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32

 


[image]
[image]
[image]
'''Boeing X-32'''
1. 개요
2. 스펙
3. JSF 사업
3.1. 가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
4. 문제점
4.1. 수직이착륙 문제
5. 양산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6. 전투기계의 옥동자
7. 매체 속의 X-32
8. 둘러보기
9. 관련 항목


1. 개요


보잉사가 JSF사업을 위해서 제작한 기술개념실증기로 2000년 9월 18일 첫 비행을 실시하였다.
JSF 사업(Joint Strike Fighter Program)에서 미국의 보잉사가 개발했다. 일단은 X-32도 가능한 수준 내에서 최대한 미 공군/미 해군/미 해병대영국 해군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설계/개발되었다.
경쟁기종인 록히드 마틴의 X-35가 성능을 내세웠다면, 보잉은 X-32의 장점으로 '''가격'''을 내세웠다. 그러나 미 국방부는 2001년 10월 26일 JSF사업의 최종승자로 X-35를 선택하였다.

2. 스펙


전장
15.47m
전폭
10.97m
전고
5.28m
엔진
프랫&휘트니 F119 터보팬 엔진
최고 속력
마하 1.6
승무원
1명

3. JSF 사업


미 국방부가 저가형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다목적 스텔스기를 요구하며 JSF (Joint Strike Fighter Program)을 공고했을 때, 어느 정도 고성능에 적절한 가격대의 기체를 추구한 록히드 마틴과 달리, 보잉은 탈냉전이 한창이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고성능 기체는 당분간 큰 매력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각국의 군비 축소 과정에서도 무리없이 전투기를 구매하여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격이 매우 저렴한 기체'''로 승부를 걸었다. 그리고 결과물로 나온 것이 X-32.
X-32는 일반형인 X-32A와 수직 이착륙기인 X-32B 두 종류로 개발되었다.

3.1. 가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


보잉사는 기체의 가격을 줄이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가했다. 일반적인 전투기처럼 동체에 날개를 양 옆으로 붙이는 설계가 아니라, 주익을 하나로 크게 만들고 그 중심에 동체를 붙이는 설계를 채택하여 마치 붕어빵 찍어내듯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기존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일례로 X-32B는 AV-8 해리어의 수직이착륙 방식을 거의 그대로 가져와 사용했다.
또한 직접 분사 방식을 사용하여 기체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였다. 이 때문에 엔진이 정면으로 노출되어 스텔스 능력에 치명적은 결점을 안게 되었으나, 보잉이 오랜 기간 개발한 '레이더 블로커'를 엔진 팬 바로 앞에 설치해둠으로서 완전히 스텔스 특화 설계된 X-35 수준으로 RCS를 낮추는데에 성공하였다.[1]
결정적으로 X-35처럼 사용처에 따라서 따로 생산하지 않고 간단한 부품만 교환하면 되는 장점이 있었으며, 덕분에 간단한 부품 교체를 통해서 초음속 기동부터 수직착륙까지 다 해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X-35B은 부품 교체없이 초음속 기동과 수직착륙이 모두 가능했다.

