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텔지어 FORTE
1. 개요
[image]
노스텔지어 시리즈의 2번째 작품이자 기존작의 확장판. 2017년 7월 7일 버전 업이 예고되었고 7월 18일 유튜브 방송을 통해 제목과 정보가 공개되었다. 별도의 테마 변경과 데이터 인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의 해금 시스템이 그대로 이어지는 등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이 아닌 마이너 버전업으로 볼 수 있다. 유비트 시리즈의 어펜드나 리플렉 비트 VOLZZA 2 등과 유사한 경우.
2. 변경점
2.1. 추가된 기능
- 점포 내 매칭 시스템
최대 4인까지 매칭할 수 있다. 앙상블 콤보 시스템이 추가되었으며 매칭 인원 중 한 명이라도 콤보가 이어졌다면 앙상블 콤보가 계속 이어진다. 앙상블 콤보에 따라 추가 Step을 취득할 수 있다.
- 그레이드 시스템
20급부터 1급까지 있다. 방식은 기타도라 시리즈의 스킬과 비슷하다. 각 악보를 플레이하면 일정량의 'Play Grade(Grd.)' 포인트가 주어지며, 급수는 상위 50개 악보로 따진다. 그레이드의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레벨)*(달성률)*(노트수 계수)*(난이도 계수)*(랭크 계수)*(5+1*(콤보 수)/(총 노트 수))/6 을 소수점 세 자리부터 내린 수치.
여기서 (달성률)은 점수와 별개의 스코어 체계이며[2] (노트수 계수)는 기본 1에 노트 10개당 0.001 추가. (난이도 계수)는 Normal이 1, Hard가 1.25, Expert가 1.5. (랭크 계수)는 P시 8.25, S시 7.25, A+시 6.5.
(달성률)의 상세 공식은 10:7:5:0 정도의 비율로 점수가 계산된다.
테누토는 *4, 글리산도는 *0.5, 트릴은 *5까지 해준다.(레벨)*(달성률)*(노트수 계수)*(난이도 계수)*(랭크 계수)*(5+1*(콤보 수)/(총 노트 수))/6 을 소수점 세 자리부터 내린 수치.
여기서 (달성률)은 점수와 별개의 스코어 체계이며[2] (노트수 계수)는 기본 1에 노트 10개당 0.001 추가. (난이도 계수)는 Normal이 1, Hard가 1.25, Expert가 1.5. (랭크 계수)는 P시 8.25, S시 7.25, A+시 6.5.
(달성률)의 상세 공식은 10:7:5:0 정도의 비율로 점수가 계산된다.
결론적으로 노스텔지어의 그레이드를 올리기 위해서는 고레벨 Expert 채보에서 P랭크를, 현실적으로는 S+풀콤보를 달성시켜야 효율적이다. 여러 모로 기타도라의 스킬 시스템과 유사하다.
그레이드에 따른 급수 표기는 다음과 같다. 2017년 8월 28일 편집 시점에서, 그레이드 5940점까지는 히든 급수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천본앵의 그레이드는 일본판에서만 적용되며, 아시아판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그레이드에 따른 급수 표기는 다음과 같다. 2017년 8월 28일 편집 시점에서, 그레이드 5940점까지는 히든 급수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 NEAR 판정
GOOD과 MISS 사이의 새로 추가된 판정으로 노트의 판정 폭에서 살짝 어긋난 건반을 누르면 NEAR 판정으로 처리되며 콤보가 이어진다.
NEAR는 콤보만 이어질 뿐 점수는 0점이다.[3] 콤보 자체는 조금 더 쉽게 이어갈 수 있어서 브로치를 다루는데 수월해지고 미션 달성(풀콤보, 일정 MISS 이하)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스코어링 면으로 갈 경우 기존에는 올저스트로 처리되던 노트들, 특히 계단 처리 부분에서 매우 많은 손해를 봐야 하는 단점도 있다. 때문에 고렙으로 갈수록 계단의 비중이 높아지는 게임 특성상 점수작의 난이도는 완전히 한 손가락으로 누르는 연습이 되어 있지 않다면 점수가 엄청나게 떨어질 것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NEAR 횟수 제한 미션까지 생겨서 난감해졌다.
