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 메탈 슬라임

 


'''타이 일행의 조력자들'''
''' 아방'''
''' 크로코다인'''
''' 고메'''
''' 마트리프'''
''' 브로키나'''
''' 메를르'''
''' 치우'''
''' 플로라'''
''' 롱 베르크'''
''' 노바'''
''' 발닥'''
''' 파프니카 3 현자'''
1. 개요
2. 고메
3. 정체
4. 기타


1. 개요


[image]
'''PROFILE'''
'''이름'''
고메
ゴメ
GOME
'''종족'''
골든 메탈 슬라임?
'''성우'''
1991년
[image] 토마 유미(TVA),[1] 코우다 마리코(1기 극장판)
[image] 김성희(비디오),[2] 문일옥(SBS)
2020년
후리하타 아이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슬라임의 일종으로, 드래곤 퀘스트 타이의 대모험 오리지널 몬스터.
SBS판에서는 '금삐'라는 이름으로 로컬라이징되었다.
드래곤 퀘스트 게임에는 등장한 적이 없으며, 실상 작품 내에서도 골든 메탈 슬라임은 고메가 유일하기 때문에 골든 메탈 슬라임=고메로 받아 들여도 큰 문제가 없다. 이름이 비슷한 골든 슬라임이란 녀석이 드래곤 퀘스트 7부터 나오긴 하지만 생긴 게 전혀 다르고 소원 역시 들어주지 않는다. 돈을 로또 수준으로 주는 고마운 놈이긴 하지만 말이다.
작중에서는 매우 희귀한 몬스터로 알려져 있기에 잡기만 하면 비싼 값에 팔 수 있다보니 가짜 용사 일당의 표적이 되기도 하였다.

2. 고메


[image]
다른 슬라임이나 메탈 슬라임과는 달리 날개가 달려 있어서 날아다니며 타이와는 델무린 섬에 살던 시절부터 각별한 친구 사이. 보통은 "삐" 소리만 내고, 그 말은 몬스터들만 알아들을 수 있다.
어릴 적 우연히 조우하였을 때, '친구가 되어 달라'라고 말했기에 섬을 떠나서도 언제나 타이와 함께 하며, 포프와 함께 모험에 나설 때부터 함께한 원년멤버이기도 하다. 보통은 히로인들의 은밀한 부위에 들어가 있다 불쑥 튀어 나와 서비스신을 보여주는 게 전부였다. 그래도 포프와 함께 분위기 메이커로서의 의의는 지니고 있는 존재.
하지만 일개 몬스터이면서 마왕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3] 주요 캐릭터들이 궁지에 몰릴 때마다 미지의 힘을(약간씩이나마) 발휘하여 도움을 주면서[4][5] 뭔가 비밀이 있다는 떡밥을 꾸준히 풀었다.

3. 정체



버언: 아무 것도 모르는 모양이군... 이 놈은 슬라임이 아니야... 아니, 한 마디로 생물도 아니지. 이건 아이템이다...! 신들이 만든... '살아있는 아이템'.

