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베스타
KIA BESTA[1]
1. 개요
1986년 3월에 봉고 코치의 후속 모델로 출시된 원박스카로, 베이스 모델은 봉고 2세대와 마찬가지로 마쓰다의 봉고 3세대와 봉고 브로니이다. 출시 이전에는 뉴 봉고라는 가칭이 있었으나, 출시되면서 '베스타'라는 이름으로 나오게 되었다. 생산은 소하리공장에서 했다.
2. 상세
봉고 시리즈의 성공을 이어 가기 위해 마쓰다의 최신 모델을 도입한 모델이다. 이에 자극을 받은 현대자동차도 일본에서 최신 모델인 델리카 3세대 모델을 같은 해 12월에 그레이스라는 이름으로 출시하면서 경쟁 구도가 확립되었다.
먼저 봉고보다 범퍼를 강화한 뒤 로나 엔진[2] 을 장착하고 파트타임식 4WD 모델이 있었으며, 당시 판매되던 승합차들 중 유일하게 가솔린 모델이 있었다.[3] 15인승 모델로 아시아 토픽이 있었다.[4] 4X4 모델은 주로 여행을 즐기는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1987년 기아 창립 이래 최초로 이토추상사를 통해 일본에 수출됐고, 캐나다에도 마쓰다 딜러망을 통해 수출판매돼 인기를 끈 바 있다.
봉고 시절에 비해 많이 발전하긴 했지만 로나엔진이 '''고속에서 헤드가 녹아버리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고[5] , 1992년 하이베스타 때부터 VN 2700 엔진으로 바꿨음에도 베스타는 애석하게도 이 결함을 해결하지 못했는지라 베스타는 단 한번도 그레이스나 이스타나를 판매량에서 앞서지 못했다. 이는 같은 계열의 엔진이 사용된 스포티지(NB-7), 레토나에도 이어지게 된다. 결국 결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1995년부터 후속작으로 프레지오가 나오면서 내수생산 대신 수출만 하다 1997년 12월에 단종됐다.
아이러니하게도 베스타의 베이스 모델인 마쓰다 봉고는 1999년에 빅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서 지금도 절찬리에 장수만세급으로 생산 중인것도 모자라, 여기저기에 OEM으로 공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2020년 이후로는 순수한 봉고가 아닌 도요타 타운에이스의 뱃지 엔지니어링으로 변경되었다.
3. 변화
- 1986년 3월에 3중 범퍼를 달아 기존의 봉고보다 안전성을 강화시킨 베스타가 시판되었다. 초기에는 2.0리터 로나 디젤 엔진(R2)이 장착되었으며, 7월에 2.2리터 로나 엔진을 장착한 슈퍼디럭스 모델을, 12월엔 밴 모델까지 각각 출시했다. 카탈로그상엔 휠캡까지 낀 모델도 있었으나[6] 깡통휠을 많이 썼다.
- 1987년 7월부터 신형 휠캡 및 투톤 색상을 추가하고 11월에는 범퍼 및 안개등의 변경과 동시에 엠블렘이 KIA MOTORS에서 KIA 로고로 바뀌고, 알루미늄 휠 추가에 방향지시등이 호박색에서 투명색으로 바뀐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1988년형 뉴 베스타가 출시되었다. 12월엔 일본 이토추상사를 통해 대일 수출을 개시했고, 캐나다로도 수출했다.
- 1988년 12월에는 파워 스티어링이 추가된 리미티드 모델이 발매되었다.
- 1989년 7월에는 4WD 모델이 추가되었다.