4. 문제점


혁신성과 어느 정도의 성능을 희생하고, 기존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가격까지 줄였으나 혁신성을 너무 희생시킨 탓에 오히려 발목이 잡히고 말았다. 바로 기존 기술을 그대로 활용한 만큼, 그 문제가 그대로 따라오거나 더 커져버리는 치명적인 사태가 발생했던 것이다. 가장 크게 타격을 입힌 것이 수직이착륙형의 결함으로, 기존의 안정적인 기술을 응용하는 것까지는 좋았는데, 해리어의 문제점까지 같이 끌려오고 만 것이다.
여기에다 X-32의 실제 양산기는 실험기인 X-32와는 많이 달라질 예정이었다. 가장 큰 부분은 수평 꼬리날개의 추가인데, 이는 X-32가 한창 제작되던 와중에 미 해군에서 요구사양을 변경한 탓이다. 물론 이는 미 해군이 요구사양을 뒤늦게 변경하여 생긴 문제이지 보잉의 문제는 아니었기에 이 부분에 대해 평가점수를 낮게 줄 일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말은 해도 미군이 어찌되었건 가장 싫어하는 일중 하나가 눈에 띄는 형태 변경이기 때문에, 애초에 이 말을 곧이 곧대로 믿는 이는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을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고 해도 이미 X-32의 양산형은 형태가 바뀔 예정이었다.[2] 대표적인 부분이 공기흡입구로 STOVL은 이착륙시나 호버링 비행시 공기흡입구 위치 등이 변할 예정이었다. X-32 사진을 보면 사진에 따라 공기흡입구 모양이 다른 것은 이 때문으로, 가동형으로 만들지 않고 시험 항목에 따라 탈착하도록 만들었다. '''그 탓에 X-32 실험기는 STOVL 모드로 이륙하면 초음속 비행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록히드 마틴은 X-35에 적용할 리프트 팬 기술을 개발하자, 이에 고무되어 '''수직 이착륙과 초음속 비행을 한번에 실시하고 테스트 비행장에서 워싱턴 D.C.까지 의원들과 장성들 눈앞에서 왕복하는 방식으로 성능을 과시하면서''' 완전히 결정타를 먹여버린다.
또한 스텔스기답지 않게 엔진이 바로 정면에서 보이는 디자인 때문에 말이 많았는데, 보잉은 이 부분에 전파흡수물질을 왕창 바른 일종의 고정형 팬, 즉 레이더 블로커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결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군사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스텔스 성능에 한계를 보일 것이라며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X-32의 내부무장창은 동체 측면에 각각 1군데씩 있었으며, 무장 투하 방식도 F-22에 적용된 기술을 활용한 X-35와 달리 X-32는 좀 더 전통적인 방식을 택하였다. 즉 X-32는 일단 무장을 동체 외부로 꺼낸 다음 최종적으로 투하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는 무장이 투하될 때, 동체 내부에 있다가 갑자기 동체 바깥쪽으로 사출되면서 동체 내/외부의 전혀 다른 공기흐름 차이 때문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다만 무장발사에 걸리는 시간이 약간이나마 더 걸렸으며, 대형 폭탄이나 미사일 등의 장착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우려되었다. 또한 확장성에도 치명적이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다.
공중급유 시험평가 도중에 급유 드로그가 제대로 안 꽃혀 연료가 누출되는 일까지 있었다.

4.1. 수직이착륙 문제


[image]
X-32 수직이착륙 시스템 구조
X-32의 수직이착륙 시스템의 개념은 AV-8 해리어를 계승했다고 평가되는데, 이는 수직이착륙을 위한 구성파트를 최대한 줄인다는 개념으로부터 기인하고 있다. 단거리이륙/수직착륙 시에는 후방의 배기구 노즐을 막거나 최소화하고 대신 동체 중앙 부근에 있는 단거리이륙/수직착륙용 배기노즐을 사용한다. X-35가 단거리이륙/수직착륙을 위한 별도의 리프트팬이 필요한 것과 가장 다른 것이 이 부분이다. 다만 아래쪽으로 향한 배기 노즐에서 뿜어져나온 뜨거운 공기가 지면에 반사되어 다시 앞쪽의 공기흡입구로 재흡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 제트 스크린이라는 별도의 노즐을 추가하였다. 여기서는 연소실을 거치지 않은, 전방 팬 만을 거친 비교적 찬 공기가 뿜어져나와 일종의 에어커튼 역할을 한다.[3]
아무래도 보잉은 AV-8 해리어라는 단거리이륙/수직착륙기를 만들어본 경험이 있어서 여기서 얻은 노하우를 최대한 활용한 셈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아래로 향한 배기 가스가 공기흡입구쪽으로 재흡입되는 문제를 완전히 막지 못했다. 대략 3~5m 높이에서 발생해서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엔진이 오버히트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4]
또한 목표 설계로 X-35가 연료 탱크의 용량을 축소하고 고정무장인 기관포를 없애는 것을 통해 리프트팬을 장비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계획을 채용한 것과 달리, X-32에서는 무장창의 탑재량을 축소하여 수직이착륙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하는 계획을 적용하고 있었는데 이것 역시 문제로 여겨졌다고 한다. 당장 연료탑재량의 감소는 공중급유를 통해 보충할 수 있고, 기관포를 내장하지 않는 것도 외부 건포드를 장착해서 해결할 수 있지만, 무장창의 무장탑재량을 축소시키는 것은 그런 식으로 보완하기가 어렵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증기인 X-35를 개량하여 수직이착륙 전투기로 개발된 F-35B 역시 리프트 팬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다보니 기관포도 내장하지 못하며, 내부 무장창의 폭장 능력도 F-35A / F-35C의 절반인 1,000파운드급 2발으로 제한되었고 개발 과정 중에서 각종 문제를 일으키면서 가격 상승과 개발 지연의 원인이 되었다. 그래도 초음속 비행과 수직이착륙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데다 수직이착륙 기능 역시 불안정한 X-32보다는 훨씬 나았지만.

