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유불급

 

1. 개요
2. 유래
3. 다다익선과의 관계
4. 용례
5. 지나쳐서 없는 것만 못해지는 경우

'''고사성어'''
''''''
''''''
''''''
''''''
지나칠 과
오히려 유/같을 유
아닐 불
미칠 급

1. 개요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과 같다.
무엇이든 한쪽이 지나치면 부작용이 큰 것을 말한다. 그리고 지나친 욕심을 부리면 애써 가지고 있던 물건이나 명예를 한 번에 잃어 버려서 한 번에 망해버리는 상황을 겪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뭐든 적절한 게 좋다!
'''猶'''(오힐 유)를 '오히려'로 해석해서 "지나침은 오히려 미치지 못한다."나 약간의 의역을 더해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서 사용된 '猶'는 서술어로 쓰인 것이며, ''''같다''''는 뜻이다.[1] 주로 공맹유학에 대한 제반지식 없이 사자성어만으로 받아들인 이들이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로 알고 있는데, ''''과유불급'은 모자람이 지나침보다 낫다는 식의 우열을 뜻하지 않는다.''' 그렇게 알고 있는 이들은 전부 뜻을 오역한 것이며, '''공자가 주장한 중용의 가치에도 전혀 맞지 않는다.''' 조선 성균관의 적통 계승을 주장하는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동양학과 교수들은 이견의 여지없이 '같을 유'가 맞다고 강론한다 .

극과 극은 통한다》와도 맥락을 같이하는 면이 있다.

2. 유래


논어에서 나오는 말로, 공자의 제자 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자공: "자장자하 중에 누가 더 낫습니까?"

공자: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

자공: "자장이 낫다는 말씀이십니까?"

공자: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중, 누가 현명(賢明)합니까?」 하고 물은 적이 있다. 어느 날, 자장이 공자(孔子)에게 「사(士)로서 어떻게 하면 달(達)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공자(孔子)는 도리어 자장에게 반문(反問)하기를 「그대가 말하는 달(達)이란 무엇인가?」
「제후(諸侯)를 섬겨도 반드시 그 이름이 높아지고, 경대부(卿大夫)의 신하(臣下)가 되어도 또한 그 이름이 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은 문(聞)이지 달(達)이 아니다. 본성이 곧아 의를 좋아하고, 말과 얼굴빛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알며, 신중히 생각하여 남에게 겸손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제후(諸侯)를 섬기거나, 경대부의 신하(臣下)가 되어도 그릇되는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야 달(達)이라 할 수 있다.」 하고 공자(孔子)는 자장의 허영심을 은근히 나무랐다.
한편 자하에게는 이렇게 타이른 적이 있다.
「군자유(君子儒)가 되고, 소인유(小人儒)가 되지 말라.」[2]
이 두 사람을 비교해 달라는 자공(子貢)의 말에 「자장은 지나쳤고, 자하는 미치지 못했다.」
「그러면 자장이 나은 것입니까?」
「지나침은 못 미침과 같으니라(過猶不及;과유불급).」
출전: 논어(論語)의 선진편(先進篇)

3. 다다익선과의 관계


과유불급과 다다익선은 상호모순되거나 반대, 안티테제의 개념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모순적인 상황은 물리학이나 경제학 등 우리 주위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자 개념이기도 해서 크게 놀라운 것은 아니다. 연속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다익선'은 경제학 초기의 중상주의나 중농주의 학파와 흡사하다. 세이의 '수요의 법칙'과도 일맥상통한다. 즉 경제가 발전하는 초기에는 수요가 대단히 많기에 많을수록 경제적으로 이득인 현상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경제가 어느 정도 안정기에 들어선 상황이라면 수요가 한계에 도달하기 때문에 '정도가 지나치면 탈이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부채를 과도하게 늘리다 발생한 '과유불급'의 대표적인 현상이다.
다다익선의 고사를 봐도 알 수 있다. 한신유방에게는 10만 병사를 이끄는 것이 적당하지만 자신의 경우는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는 발언을 했다. 한신의 경우 중국 최고의 장군이라고 불리지만 유방의 경우 지휘를 못하진 않지만 항우에게 계속해서 패배했고 실제 10만 이상을 끌고가 대패한 적이 있다
요약하면 '다다익선'의 상황이 분명 존재하고 시간이 흐르고 상황이 바뀌면 '과유불급'인 상황도 닥치게 된다는 의미다.
대체적으로 다다익선은 물질적인 측면에서 많이 쓰이고, 과유불급은 정신적인 측면에서 많이 쓰이는 경향이 크다. 아무래도 물질은 모으는 쪽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고, 정신은 자제하는 쪽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보기 쉽다. 의미도 '많을수록 좋다'와 '적당히 해라'로 함축할 수 있다.