대마왕 버언과의 결전에서 일개 몬스터는 커녕 생명체조차도 아니라, '''어떤 소원이든 일정 수준까지 들어주는 살아있는 아이템 '''신의 눈물''''''이었다는 게 밝혀진다. 용의 기사인 타이와 마찬가지로, 고메 또한 신들의 유산이었던 것. 지상의 무력한 생물들의 고통을 한탄한 신들이 흘린 것으로, 신의 힘을 미약하게나마 지니고 있으며 '''소유자의 소원을 이루어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약자가 이것 때문에 엄청난 힘을 손에 넣어 천지마계의 밸런스가 몇 번이나 무너졌을 정도라고 한다.
버언에게 포착되기 전까지 타이의 동료들의 소원까지 들어주면서 힘이 거의 다해 쪼그라들기까지 한 상태였는데,[6] 신의 눈물의 힘을 경계한 버언에 의해 산산조각이 나버린다. 그 순간 신의 눈물로서 완전히 각성해 타이 내면에서 소통을 이루고, 마지막 남은 힘으로 타이가 절실히 바랐던 '아주 잠깐 동안이나마 인류의 마음을 하나로 잇는 기적'을 이루어주고 사라진다. 사실상 고메로 인해 세계가 구원받았고,[7] 자신을 부순 버언에겐 마지막까지 한 방을 먹여줬다.[8]
버언 왈, '왜 자신의 무적의 마왕군이 이렇게나 몰렸는지 알았다'라고 할 정도로 말도 안 되는 사기템으로, 비록 타이 일행이 그 정체를 몰랐던 만큼 간간히 들어주던 소원들 모두가 다른 걸로도 대체 가능했던 것만큼 사소한 것들이었지만, 결정적이었기에 타이 일행과 마왕군, 더 나아가 세계의 운명을 좌지우지한 것은 이 고메의 영향이 매우 컸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말 천지마계의 밸런스를 무너뜨렸다고도 볼 수 있다.
델무린 섬에 나타났던 건 그 곳이 세계에서 가장 더럽혀지지 않은 장소였기 때문으로, 탐욕스러운 인간들의 마음을 피해 옮겨온 것이라 한다. 슬라임 형태의 모습이 된 건 그 때까지 델무린 섬에서 몬스터들 사이에서 자라온 타이의 심층심리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남긴 말에 의하면 소원을 들어준 시간과 똑같은 시간에 걸쳐 재생된 뒤 이 세상 어디선가 다시 나타난나고 하지만 지금까지 타이와 함께 지냈던 기억들은 완전히 사라져서 복원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도 반드시 고메를 찾아내 다시 한 번 친구가 되기로 약속하는 타이의 모습이 제법 감동적인데, 문제는 타이도 마지막에 행방불명이 되어버린다는 것. 결국 2부가 나오지 않는 한은 감동의 재회를 확인할 길이 없다.(...) 작중 타이가 처음 신의 눈물을 보았을때 바랬던 소원은 "친구가 되어줘" 인데 바란에 의해 잠시 기억을 잃은 타이가 다시 고메를 보았을때 했던 말 역시 "내 친구가 되어줘"이다. 그것에 울먹이는 고메의 심정은 정체를 알고 난 후에 보면 매우 색다르게 느껴진다.
어찌 보면 타이의 순수한 유년기를 상징한다고도 할 수 있는 존재로, 고메로서의 존재 자체가 한 점 사심도 없는 순수한 아이의 마음을 통해 형성된 것이었고 둘 사이의 관계도 처음부터 끝까지 순수하고 어린 아이들의 유대였기 때문. 고메와의 작별 후 타이는 적어도 소년 시절에는 두 번 다시 고메와 재회할 수 없게 되었고, 그 고메로서의 존재 자체까지 바친 기적을 통한 지상세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이전 어린 소년의 마음으로 꿈꾸던 용사로서는 생각도 할 수 없었던 용마인이란 마수화까지 거쳐 진마강용검까지 계승받음으로써 완전히 용의 기사로서의 존재로 기울어진다. 이를 보면 후반 고메와의 이별은 타이 자신의 유년기와의 작별이자 졸업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4. 기타


기획 단계에서 중지된 타이의 대모험 마계편에서 재등장했다면 신생 용기중의 공전기 멤버가 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또는, 소원을 들어주는 특성을 감안하면 드래곤 퀘스트 3의 태양의 돌처럼 마계의 태양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평도 있다.
여담으로, 고메의 말에 따르면 사실 골든 메탈 슬라임이라는 몬스터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신의 눈물에 대한 전설이 와전되어 인간들 사이에 퍼진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1] 에이미와 중복.[2] 레오나와 중복.[3] 델무린 섬의 몬스터들이 마왕 부활의 영향을 받아 흉폭화되었을 때, 고메는 전혀 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브라스 할아버지조차도 간신히 저항하고 있는 상태임에도. 이후 델무린 섬에 마호카토르가 걸려 그 안의 몬스터들은 마왕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지만, 섬을 한 발짝도 나갈 수 없게 되었다. 그럼에도 고메는 섬을 나가서도 멀쩡했다.[4] 특히 포프메간테를 사용한 후 죽었을 때 사후세계까지 따라가서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기까지 했다. 이제 죽었다는 걸 알고 단념하려던 포프를 도발해서 죽은 상태에서 주문을 사용해 바란에게 틈을 만들었고 그 틈을 이용한 타이의 라이데인 스트랏슈가 조금 더 빨리 명중해 타이 일행은 가까스로 비길 수 있었다.[5] 심지어 치우해들러 친위기단의 펜브렌에게 유린당하자 분노하여 몸통박치기로 펜브렌을 공격하는데, '''오리하르콘으로 된 펜브렌의 몸에 구멍을 뚫어버렸다.'''[6] 특히 레오나를 구하기 위해 마법력을 대량 방출해 마력로에 공급했던 게 결정적이었던 듯하다.[7] 이로 인해 포프는 고메가 '진정한 의미로' 자신들 모험의 수호신이라는 것을 알았다.[8] 그냥 검은 핵을 없애는 소원을 비는 게 낫지 않았냐는 독자 의견도 더러 있지만, 타이가 빈 소원조차도 확실하게 들어줄 수 있다고 장담하지 못할 정도로 고메에게는 남은 힘이 얼마 없었기 때문에 아마도 타이가 빈 소원이 고메가 들어줄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