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렴

 

金泰廉
생몰연대 미상
1. 개요
2. 기록
3. 왕자인가 장사꾼인가?
4. 기타


1. 개요


신라의 인물이자, 통일신라시대의 '''사기꾼'''. 경덕왕 대에 자신을 왕자로 사칭하여 일본으로 건너가 각종 물품을 갈취해 온 인물이다.

2. 기록


한국의 기록에서는 이름을 찾아볼 수 없고, 일본 측 기록 '속일본기(続日本紀)'에만 나오는 인물이다.
기록에 따르면, 752년 3월 일본 큐슈다자이후(太宰府)에 신라 사절단이 도착했는데, 규모가 역사상 유례가 없는 700명에 달하는 대규모였으며 대표는 신라의 왕자 김태렴이었다고 한다. 3개월 후 신라 사절단은 당시 일본의 수도 나라로 가서 천황을 알현했는데, 김태렴이 천황에게 코가 땅에 닿을 듯 큰 절을 하고서는 신라 국왕(시기상 경덕왕)이 전하는 말을 그대로 올린다고 말했다.

"일본의 천황에게 삼가 아룁니다. 신라국은 예로부터 대대로 일본을 받들어 왔습니다. 이번에 제가(경덕왕) 몸소 가서 조공하고 인사를 드리려고 하였으나, 생각해 보니 하루라도 국왕이 없으면 국정이 해이해지고 문란해질까 염려되어, 저를 대신하여 왕자 한아찬 태렴을 우두머리로 하여 370여명을 거느리고 가서 입조(入朝)하게 하고 겸하여 여러 가지 특산물을 바치고 삼가 아뢰게 합니다."

7세기 신라삼국통일 당시 일본백제와 한 편이었고, 백강 전투에서 나당연합군에 깨진 뒤론 본국에 짱박혀 있었지만, 그 와중에도 신라와는 밀당 외교를 하며 약간 불편한 관계를 지속해오고 있었는데, 734년의 왕성국 사건[1]을 기준으로 양측의 갈등이 표면화된 상태였다. 이후 신라가 보낸 사신은 수도 나라까지 들어가지도 못하고 다자이후에서 되돌려졌으며 742년에는 일본 측에서 신라에 사신을 보냈지만 입국조차 불허된 상태였다. 그런 와중에 신라 측에서 먼저 왕자를 보낸데다 스스로 고개를 숙여 대놓고 조공을 하겠다고 하니 일본 측에서는 대환영할만한 일이었다.
그렇게 일본 조정에 입조한 김태렴은 코켄 덴노당나라 황제와 동급처럼 떠받들면서 아부했고, 이에 기분이 좋아진 천황은 3일 후 조당(朝堂)에서 큰 잔치를 베풀어 주었다. 그리고 김태렴을 만난 다음날인 6월 15일부터 7월 8일까지 김태렴이 가져온 물건들을 구입하기를 원하는 5위 관등 이상 귀족들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물건의 품목, 수량, 가격 등을 기록하여 문서로 제출하게 했는데 이 문서가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다.[2] 또 김태렴은 스스로 일본의 신하를 자처했기 때문에, 그의 일행이 일본에 머무는 동안의 비용은 그들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일본 정부에서 짊어졌다.(...)
이 외에도 김태렴은 6월 22일 도다이지(東大寺)를 방문해 예불을 올리는 등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다,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 하에 가져간 물건들을 다 팔아치우고, 7월 24일 귀국했다. 고켄 덴노는 김태렴에게 사신을 보내 명주와 베, 술과 안주를 보내주었다.

3. 왕자인가 장사꾼인가?


김태렴은 자신이 신라의 왕자이자 외교사절이라고 말했지만 기록만 봐도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다. 우선 그는 왕이 직접 서명한 정식 외교문서를 가져오지 않고 단지 말로만 천황을 칭송했는데, 이에 코켄 덴노도 마지막 만찬에서 당부를 하였다.

오늘 이후로 신라 국왕이 직접 일본 조정을 방문하도록 하라. 그것이 여의치 않으면 사람을 보내어 반드시 외교문서를 가지고 오도록 하라.

그러나 세월이 흘러도 신라 왕에게서 사절단은 오지 않았고 조급해진 천황은 이듬해인 753년 2월 신라에 사절을 파견했다. 아무래도 확인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삼국사기에는 이렇게 전하고 있다.

(753년 8월에) 일본국 사신이 왔는데 오만무례하므로 왕이 만나주지 않았다.