이에 대해 말이 많아서 그랬는지 2017년 9월 6일 업데이트로 옵션에서 NEAR 판정을 ON/OFF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NEAR는 콤보만 이어질 뿐 점수는 0점이다.[3] 콤보 자체는 조금 더 쉽게 이어갈 수 있어서 브로치를 다루는데 수월해지고 미션 달성(풀콤보, 일정 MISS 이하)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스코어링 면으로 갈 경우 기존에는 올저스트로 처리되던 노트들, 특히 계단 처리 부분에서 매우 많은 손해를 봐야 하는 단점도 있다. 때문에 고렙으로 갈수록 계단의 비중이 높아지는 게임 특성상 점수작의 난이도는 완전히 한 손가락으로 누르는 연습이 되어 있지 않다면 점수가 엄청나게 떨어질 것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NEAR 횟수 제한 미션까지 생겨서 난감해졌다.
이에 대해 말이 많아서 그랬는지 2017년 9월 6일 업데이트로 옵션에서 NEAR 판정을 ON/OFF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한 손 연주 기능
난이도 선택 시 양 손, 왼손, 오른손 중 연주할 파트를 선택할 수 있다. 기존의 채보에서 각각 왼손/오른손 파트만 나오고 나머지 파트의 노트는 반투명으로 처리되고 자동 연주된다.
한 손 연주시 만점은 100만점이나 하이스코어 기록은 안 되며[4] , Hard 난이도 플레이시 Expert 난이도를 뚫을 수가 없다. Grd. 포인트는 주어지긴 하지만 줄어든 노트만큼 획득량도 줄어든다. Step의 경우는 그대로 올라가기 때문에 해금을 좀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첫 플레이 시에는 오른손 연주가 메트로놈과 함께 기본으로 설정 되어있다.
한 손 연주시 만점은 100만점이나 하이스코어 기록은 안 되며[4] , Hard 난이도 플레이시 Expert 난이도를 뚫을 수가 없다. Grd. 포인트는 주어지긴 하지만 줄어든 노트만큼 획득량도 줄어든다. Step의 경우는 그대로 올라가기 때문에 해금을 좀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첫 플레이 시에는 오른손 연주가 메트로놈과 함께 기본으로 설정 되어있다.
- 타이밍 조절 기능
2017년 9월 6일에 추가. 판정선 위치 조절과는 별개로 옵션에서 판정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2.2. 그 외
- 글리산도 노트의 판정 변경[5]
- 이펙트 변화
노트의 이펙트가 좀 더 눈에 띄게 변했으며, 풀콤보 시 유비트 시리즈처럼 하단이 밝게 빛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 Good 판정 이상 풀콤보시 마크 효과 추가
2017년 9월 6일 변경. Good 판정 이상으로 풀콤보를 하면 기존의 풀콤보 마크가 무지게빛으로 빛나게 된다. NEAR판정 옵션을 켰을 경우 NEAR 이하 판정이 없어야 한다.
- 부분 한글화
2017년 10월 19일 기준 플레이 옵션 선택 화면과 게임 플레이 방법 화면에 한글화가 적용되었다.
3. 신곡
3.1. 클래식·재즈
항목이 없는 클래식 악곡에 대한 정보는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 참고.
3.2. 팝스
3.3. 애니메이션
3.4. 버라이어티
3.5. BEMANI
3.6. 노스텔지어 오리지널
4. 구곡 변경점
많은 곡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전작에 비해 난이도가 상승된 곡이 많다. 그에 비해 난이도가 떨어진 패턴은 단 하나뿐.
조정된 곡들은 '''상향''' 또는 '''하향'''. (예시:11→'''12''', 11→'''10''')
특히 익스퍼트 난이도가 최고레벨인 12레벨로 상승한 곡만 해도 강아지 왈츠,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제1악장, 나이트 오브 나이츠, 스미다강 여름연가로 총 4곡이다. 포르테 업데이트 이전 12레벨으로 측정된 곡도 4곡이었다. 단, 나오나는 12레벨로 쳐주기엔 민망할정도로 쉽다.
5. 해금 시스템
5.1. 스테이지
전작에서 이어져오는 것이라서 시스템은 거의 동일하고, 메인 스토리도 계속 이어진다.
한가지 변경점은, FORTE 모드의 특전이 "시계 해금시 1.5배"에서 "스테이지 진행시 +1스텝"으로 변경되었다.
스테이지 문서 참조.
