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등왕

 


'''왕호'''
'''거등왕(居登王)'''
'''시호(?)'''
도왕(道王)(?)[1]
'''별호'''
거등공(居登公)
'''성씨'''
김(金)
''''''
거등(居登)
'''왕후'''
모정(慕貞)
'''왕태자'''
김마품(金麻品)
'''부왕'''
수로왕(首露王)
'''모후'''
허왕후(許王后)
'''생몰연도'''
? ~ 253년 9월 17일
'''재위기간'''
199년 3월 13일 ~ 253년 9월 17일 (54년)
1. 개요
2. 정치
3. 외교
4. 전설
5. 기록
5.1. 《삼국유사》 가락국기
5.2. 《삼국유사》 왕력


1. 개요


의 아들 거등왕(居登王)으로부터 9대손인 구충왕(仇衝王)까지 이 사당에 배향(配享)하고, 매년 정월(正月) 3일과 7일, 5월 5일과 8월 5일과 15일에 푸짐하고 깨끗한 제물을 차려 제사를 지내어 대대로 끊이지 않았다. (중략) 그 제삿날은 거등왕이 정한 연중(年中) 5일을 변동하지 않으니, 이에 비로소 그 정성어린 제사는 우리 가락국에 맡겨졌다. 거등왕이 즉위한 기묘(己卯 : 199년)에 편방(便房)을 설치한 뒤로부터 구형왕(仇衡王) 말년에 이르는 330년 동안에 사당에 지내는 제사는 길이 변함이 없었으나… (후략) …

ㅡ《삼국유사가락국기(권1 제2 기이 상)

금관국의 제2대 왕. 김해 김씨 족보에는 도왕(道王)으로 기록되어 있고 재위 기간은 199년~253년까지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39년이나 재위했지만 별다른 기록은 없다. 수로왕과 허 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천부경 신보(申輔)의 딸 모정(慕貞)을 아내로 삼았다. 모정과의 사이에서 아들 마품왕을 낳았다.
녹차한반도에 처음 들어온 시기 중 거등왕 시기도 언급된다. 허황옥이 가져왔다는 "허황옥 유래설", 199년 가야 거등왕의 재위식에 사용했다는 "거등왕 제례설", 292년 삼국사기의 대렴 유래설 등이 있다.

2. 정치


재위한 그해 세상을 떠난 수로왕을 위해 편방(便房)을 설치하고 매년 정월 3일과 7일, 5월 5일, 8월 5일과 15일에 제사를 지내도록 지시했다.
가야 건국 초기에는 왕가를 배출하는 김수로 일파와 왕비를 배출하는 허황옥 일파가 있었는데 그것을 입증하는 것이 거등왕과 마품왕의 부인들. 모두 허황후가 데려왔다는 인물들의 딸들로 구성되어 있다.
김해 무척산에 있는 모은암(母恩庵)이 거등왕이 어머니인 허황후를 기려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정자다. 모은암 뒤편에는 남근석이 존재해서 왕실의 번창을 기원하며 세운 건물이라는 추측도 가능하다.[2]

3. 외교


재위 직후인 200년 신라에 화친을 요청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 있다. 아마 이 시기에 신라에게 공격을 당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9년 7월에 포상팔국의 난이 일어났다. 8개의 연해 국가들이 금관국을 침공한 사건으로 힘에 부쳤는지 신라에 도움을 청하자 신라에서 내해 이사금이 대자 우로, 이벌찬 이음, 물계자에게 6부의 군사들을 모아주어 8명 나라의 장군을 죽이고 잡혀갔던 6천명을 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3년 후인 212년 3월에 왕자 1명을 볼모로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대를 신뢰할 경우에는 이러하나 나주의 보라국 / 발라국 등 이 시기에 존재했다는 소국이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보이지 않아 시대에 대해 회의하는 의견도 많다. 때문에 포상팔국의 난에 대해서는 3세기 초반(그대로 신뢰), 4세기 초반, 4세기 후반, 5세기 초반, 6세기 초반 등 다양한 설이 있으나 대개 낙랑군대방군멸망하여 교역권이 흔들리게 된 4세기 초반을 유력한 시기로 본다. 만약 이러한 가설이 맞다면 이 부분은 거등왕의 연대기에서 소거해야 할 것이다.

