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육

 


1. 개요
2. 한국 가정교육의 부실화
3. 가정에서 행해져야 할 교육
3.1. 초보적인 금융 교육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성경 잠언 22장 6절


1. 개요


사전상의 의미: 가정의 일상생활 가운데 집안 어른들이 자녀들에게 주는 영향이나 가르침.

사전상의 용례(네이버 사전 참조)

● 가정교육도 못 받은 사람처럼 왜 이렇게 막되게 구니?

● 가정교육의 소홀로 말미암아 청소년들의 일탈이 늘고 있다.

'''家庭敎育'''
일반 사전에도 수록되어 있는 단어이며, 다른 나라에도 물론 비슷한 뜻의 단어는 존재한다.
다만 한국에서 이 단어의 쓰임새가 무척 독특한 것은, 이 단어가 '''주로 '다른 사람을 비난하기 위해서' 쓰인다'''는 점, 즉 패드립의 완곡표현이다.
가정교육이란 '자녀들'이 받는 교육이므로,[1] 당연하지만 '''교육 시설''' 하고는 전혀 관계가 없다. [2] 사실 나이가 들어 스스로 사고할 줄 아는 성인에게 '가정교육'을 들먹이는 것은 사실 굉장한 실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디서 싸움나면 제일 처음으로 튀어나오는 단어이며, 아이뿐만 아니라 성인 되어서도 질리게 들을 수 있다
이 단어를 운운하는 것이 내포하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개인의 잘못에 집안을 끌고 들어간다'''는 점이다. 한마디로 '가정교육' 운운은 '''부모를 욕하는 것'''이다. 부모의 권위를 신성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가정교육'은 효과적인 공격 타겟이 된다. 서구 사회에서는 개인을 논하는 데 있어 그 옛날 부모로부터 받았던 가정의 교육까지 끌고 들어가지는 않는다.
하지만 자녀의 입장이 아닌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래의 항목에서 논하는 바와 같이 성장과정에서의 자녀의 교육이 자녀와 주변인의 인생에 끼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10년대 들어 밑에 문단에서 보듯이 황금만능주의 경향으로 가정교육이 부실해지면서 '''진짜로 가정교육에 문제가 있던 사람들'''이 소위 무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다.

2. 한국 가정교육의 부실화


이토록 언어적으로 '가정교육'을 중시하는 나라가 실제로는 공공 장소에서 '기를 살린다'아이들을 완전 방임하여 난리판을 치도록 내버려둔다는 점은 놀라운 일이다. 노키즈존이 생겨난 배경도 잘못된 가정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진짜 '가정' 교육이 필요한 부분을 모조리 정부에다 해달라고 주장하며 자기 자식을 방치하는 부모가 늘어나고 있는 더 큰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까지 가정교육이 부실해지게 된 배경에는 맞벌이 부부 증가, 도덕적 해이, 황금만능주의 등이 있다. 가정교육은 엄연히 학교교육, 사회교육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교육이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실생활에 필요한 거나 올바른 인간을 만들고 사랑을 주는 일 등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이 대신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3. 가정에서 행해져야 할 교육


육아에서 해야 할 교육은 입시와 취업에서의 성공 외에도 정말 많다. 다만, 이걸 두 사람 힘으로 가르칠 수 없는 부모도 있다 보니 문제가 생긴다.
  • 사회성, 예절 : 이를 배우지 못하면 민폐, 손놈이 된다.
  • 걸음마, 배변 훈련
  • 언어 능력 : 상당히 중요하다. 이를 적절한 시기에 배우지 못하면 자신의 생각도 표출을 못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회공간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온다.[3]
  • 초보적인 법률 교육 : 범죄로 착각하기 쉬운 것들, 집단괴롭힘이나 학교폭력에 대한 해결방법, 소유권에 대한 정립, 도로 교통법의 기본 등
  • 성장을 좀 더 세심하게 관찰
  • 형제, 자매가 있을 경우 자연스럽게 사이 좋도록 유도
  • 그 외 성장의 걸림돌이 될 원인 차단
  • 많은 대화관계 : 교육이라고 하기엔 애매한 부분이 많지만 엄연히 이 과정도 일상생활을 부드럽게 수행하기 위한 단계이다. 부모와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것은 물론, 언어능력과 사회적인 지식까지 가질 수 있다. [4]
  • 식사예절 : 쩝쩝거리면서 먹지 않기, 젓가락질 등이 있다.

3.1. 초보적인 금융 교육


이 교육을 받지 못하면 도박, 투기 등으로 재산을 낭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수입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과도한 생활비를 지출하고, 수입이 부족할 때 생활비를 줄여서 힘들게 살 생각보다는 빚을 낼 가능성이 높아지기도 하는 등 피해가 크기 때문에 중요한 교육이다. 정말 극단적인 케이스로는 가족 몰래 빚을 내는 경우까지도 존재한다.
빚을 안 갚았을 때 어떤 꼴을 당하게 되는지 가정에서 교육하기는 힘들다. 제때 갚는 것을 여러 번 연습시키면 '어차피 외상 잘 받아 주니 외상 받아주는 곳에만 가면 된다, 잘 갚기만 하면 아무 문제 없다' 등의 이상한 관념을 갖게 되기 쉽다. 그리고 청소년이 안 갚으면 당연히 부모에게 연락을 해서 갚으라고 하기 때문에 아이 자체에게는 별 교육효과가 없다. 진짜 돈이 없어서 부모도 채권자에게 쫓겨다니고 살살 비는 꼴을 본다면 교육이야 되겠지만, 경제교육을 하잡시고 집을 말아먹을 수는 없지 않은가 (...)

[1] 자녀들은 당연히 부모, 보호자의 사회성, 성격, 정신, 심리, 사상, 직업, 예절 등의 온갖 잡다한것을 보면서 성장한다. 그러니 예로 부모가 막장이라면 그 부모의 자녀들은 성장과정중에 막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당연히 생긴다. 그 길로 들어가지 않게하려면 학교 교육이나, 본인이 스스로 여러가지를 깨닫거나, 주변의 도움으로 부모와 차이를 벌려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결국 부모를 따라갈 가능성이 생긴다.[2] 단, 가정교육이 이루어지는 '가정'은 1차 사회화 기관이자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에 속한다.[3] 대표적으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회 등등이 있다.[4] 물론, 지나치게 과한 대화는 아이가 집착처럼 느껴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조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