5. 양산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무튼 기존의 기술을 응용하면 양산성과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확연했기 때문에, F-35의 삽질을 보고 있노라면 보잉을 선택하는 게 가격이나 양산속도, 성능 등이 나았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도 있기는 하지만(...) 개발 과정부터 삽질의 연속이었던 X-32가 실제로 그랬을지는 미지수다. F-35를 봐도 알겠지만,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어디서 어떤 난관이 나올지는 아무도 모르는 법이다.
그러나 X-32는 실제 제안된 항공기는 상당부분 형상이 바뀔 예정이었고, 기술개념실증기였던 X-32 자체도 기술적인 부분에서 이런저런 문제에 시달린 것은 마찬가지다. 심지어 X-32는 만들기는 먼저 만들어놓고, 이리저리 문제가 터지면서 프로그램 후반에 가면 X-35에게 개발 일정이 뒤쳐지고 말았다. 즉 단순히 기존 기술을 최대한 활용한 탓에 기술적 혁신성 부분에서 밀린다는 이유만으로 탈락한 것은 아니다. 애초에 군대는 모험을 꺼리는 풍조가 있는 집단이고... 하지만, X-32는 혁신성을 포기하면서 유용한 기존의 기술이 과거의 문제점까지 고스란히 안고 있었다는 문제를 극복하지 못했다.
전문가들도 차라리 X-35를 선택해서 F-35를 만들었기에 이 정도까지라도 온 것이지, X-32를 선택했다면 성능과 가격을 모두 놓친 기종을 받아들이는 끔찍한 상황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언급할 정도다.
[image]
▲ 양산형 X-32 (가칭 F-32)의 목업
[image]
[image]
▲ 양산형 X-32 모습 아트워크 및 CG

6. 전투기계의 옥동자


미 공군 및 미 해군, 전투기 업계를 통틀어 유명한 격언이 있다. 그것은 '''"보기에 멋진 비행기가 날기도 잘 난다"(A plane that looks good is going to fly good.)'''
미국의 전투기 채용 역사를 보면, 성능 문제와는 별개로 못생기거나 이상하게 생긴 전투기가 채용된 예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X-32가 불합격 처리를 당했을 때도 미 공군 관계자들은 "'''입 큰 개구리는 싫다!'''"며 환영하는 기색이었다. 사람들은 다 똑같은지(?) 타국에서도 X-32는 추남 취급을 받는다. 벌린 입처럼 보이는 공기 흡입구의 언발란스함과 뚱뚱한 외양 탓에 개구리펠리컨으로도 불렸다.
[image]
[5]
밀덕계에선 X-32가 제식 전투기가 되었다면 웃는 전투기(F-32)가 웃는 미사일(SLAM-ER)을 쏘게 됐을 것이라며 농담을 하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이 X-32가 선정되어 F-32로 실전배치되었을 경우 그 제식명칭은 '''F-32 머스탱 II'''가 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등에서 대공, 대지 양면으로 활약했던 P-51 머스탱의 후계자라는 의미라고 한다.[6]
다만 보잉 내부에서는 X-32 프로젝트에 대해 '모니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한다. 더 웃긴 건 X-32는 시험비행 조종사들 사이에서 큰 입 때문에 '르윈스키'(빌 클린턴 대통령과 스캔들이 났던 그 모니카 르윈스키 맞다!)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했다는데, 사내 기술진들이 그 영향을 받아 이러한 이름을 지었던 모양이다.