4. 전설


역사적 사료로는 근거가 되지 못하지만 김해 김씨 족보 등 몇몇 문헌에 의하면 하늘에서 내려온 선인인 참시선인을 초선대(招仙臺)[3]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었다고 한다. 참시선인은 배를 타고 왔다고 전해진다.

首露王墓【在州西】招賢臺【在州東. 世傳, 駕洛國居登王 登此臺 招七點山旵始仙人 旵始乘舟而來, 因名焉】

수로왕묘(首露王墓)【주(州)의 서쪽에 있다】, 초현대(招賢臺)【주의 동쪽에 있다. 세상에 전하기를 '''가락국의 거등왕이 이 대(臺)에 올라 칠점산(七點山)의 참시(旵始) 선인(仙人)을 부르자 참시가 배를 타고 왔다 하여'''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가 있다.

'''《고려사》지 金州'''

이야기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기록이 남아 있다.

옛 말에 이르기를, 가락국의 거등왕께서 칠점산의 담시 선인을 초대했다. 담시 선인은 배를 타고 거문고를 안고와서 이곳에 바둑을 두며 즐겼으니 이때문에 이곳을 초선대라 하였다. 그때 왕과 선인이 앉아있던 연화대석과 바둑판 돌이 지금까지 남아있다. 칠점산은 양산군 남쪽 44리 바닷가에 있으며, 산이 칠봉인데, 칠점과 같으므로 칠점산이라고 이름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참시선인은 거등왕에게 치국의 도를 가르치고 국가 운영에 대해 가르쳐 주었다고 한다. 참시선인은 칠점산에서 왔다하여 "칠점 선인"이라 불리기도 했고 거문고를 가지고 다닌다 하여 금선(琴仙)이라고 했다고 전해지는데 모습이 차가운 옥과 같고 말소리는 경을 읽는 소리 같았다고 한다.
거등왕이 참시선인을 초대해 쇠고기로 만든 요리를 들였으나 모두 사절하고 단풍나무 진과 도라지를 요구해서 먹었다고 한다. 그리고 거등왕에게 "임금이 자연스럽게 다스리면 백성이 자연스럽게 살게 된다"라고 일러주었고 이를 받아들여 거등왕이 나라를 잘 다스렸다고 적혀있다.

왕의 초선대는 도성에서 7리 정도 되는 넓은 들 가운데. 있는데 거등왕이 칠점 선인의 이름을 부르면 선인들이 배를 타고 거문고를 안고 와서 서로 기뻐하였다.

《김해 김씨 족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칠성산에 왕이 앉았던 돌인 연화석이 있고 돌에는 바둑판 모양이 새겨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옆 바위에는 석불이 새겨져 있는데 거등왕 초상이라는 전설도 존재한다.[4]
초선대와 관련된 블러그
김해 유하리 고분이 거등왕릉으로 전해지고 있었으나 발굴 결과 7세기의 굴식 돌방무덤일 뿐만 아니라 발굴된 유해는 여성 5명, 아이 4명의 것이어서 틀린 사실이었음이 밝혀졌다.

5. 기록



5.1. 《삼국유사》 가락국기


아버지는 수로왕이고 어머니는 허 왕후이다. 건안 4년 기묘 3월 13일에 즉위해 39년동안 다스리다가 가평 5년 계유 9월 17일에 붕하였다. 왕비는 천부경 신보의 딸 모정이고 태자 마품을 낳았다. 개황력(開皇曆)에 이르기를 '성은 김씨인데 대개 이 나라 시조[世祖]가 금알에서 났으므로 김(金)을 성으로 삼았다.'라고 했다.


5.2. 《삼국유사》 왕력


제2대 거증왕

수로왕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허황후(許皇后)이다. 기묘년[5]

에 즉위하여 55년 동안 다스렸다. 성은 김씨이다.

第二 居登王

首露子 母許皇后 己卯立 理五十五年 姓金氏


[1] 김해 김씨 족보에 기록된 시호.[2] 이 절에는 인도에서 가져왔다는 남근석인 "닝기"도 존재한다.[3] 고려사에는 초현대(招賢臺)라고도 기록되어 있다.[4] 하지만 석불은 고려 시대의 양식을 띄고 있어서 거등왕과는 아무런 접점이 없다.[5] 19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