- 1990년 뉴 베스타가 출시되었다. 디자인이 약간 변화되었으나 엔진은 기존 베스타와 동일하였다. 이 때부터 타우너처럼 차량 번호판을 가운데가 아닌 조수석 쪽에 달기 시작하였다. 또한 계기판에 타코미터를 옵션으로 달 수 있게 되었다. 이 때까지 속도계에 100km/h 이상 부분에는 노란색으로 표시가 되어 있었다.[7] 또한 이 해 7월에 베스타 EGI가 출시됐다. 이는 1989년 10월부터 소형 승합차에 디젤 말고도 LPG, 가솔린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 1992년 3월 30일에 앞면 경사각을 마쓰다 봉고 브로니(1세대)과 같은 36˚에서 마쓰다 봉고(3세대)와 같은 43˚로 늘려 시야확보를 한 에어로 돌핀 스타일의 1992년식이 출시된 데 이어,[8] 같은해 7월 20일 새로운 엔진이 적용된 하이 베스타가 출시되어 1993년식이 선보였다. 디자인 변화와 함께 문제가 많았던 로나 엔진에서 2.7리터 VN 퍼킨스 디젤 엔진[9] 과 JS엔진으로 바뀌면서 엔진 내구성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이 때부터 3인승 밴같은 깡통 모델이 아닌 이상 계기판에 타코미터가 기본으로 적용되으며 1000~3000rpm 부분에는 녹색으로 표시가 된다. 속도계도 이 때부터 고급 트림에 한해 180km/h까지 표시되어 있었다. 이는 봉고 J2에도 적용되지 않았던 부분이다(!).[10] 또한 스포티지 1세대에 적용되었던 오디오를 장착할 수 있었으며, 고급형에는 무려 기아 포텐샤에 적용된 스티어링 휠이 적용된 점이 특징이었다(!). 하이베스타 출시 이후에도 기존 베스타 2.2는 계속 생산되었다.
- 1993년 8월에는 대전 엑스포 공식스폰서로서 철제 캥거루 범퍼와 루프 캐리어, 원형 포그램프, 4스포크 핸들 등을 탑재한 9인승 엑스포 패키지가 출시됐다.
- 1994년 3월에 나온 94년형부터 국내 최초로 차체에 FRP 스프링을 적용시켰다. 이때부터 베스타 2.2는 수출용으로 생산됐다.
- 1995년 2월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1995년 모델이 출시되었고, 수출용 베스타 2.2는 하이 베스타 초기형과 같은 모습으로 마이너체인지했다. 반면 가격은 인상하지 않고 1994년형 모델 그대로 유지하였다. 하지만 그 해 연말부터 베스타의 후속 모델인 프레지오를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이후 생산품이나 재고품은 수출하거나 캠핑카로 제작되었다. 기본형에 스포티지와 같은 스티어링 휠로 바뀌었고, 이 F/L 모델에 한해 속도계 180km/h 표시가 전 트림에까지 적용되였다. 변속기 레버도 현재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숏타입으로 바뀌었다.
- 1997년 12월에 단종되었다. 로나 디젤 엔진의 결함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의 민원이 빗발친 것이 단종 시기를 앞당긴 원인이 되었다. 사실 이 때 기아자동차는 버틸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도 했고, 이미 동급의 후속 모델인 프레지오가 판매되고 있어서 더 이상 생산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같은 베이스로 만들어진 와이드 봉고도 후속인 봉고 프런티어의 출시로 단종되었으나, 역시나 같은 베이스의 토픽의 경우에는 15인승의 프레지오 그랜드가 출시될 때까지 2년 더 생산했다.
4. 여담
[image]
-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자동차 모델이기도 하다. 양산이 아닌 마라톤 리드카나 중계차 같은 특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1986 서울 아시안게임과 1988 서울올림픽 때 등장했다.[11]참고 1993 대전 엑스포 때 하이베스타를 6인승 오픈형 전기차로 개조했다.
- 영화 쉬리에서 북한 특수부대가 훔친 차량이 바로 하이 베스타이며, 철제 범퍼에 크롬 루프랙 등이 달려 있던, 당시에도 보기 힘든 리미티드 풀옵션 사양이다. 하지만 CTX를 탈취하고 이들이 차량을 터널 앞에 세워둔 채로 도주하고, 2열에 숨겨놓은 부비트랩이 폭발하여 차량은 완전 전소된다. 유중원 (한석규)과 이장길(송강호)이 자칫 목숨을 앗아갈 뻔하는 나름의 명장면.
- 영화 화려한 휴가에서 하이 베스타 모델이 구급차로 등장했다. 그러나 시간 배경이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때인데, 그 때는 베스타는커녕 선배인 봉고 코치도 출시되기 전이다. 1970년대 종반~80년대 초반에는 현대 HD1000 구급차 모델이 현역이었으나 거의 멸종해서 하이 베스타가 HD1000 구급차 역으로 등장했다 생각하는 게 나아 보인다.
- 1993/94 농구대잔치 당시의 연세대 농구부가 베스타 2.2를 수송용으로 쓴 바 있는데(대우 BV113도 썼다), 응답하라 1994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나온다.