5.2. MISSION BINGO
항목 참조
6. 악곡 교환 이벤트
2017년에 개최된 '노스텔지어 FORTE 버전 업 기념 악곡 교환 이벤트' 를 시작으로 다른 기종과의 연동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연동이벤트의 해금 조건은 뒤로 갈수록 복잡해져가는 추세. 참고로 플레이 조건의 경우, 단순히 플레이만 해서는 되지 않고 '''끝까지 완주'''해야 한다. 중간에 폭사당할 경우 카운트되지 않으므로 주의.[12]
6.1. 1회(노스텔지어 FORTE 버전 업 기념 악곡 교환 이벤트)
6.2. 2회(사운드 볼텍스)
6.3. 3회(유비트)
유비트의 해금조건은 OMIYAGE를 미리 모아놓은 기존 유저라면 사실상 1코인으로 조건충족이 가능하다. OMIYAGE가 부족하다면 스탠다드 모드에서 NOBOLOT 코스를 통해 '좋은' 등급의 미야게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데일리 보너스 'Croitからの贈り物' 2일차 부터 필요한 미야게('좋은' 등급 x 4)를 한 종류씩 주므로 연속으로 플레이하거나 NOBOLOT 코스를 도는게 여의치 않을경우 5일 출석체크하면 구입재료를 마련할 수도 있다.
노스텔지어의 '스미스의 변덕스런 연주회'는 과제곡이 한 계단마다 존재한다. 과제곡은 총 15개이고, 500원 모드로 주행하는 경우 총 8코인이 소모된다.
양측의 해금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악곡이 해금된다. 유비트에는 따로 악곡해금 이펙트가 뜨지 않으므로 주의.
6.4. 4회(기타도라)
4회차 연동 이벤트는 3회차 유비트와의 연동과 달리 양 기종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지 않아도 되고, 곡마다 달려있는 조건을 달성하면 바로 해당 악곡이 해당 기종에 해금되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만 악곡을 해금하고 싶은 유저라면 부담은 줄은 편이다.
기타도라의 네코베어뱃지는 그냥 1회 플레이할 때마다 게임 종료 시점에서 1개씩 지급된다. 즉 3번만 플레이하면 조건을 클리어할 수 있다.
노스텔지어의 오토베어 연주회는 총 6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4챕터까지는 과제곡이 있는 계단까지 올라가는데 각각 6스텝을 요구하고, 5챕터와 6챕터는 10스텝을 요구한다. 1스텝마다 과제곡이 배치되어 있던 3회차 유비트 연주회와는 다른 점. 코인을 아끼고 싶다면 스텝 수를 많이 획득하게 해주는 브로치를 장착하자. 클리어하고나면 "OTOBEAR Challenge"가 열려서 메달(시계) 획득에 도전할 수 있다.
6.5. 5회(pop'n music×노스텔지어 공연회)
팝픈뮤직과의 첫 연동이자, 서로의 악곡을 교환했던 지금까지의 연동이벤트와는 다르게 양쪽에 Zutt의 완전신곡이 해금되는 이벤트이다.
[1] 특이하게 심의가 뜨지 않은 상태로 업데이트 되었는데, 타이틀에는 forte 표기가 되어 있지 않다. 일종의 편법 업데이트인 듯.[2] 스코어와 유사하게 롱노트 / 트릴 노트의 점수가 더 높으나, 판정에 따른 계수가 다름. 같은 스코어라면 저스트의 비율이 높을수록 달성률이 높다. 게임에서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는다.[3] 따라서 0점 풀콤보(...)가 가능하다.[4] 플레이한 적 없는 악보라면 풀콤보 여부 표기가 가려지면서 점수가 기록되지만, 한번이라도 양손 플레이를 한 적이 있다면 해당 기록으로 덮어씌워지면서 이후 한손으로는 점수를 갱신할 수 없게 된다.[5] 공식 고지는 되지 않았다. 일종의 잠수함 패치.[6] 리플렉 비트 VOLZZA의 슬라이드 노트와 비슷한 사양. 판정 범위 내에 해당 노트에 해당하는 건반이 DOWN 되어 있으면 친 것으로 판정했던 것으로 추정된다.[7] 작곡은 wac.[8] 작곡 TOMOSUKE.[9] FORTE 업데이트 전인 2017년 7월 7일~17일 사이 노스텔지어를 5회 이상 플레이한 유저 한정 해금[10] 21, 22챕터는 해금곡 없음.[11] 한국판 미수록곡[12] 사운드 볼텍스에서 확인된 사항. 팝픈뮤직은 항시 3스테이지 보정이라서 관계없다. 다른 기종에 대해서는 확인 필요.[13] mint candy ☆ citrus dr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