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llen leaves
1. 개요
[image]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은 猫叉Master. 드럼 앤 베이스 풍 리듬에 猫叉Master 특유의 월드 일렉트로니카 스타일이 적절히 섞인 느낌.
2. 리플렉 비트 시리즈
HARD 패턴 영상
White Hard 패턴 영상
猫叉Master 단독 최초의 리플렉 10+곡이다. 이 곡을 해금하면 자신의 플레이어 닉네임이 주황색으로 변하며, 収穫者(수확자) 칭호를 얻는다.
하드 패턴은 '''109개의 롱노트'''로 밀어붙이는 롱잡곡이다.[1] 초반에는 기본적인 롱노트 패턴과 엇박 단타 위주의 무난한 패턴으로 흘러가나,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들어가는 순간 그야말로 롱잡 지옥이 시작된다. 롱노트는 흐르기 쉽상인데다 2중 롱노트 패턴까지 끼어있고, 간간히 2연타 체인까지 나오는 그야말로 롱잡 종합 패턴. 이런 흉악한 패턴 덕분에 난이도는 Valanga등과 같은 준 최상급 라인에 놓기도 한다. 배치가 잘못 꼬이면 10++급까지 올라갈 수도 있다.
10+ 주제에 노트수는 653개밖에 안 되고, 거기에 패턴 자체가 롱잡 발광구간에 난이도가 싹 다 몰려 있다. 회수컷도 4그렛으로 굉장히 높다. 약 90%까지의 정확도를 올리고 싶다면 롱잡보다는 그 이외의 구간을 먼저 연습하자. 90% 이상 내지 AAA+를 노린다면 롱잡 구간의 공략과 배치운이 적절하게 필요하다. 이런 보면 특성상 강화판이 나올 것이라고는 다들 예상하지 못했지만...
회수가 나왔다! 있다 아이패드지만...
드디어 아케이드에서도 회수가 나왔다.
이후 리플렉 비트 그루빈의 리플렉 도장에서 사범 단계의 보스곡으로 들어갔다. 서바이벌 게이지 특성상 중후반 롱잡구간에 난이도가 확 몰려있는 이 곡은 클리어하기가 까다로운 편이라 주의를 요한다.
리플렉 비트 VOLZZA에서 11레벨로 난이도가 변경. 과거에도 난이도상 평가로는 10++급이었는데 여전히 11레벨에 머물러있어서 デッドボヲルdeホームラン SPECIAL, OverDriveTrain SPECIAL, chaplet, 夏色DIARY 懐色DIEARY, Go Beyond!! SPECIAL 등과 같이 11레벨 보스곡 라인이 되었다. 다만, 하이라이트 전에는 10+ 최하급~하급인 부분이 꽤 오래가는 탓에 레벨 11로 유지시켰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ZZ와 같이 클래스 1의 과제곡 및 보스곡으로 나왔다. 사실상 클래스 1이 사범정도의 난이도기 때문에 위치는 유지한 셈.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는 14로 변경되었다. 보면 자체는 일반 오브젝트 일부를 버티컬 오브젝트나 빅뱅 오브젝트로 바뀐 걸 제외하고는 크게 없다. 오브젝트 수도 이전과 동일한 653개이다. 최대 콤보는 986 콤보. 이전에 11레벨 최상위권 라인이었고 아직 곡 부활이 전부 일어나지 않아서 당분간은 14레벨 최상위에 머물듯 하다. 다만 최대 저스트 리플렉 횟수는 19회에서 18회로 줄어버려서 엑설런트 난이도는 살짝 하락되었다.
이후 리플레시아 모드로 화이트 하드 보면이 추가되었다. 초중반은 쉬웠던 하드와는 달리 강화 패턴과 스위치 롱 오브젝트로 어려워졌고, 롱잡 구간은 스위치 롱 오브젝트와 일반 롱 오브젝트, 3연타 트릴의 향연으로 강화되었다. 특히 트릴을 치다가 스위치 롱 오브젝트의 OFF 구간을 건드려 미스를 낼 수도 있다. 안 그래도 어려운 하드 보면을 강화했는데도 그대로 14레벨로 나와서 사기 난이도 확정.
미디엄 패턴은 하드에서의 엇박과 롱잡이 상당 구간 살아있어 풀콤보와 스코어링 모두 어렵다. 7레벨이지만 체감 난이도는 8레벨 정도. 그리고 리플레시아에서 이전작까지의 8레벨급로 취급받는 10레벨로 승격하였다.
3. beatmania IIDX
SPA
DPA
SPH
- 차지 노트 채용 : 싱글 전 보면, 더블 노멀/어나더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22 PENDUAL ~
- 단위인정 수록
- DPA : 중전 (27 HEROIC VERSE)
싱글 어나더는 리플렉 비트의 전례를 따라 후반부에 롱잡 패턴이 등장한다. 때문에 비공식 난이도표에서 최초 등재 당시에는 개인차 A를 배정받았다. 그러나 정작 BPM이 느려서 롱잡이 아주 압박적인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클리어 방해 요소는 롱잡이 아닌, 롱잡이 끝난 직후 거세게 내려오는 겹계단 및 데님이 어지럽게 섞인 폭타이다. 이것이 반영되어 시간이 지난 후 개인차에서 처리력 A로 분류 이동하였다.
더블 어나더는 계단이 주가 되는 패턴으로, 싱글 어나더의 롱잡 발광은 한 손이 차지노트, 한 손이 잡노트를 처리하는 패턴으로 바뀌었다. 비공식 난이도는 12.3 상급~12.4 하급 사이라는 평이다. 猫叉Master의 더블 보면 중에서는 최상위라는 평.
여담으로 투덱에서의 음원은 리플렉비트에서의 음원과는 다르다. 아마도 네코마타마스터의 4집 개인앨범인 follow slowly에 수록된 버전을 사용한듯 하다. 킥과 베이스가 강화되었고 현악기음이 좀더 추가되었다. 정적 또한 2초 가까이 길어졌다.
4. 노스텔지어 시리즈
Expert 난이도 영상
테누토 노트의 비중이 꽤 높으면서 일부 구간에 노트가 몰려나오고, 계단 자체에 약하다면 초반의 오른손 계단에서부터 판정이 말릴 수 있으며, 후반의 왼손 발광구간은 웬만한 12레벨을 뛰어넘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그런데 FORTE 수록 당시의 Expert의 표기난이도는 11. 심지어 다른 11 곡들에 비해 노트수가 매우 적어 수록 시점에서 노트 수 적은 순으로 Noah's song of collapse(765개)에 이은 2위이기까지. 이런 이유로 스코어링 난이도가 하늘로 올라가 11레벨 최고의 지뢰곡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후 차기작인 Op.2에서 12레벨로 승격되어 제 자리를 찾게 되었다.
[1] VOLZZA 2 기준 롱노트 갯수 1위는 ほおずき程度には赤い頭髪의 14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