- 스포티지 1세대의 플랫폼은 베스타의 4륜구동 모델인 베스타 레인보우의 것이라는 설이 있다. 1세대 스포티지의 승차감이 영 거시기함을 감안하면 가능성이 높은 수준. 그리고 그렇게 되면 이 플랫폼은 30년 이상을 우려먹는 장수만세 플랫폼이 된다. 쏘렌토 1세대 모델의 플랫폼은 스포티지 1세대의 것을 늘려서 사용했고, 모하비의 플랫폼은 쏘렌토 1세대의 것을 늘려서 사용했으며, K-151은 모하비의 플랫폼을 군용으로 개조해서 사용했기 때문이다.
- 세월이 흘러 폐차되거나 중고차업체를 거쳐 해외로 수출된 탓에 현재 남아있는 차량 대수는 불과 86대로 추정된다.
- 기아 엔터프라이즈처럼 일본으로 역수출한 차량이 존재한다. 연구용으로 가져간 차량이라고 했다.
- 1990년대 중순에 로버 KV6 엔진의 LPG 버전을 베스타 또는 프레지오 같은 상용밴에 적용하는 기획이 고려되기도 했다. 로버 그룹 관계자의 회상에 기반한 ARonline의 원문에서는 "봉고 밴"으로 언급되어 있으며, KV6 엔진이 개발되던 시기가 1990년대 중반임을 고려하면 베스타, 프레지오에 적용할 예정이었다고 추측해 볼 여지가 있다.[12]
5. 역대 슬로건
- 달리는 꿈 (1986~1987)
- 베스타는 톱스타 (1987)
- 세계인의 훼밀리카 (1987)
- 세계인의 비지니스카 (1988~1990)
- 새로운 멋, 새로운 기쁨 (1990~1991)
- AERO DOLPHIN STYLE (1992)
- 넘치는 파워, 탁월한 안전성 (1992)
- 배기량의 차이는 힘의 차이 (1994)
- 배기량의 차이가 힘의 차이 (1995)
6. 둘러보기
7. 관련 문서
[1] BEST + ACE의 합성어이다.[2] 초기형 콩코드, 록스타, 심지어 스포티지 1세대의 디젤 모델에도 달렸던 엔진이다.[3] 그 당시 잘 나가던 콩코드의 EGI 가솔린 엔진을 썼다. 99마력 직렬 4기통 2리터 SOHC 엔진이 들어간 것이다.[4] 베스타와 다른 엔진을 적용하고 프레임바디였다.[5] 로나 엔진(RF, R2 엔진) 이전에 쓰이던 S2 엔진이나 타이탄에 들어가던 XA, XB, HA 엔진, 복사, 콤비에 들어가던 ZB엔진 같은 초구형 마쓰다 디젤 엔진의 경우는 당시 마쓰다가 디젤 엔진에 대한 기술력이 거의 없다 시피하다보니 아예 영국 퍼킨스사에 용역을 줘서 개발한 엔진이라서 큰 문제는 없었으나, 로나 엔진의 경우는 공교롭게도 마쓰다가 외부 용역 없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디젤 엔진 중에서 거의 초창기에 속하던 물건이었다. 그러다 보니 이전의 마쓰다제 디젤 엔진에 비하면 말썽이 많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단, 일부 차주들에 의하면 로나 엔진은 관리만 꾸준히 잘 해준다면 아무 문제 없다고 한다.)[6] 표지 속 해당 휠은 1987년 아시아 토픽이 출시 당시에 썼다.[7] 글씨체는 한국방송공사(KBS)의 로고를 본떠서 만든 것과 거의 흡사하다.[8] 이른바 봉고 브로니 앞면을 봉고 3세대로 다듬은 것이다.[9] 보도자료에는 기아가 마쓰다와 공동 개발했다고 하였는데, 아마도 마쓰다 디젤엔진을 개량했을수도 있다.[10] 후속 봉고 프론티어에도 속도계가 160km/h까지 표시되어 있다. 프론티어 1.3톤, 1.4톤은 아예 140km/h까지 표시[11] 1회 충전으로 114km 주행, 최고속도 72km/h, 등판능력 0.21, 정지상태에서 40km/h까지 가속성능은 8초. 당시 탑재된 전동기는 직류직권전동기로 5단 수동변속기와 맞물렸다.[12] 단, 실제로 KV6 LPG 엔진이 적용한 기아 카니발의 사례가 있다. 원문에서는 "당시 한국 MPV 시장에서 잘 팔리던 봉고 밴"이라고 언급하여 베스타, 프레지오를 언급했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