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 찰
'''훈()'''

'''음()'''

'''부수'''
(입 구, 3획)
'''획수()'''
9획
'''이체자'''
[1], 偺, 喒[2]
'''급수'''
읽기 - / 쓰기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중국어 병음(표준어)'''
zán
'''주음부호'''
-
'''광동어'''
-
'''객가어'''
-
'''민둥어'''
-
'''민난어'''
-
'''오어'''
-
'''베트남어'''
-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나, 우리를 뜻하는 한자이다.
유니코드 U+54B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口竹月山 (RHBU)로 입력한다.

2. 상세


백화문에서 주로 '咱(們/们)[ㄗㄢㄇㄣ/zán(men)]'의 형태로 '우리'라는 뜻을 가진다. '我們/们[ㄨㄛㄇㄣ/wǒmen]'이 일반적인 의미의 '우리'를 나타낸다면, '咱(們/们)'은 청자와 화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우리'이다.
중국어 백화문에 쓰이는 한자이기에 중국 외 지역에서 용례를 찾기는 힘들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부수는 (사람인변, 2획), 획수는 11획, 咱의 동자이다.[2] 부수는 (입 구, 3획), 획수는 12획, 咱의 동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