당연하게도 경덕왕은 일본 사신을 거들떠보지조차 않았다. 고작 반 년 전의 김태렴의 태도가 신라 조정의 입장과 같았다면 경덕왕이 저렇게 반응했을 리가 없었을 것이기에 일본 조정은 폭발했고, 이후 실현되진 않았지만 신라 침공 계획을 구상하기도 한다.
사실 김태렴이 신라의 왕자라고 볼 수 없는 결정적인 이유는 752년 당시 경덕왕에겐 '''왕자가 없었다'''. 그냥 왕자에 대한 기록이 없는 걸 넘어서, 삼국유사를 보면 만월부인과 표훈대덕 이야기 등 왕자를 얻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하고 758년에야 겨우 훗날 혜공왕이 되는 왕자 김건운을 얻게 되었다는 기록까지 있다. 차라리 왕자에 대한 기록이 아예 없으면 '왕자가 있었을 수도 있는데 기록이 부실하다'는 핑계라도 댈 수 있는데 경덕왕은 '왕자가 없었다'는 기록까지 있으므로 빼박인 것. 그러니 752~753년 당시에 경덕왕에게 아들이 있었을 리가 없다.
또 당시 경덕왕의 나이는 752년 기준 아무리 많이 잡아봤자 30대 초반이었다. 왜냐하면 경덕왕의 어머니는 소덕왕후 김씨인데 그녀가 성덕왕에게 시집을 온 때는 720년이었다. 그러므로 효성왕경덕왕은 모두 720년 이후에 태어났다고 봐야 한다. 소덕왕후는 724년에 사망했으므로 김태렴이 일본을 방문했던 752년에는 경덕왕의 나이는 29~32세였다. 겨우 30대 초반에 불과했던 경덕왕에게 외국에 입조시킬 만큼 장성한 나이의 아들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로 볼 때 김태렴이란 인물은 신라 왕자사칭장사꾼이었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또 이렇게 본다면 그가 천황 앞에서 주저리주저리 떠들었던 아부들 역시 대부분은 자신이 가져온 물자들을 팔아먹기 위한 립서비스에 불과했을테고, 일본 조정은 거기에 홀라당 놀아난 꼴이 된다.
그런데 당시 코켄 텐노라는 인물도 상당히 골때리는 사람이다.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여천황인 코켄은 유게 도쿄 라는 승려에게 놀아나서 여러 가지 막장 행동을 일삼았고 결국 텐무 왕조가 끝나게 만든 군주이다. 김태렴이 사기꾼이든 상관없이 어쨌든 신라 왕자라는 자가 여천황을 공경하는 모습을 보이면 자기에게 이롭고 권위가 올라가므로 사기행각을 방조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김태렴의 존재를 신라에서는 망할 때까지 몰랐고 이후에도 속일본기가 한국에 소개되기까지 천여년 이상 지나는 동안에도 몰랐으므로, 성공한 사기라 하겠다.

4. 기타


  • 일본 다자이후시규슈국립박물관에서 2015년 김태렴의 비즈니스 외교를 주제로 삼은 기획전시가 열렸다. 김태렴과 사절단 사람들이 처음 머물렀던 것으로 추정되는 하카타항과 다자이후의 영빈관 공간에서 그들이 무엇을 보고 먹으며, 어떻게 생활했을까에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 관련 링크
  • 관련 링크 2
[1] 성덕왕 시기인 731년 일본은 배 300척을 보내 신라를 침공했으나 되레 격파당한다. 그리고 3년 후 성덕왕은 일본에 사신을 보내는데, 사신이 가져온 국서에는 그동안 써오던 '신라'라는 나라 이름 대신 왕성국(王城國)이라는 이름이 쓰여 있었다. 이게 왜 문제가 되냐하면, 서경, 주례 등 옛 유교 경전에서 말한 세계관에서는 왕성(수도 궁성) - 왕기(수도 근처) - 6복(지방 = 9주 5소경) - 번국(외부 이민족 제후국)의 순서로 주종관계의 체계가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서 신라가 왕성국이라면 일본은 번국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컸다. 즉, 신라가 일본보다 지위가 높음을 뜻하니 천황 중심 세계관에 따라 오히려 신라를 한 수 아래로 여기던 일본은 '왕성국'이라는 호칭을 불쾌하게 여길 수 밖에 없었고 사신을 문전박대했다.[2] 도다이지 정창원에서 이면지로 쓰이고 있던 것을 19세기에 우연히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