4. 용례


현대에 굉장히 많이 인용되는 말로, 사람이나 집단의 무리한 욕심으로 인해 재앙을 초래할 때 언급하는 단어가 되었다.
작품에서는 아무리 욕심이 많지 않아도 비중이 너무 많거나 지나치게 나서는 캐릭터는 인기가 낮아지고[3], 최악에는 이러는 행동이 사망플래그가 되기도 한다. 또는 자만심이 지나치거나 이미 승리를 잡았음에도 스스로 제 무덤을 판 사례도 있다.
작품의 집필 등지에서도 설정등의 뒷배경은 치밀하고 많으면 그만큼 흥미나 이해도를 높이는 데는 좋지만, 그 정도가 너무하게 되면 2차 창작이나 새로운 사이드 스토리 출시 때 기존 설정과의 충돌로 기존팬과 신규팬의 충돌, 갈등 등으로 인지도와 인기 유지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인간이 섭취하거나 투여받는 약품, 영양소 등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언급된다. 당장에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비타민 A를 과다섭취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도 그렇고, 탄수화물이나 단백질도 과다섭취하면 비만이 되는 것 등이다. 물도 많이 마시면 죽을 수 있다. 그러니까 뭐든지 좋다고 아무거나 먹거나 과다섭취해서도 안 됨을 유념하자.
경제학 분야에서도 용례를 찾을 수 있다. 저축을 충분히 하면 은행을 통해 돈이 돌기 때문에 경제에 좋지만 일본 기성세대 수준으로 저축이 과도하면 소비가 줄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 환율의 경우에도 너무 낮으면 수출이 잘 안 되어 곤란하지만 너무 높으면 수입이 부담스러워진다. 세금 역시 너무 낮으면 국정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없지만, 너무 높으면 기업이 조세 피난처로 도망갈 수 있다.
심리학 쪽에서도 이 사자성어는 유효하다. 적절한 믿음은 갈등을 해소하는 요소가 되지만, 맹신은 호구가 되기 쉬우며, 반대로 불신은 갈등을 악화한다. 또한 나라나 조직에 대한 충성 역시 지나치면 자기 자신은 물론 오히려 나라나 조직을 말아먹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기계학습에서도 이 용례는 '과적합(過適合/overfitting)'이라는 용어로 그대로 적용된다. 전통 예법에서도 비슷하게 '과공비례(過恭非禮)'라는 표현이 있다. 공손함이 지나치면 오히려 예에서 어긋난다는 뜻이다. 사물 높임법 문서도 참조.
경로의존성규모의 경제와도 유관할 수 있는데, 어떤 제품이 널리 보급되면 가격, 유지에 유리하게 되겠지만, 그 정도게 세면 영국의 가스등처럼 신기술 제품 도입이 어렵게 된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와도 어느 정도 통한다. 다만 이쪽은 과유불급의 잘못된 사용과 더 맞닿아 있다.

5. 지나쳐서 없는 것만 못해지는 경우


  • 과식으로 인한 구토가 있다. 영양과 돈을 낭비하니 안 먹은 것만 못해진다. 치우는 수고까지. 어른은 이해할 수 없지만 어린이취향에 맞는 음식을 보면 주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부모의 많은 교육이 필요한 부분. 물론 이 경우에 이 고사성어를 쓰면 문맥을 무시한 인용이 된다.

[1] 참고로 '同'의 옛 훈이 '오힌 동'.[2] 군자유란 자신의 수양을 본의로 하는 구도자, 소인유란 지식(知識)을 얻는 일에만 급급한 학자.[3] 캐릭터의 2차 활용(잦은 미디어 믹스 출연이나 사이드 스토리 등)으로 캐릭터의 흥미나 스토리의 소모율을 너무 빠르게 앞당기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