬양성 기사가 뜬 바로 그날에(...) 사고가 터지는 바람에 SK건설은 상장을 앞두고 역대급 악재를 맞게 됐다.[1] 게다가 그 합작법인에서 시공을 맡는 업체가 SK건설밖에 없어서 빼도박도 못한다. 현지인의 언급에 의하면 이전부터 균열이 생기고 있었다고 하니 부실시공으로 인한 인재일 확률도 있지만 SK건설과 서부발전의 발언들을 종합하면 450mm가 넘는 폭우로 인해 100mm가 한계인 보조댐이 범람 혹은 유실되었으며, 이때 서부발전은 수로를 개방하는 조치를 취했고 SK건설은 돌과 흙으로 보강조치[2]를 한 것으로 보인다.
조감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사력식 댐이었는데 만약 범람을 했다면 사력식 댐의 특성상 범람 후 붕괴수순으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있다.[3] 애당초 해당 보조댐은 사실상 '''둑'''과 같은 형태로 '''수문이 아예 없는 구조'''라고 한다. 즉, 처음부터 용량을 초과하면 자연스럽게 물이 흘러넘치도록 만들어진 구조인데 세남노이 저수지 주변의 배수를 위해 만들어진 이 댐은 콘크리트로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흙과 자갈을 섞어 만든 사력댐(흙댐)으로 SK건설의 설명에 의하면 폭우로 물이 범람하는 과정에서 흙댐 200m 구간의 상부 토사가 쓸려 내려갔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세피안-세남노이 댐 붕괴 사고 문서를 참고.
2020년 3월 18일 오전 5시 2분경에 제2공구 터널 교량 공사 현장에서 지반이 침하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6. 주요 건설 실적


주요 실적 중 일부 발췌. 전체 실적 자료는 하기 링크 참조
http://www.skec.co.kr/asp/kr/business/plantLocal.asp

6.1. 화공 플랜트


  • 쿠웨이트 클린 퓨얼 프로젝트(KNPC Clean Fuel Project)
  • 캐나다 오일샌드 플랜트공사(FORT HILLS SE Project (FHSE))
  • 사우디 자잔 정유 플랜트 공사
  • 베트남 석유화학 단지 건설공사
  •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건설공사
  • PDH(Propane Dehydrogenation) Project
  • UAE Ruwais Refinery Expansion Project
  • 사우디 와싯지역 가스정체 플랜트 공사(Wasit 1,3,4 Project)
  • 에콰도르 정유공장 플랜트 공사(Esmeraldas Refinery Phase II Project)
  • Singapore Jurong Aromatics Complex Project

6.2. 발전 플랜트


  • 고성하이화력발전소 건설공사(고성그린파워 Project)
  • 고덕그린에너지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공사(고덕 연료전지 발전소)
  • PIEM Project
  • Red Dragon(칠레 PIEM) Project
  • 장문 천연가스 발전소 건설공사
  • GE III Steam Power Plant
  • Turkey, Tufanbeyli Thermal Power Plant
  • 신울진 원자력 1,2호기 발전소
  • Panama, PACO Coal Fired Power Plant
  • 신한울 원자력 1,2호기
  • 오성 복합화력 Project

6.3. 인프라(토목)


  • Turkey, Eurasia Tunnel Project
  • Turkey, Canakkale Bridge BOT
  • 터키 이스탄불 도로 프로젝트 (Turnkey EPC)
  • 울산비축기지 지하화 건설공사
  • 동해항 3단계 방파호안(2공구) 축조공사
  •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 1단계(4공구)
  • 부산도시철도(사상-하단) 1공구 건설공사
  • Kuwait, Al-Zour Refinery 5 Project
  • 부전-마산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
  • Laos, Xe-Pian Xe Namnoy 수력발전 Project
  • Singapore, Down Town Line 2 C918A Project
  • 진접선(당고개~진접) 복선전철 제1공구 건설공사
  • Vietnam, NSRP Marine Works Project
  • Turkey, 3rd Bosporus Bridge Project
  • Singapore, Cable Tunnel NS2 Project
  • Qatar, Doha Metro Red Line North Project
  • India, Padur 원유비축기지 건설공사

6.4. 주택


  • 대치 SK VIEW
  • 백련산 SK VIEW I PARK
  • 시청역 SK VIEW
  • 송도 SK VIEW
  • 강변 SK VIEW
  • 왕십리 센트라스
  • 배곧 SK VIEW

7. 관련 문서



[1] 이 찬양성 기사는 사고 후 황급히 수정된 버전만을 공개하고 있다.#[2] 다만 이것은 현지 가이드의 주장으로 SK건설은 콘크리트 보강조치를 했을 가능성도 있다.[3] 이 댐은 자연 월류 방식으로 설계된 사력댐(흙과 자갈을 섞어 둑을 만든 댐)이다. 물이 가득 차면 댐 둑을 타고 자동으로 흘러내려 가게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수문을 별도로 만들어 언제든지 유입된 물을 방류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 처음부터 용량을 초과하면 자연 범람하게 만들어진 구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