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방어선

 



'''경상도 방어선 '''
慶尙道 防禦線

'''시기'''
1592년 4월 14일[1] ~ 1592년 6월 7일[2]
'''장소'''

조선 경상북도경상남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
'''원인'''
왜군의 대규모 친입과 부산진 전투 이후 왜군의 북진.
'''교전국'''
조선 [image]
일본 [image]
'''지휘관'''
도순변사 신립
조방장 변기†
종사관 김여물†
충주 목사 이종장†
이일
박안민
부산진 첨절제사 정발
동래부사 송상현
이각
박홍
조영규†
이언성
홍윤관†
서예원
이유검
송빈
김득기
이대형
류식
이령
김해
김수
권길
박지
그 외 의병 지휘관

고니시 유키나가
가토 기요마사
소 요시토시
마츠우라 시게노부
아리마 하루노부
오무라 요시아키
고토 스미하루
구로다 나가마사
'''병력'''
102,000여 명
165,600여 명
'''피해'''
최고 지휘관 전사
경상도와 충청도 일부를 포함한 지역에서 22,420명 이상 전사
경상도 지휘부 붕괴
경상도 방어군 궤멸.
경상도 병영수영함락.
왜군 890여명 사상자 발생
'''결과'''
충청도 함락 및 방어실패.
일본군에 의한 경상도 지역 조선군 무기 탈취

'''영향'''
조선, 한양 방어 포기. 선조의 몽진.
전국적으로 일어나는 의병항쟁
1. 개요
2. 상세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 직후 경상도와 충청도 일부지역에서 일어난 전투와 의병항쟁을 포함한 경상도지역을 포위하여 한양으로의 진격을 막기위해 구축된 방어선을 말한다.

2. 상세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직후 경상도를 방어하기 위해서 부산진 첨사 정발이 왜군과의 첫 전투를 치루었다. 이를 부산진 전투 라고 하며, 이 전투의 패배로 경상도 전역이 위험에 처하였다. 이후 동래성 전투마저 왜군의 승리로 끝나면서 사실상 경상도 방어는 확대되었다. 이후 김해성 전투를 비롯해서 제1차 울산병영 전투, 상주 전투 등으로 왜군의 진격을 늣추는데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다. 그리고 조선 조정은 도순변사 신립을 보내어 경상도 방어선의 수비를 부탁하였다. 이때 1차로 조선군이 막고 있었던 길목은 아래와 같다. 이 위치는 당시 일본군의 진격로를 어느정도 예측한 까닭도 있었다.
당시 쿠로다 나가마사추풍령을 넘어서 진격하려고 하였고 고니시 유키나가는 조령을 통해서 한양으로 가기로 하였다. 그리고 가토 기요마사죽령을 넘기로 하였다. 이때문에 고모산성을 1차적으로 방어하고 죽령과 추풍령을 2차적으로 방어하려던 본래 조선군의 계획대로라면 어느정도 왜군에게 피해를 줄수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
명칭
위치
추풍령
영동
조령
조령
죽령
단양
고모산성
문경
그러나 신립은 기마부대가 움직이기에는 평지가 더 좋다고 판단하여 모든 조선군을 탄금대로 모이게 하였다. 그 결과는 탄금대 전투 문서에서 나오듯, 대패로 끝났으며 이로 인하여 경상도 방어선은 붕괴되었다.
[1] 음력 4월 13일[2] 음력 4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