7. 매체 속의 X-32


  • 만화 비행고등학교 - 일명 패배자 클럽의 패배자 2. 불우한 처지에 놓였지만 항상 웃음을 잃지 않는 강한 마음을 가진 캐릭터(...) 라기보다는 무슨 기분이건 일단 웃는 얼굴 자체가 디폴트인 듯하다. 덕분에 '미소천사'라고 불린다. 스토리 외에도 배경으로 종종 등장하며, 항상 YF-23과 둘이서 교실을 청소하고 있다. 함내청소요원 취급을 받지만, 그래도 일단 5세대 패밀리의 일원이다. 어렸을때 모니카라고 불렸다 한다. 작가가 파악하지 못한 것인지, 위의 모니카 르윈스키와 관련된 뒤숭숭한 별명이라는 설명은 나오지 않지만, 어느 정도 연상됐는지 예쁘면서도 관능적인 이름이라고 평가받기도.
  •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액트 오브 워 확장팩 하이트리즌 캠페인에서 컨소시엄의 스텔스함 시 섀도우의 함재기로 등장한다.
  • 나지카 전격작전 8화에서는 '오보로' 라는 이름의 차세대 전투기로 나오며, 에어쇼에서 강탈당한다.
  • 액트 오브 워에서 컨소시엄 진영의 해상전용 기체로 씨 쉐도우 스텔스함에서 1기만 수송하고 있고 수직이착륙기로 등장한다.
  • 액트 오브 어그레션에서 카르텔 진영의 주력 전폭기로 출현한다.
  • 전투요정 유키카제의 F/A-27과 턱이 닮았다;;
  • 에이스 컴뱃 3에서는 제너럴 리소스루트로 진행하다 보면 F/A-32C Erne라는 이름으로 언락된다.
  • Jane's ATF 에서 플레이어블 기체로 등장, 후속작인 Fighters Anthology에서도 동일

8. 둘러보기




9. 관련 항목



[1] 이 레이더 블로커는 JSF 탈락 뒤에도 아주 잘 써먹고 있다. 내세우고 있는 F-15SE나 F/A-18 인터내셔널 호넷등 비 스텔스기를 스텔스기로 개조화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이 레이더 블로커다.[2] 물론 X-35도 F-35로 넘어가면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형상 안에서 개량을 거친 수준이기에 문제가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X-32는 정말 많이 바뀌어야 할 처지였다.[3] 해리어도 4개의 노즐 중 전방 2개의 노즐은 팬에서 나온 찬공기만 배출되는 노즐이고 배기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한다. X-32와의 차이점은 해리어는 이 전방 노즐이 실추력도 담당한다는 것.[4] X-35는 배기구가 좀 더 뒤쪽에 있는데다가, 전방의 강한 바람을 일으키는 리프트 팬이 더 확실하게 배기 가스가 앞쪽으로 반사되는 것을 막아주었다.[5] 못생긴 외모와 웃는 모습 때문에 과거 개그맨 정종철이 봉숭아학당에서 맡은 캐릭터 옥동자를 연상시키는 밀덕이나 항덕 몇몇도 있었다고. [6] P-51의 원 제작사인 노스 아메리칸사는 이후 미국 방위산업체들의 합병과정에서 사라져 버렸고, 20세기 말 시점에서는 X-32의 제작사인 보잉이 먹어버린 모양새가 되었다. 이 때문에 P-51 머스탱에 대한 상표권은 보잉이 행사하고 있다. 2010년대 들어서 생산된 P-51 프라모델 중 일부를 살펴보면 보잉사로부터 상표 허가권을 받았다는 표시가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