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지

 

1. 乃至
2. 内地(ないち)
3. 內旨
4. 內地(neidi)


1. 乃至


'~이거나' 할때 쓰는 단어. or와도 같은 의미이다. 보통은 범위를 표시할 때 쓰는 말이다.
흔히 물결표 처리하는 수치적 구간 개념도 내지로 표현한다. 가령 1~3은 흔히 '일에서 삼'이라고 말하지만 문어적으로는 '일 내지 삼'이라고도 할 수 있고, 이때 두 표현의 뜻은 동일하다. 원고지 쓰는 법 등을 설명한 책에서는 '에서'보다 '내지' 쪽을 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법조문에서 사용하는 내지의 뜻은 무조건 후자의 수치적 구간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21조 내지 24조라면 21조부터 24조까지, 즉 21조, 22조, 23조, 24조를 뜻한다.

2. 内地(ないち)


'''내지'''(内地, ないち, 영어: Metropole, Homeland)는 일본 제국이 스스로의 식민지를 제외한 본토를 지칭하던 단어다. 일본 열도 본토에 해당하는 혼슈, 시코쿠, 큐슈, 홋카이도 등이 내지에 해당되며,[1] 일본이 소유하고 있던 조선, 대만, 기타 식민지들은 내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내선일체의 내(內) 자가 내지를 뜻하는 글자다. 이와 같은 식민제국의 본토(종주국)를 영어로는 Metropole이라 한다. 본래 가톨릭 교구의 주교좌가 있던 도시를 일컫는 말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해외속령을 제외한 프랑스의 본토를 일컫는 Metropolitan France라는 용어도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나 일제 당시의 규정과 달리, 홋카이도오키나와는 일단 공식적으로는 내지의 일부지만 실제로는 외지에 가까운 취급을 받았다. 물자의 징발, 인력의 징용 및 징병 면에서 조선보다는 낫고 혼슈 등 본토보다는 못한 대접이었다. 그래서 두 섬의 고령자들은 지금도 일제 시대 당시의 피해자적 입장을 기억하고 있고,[2] 만주 등으로 징병당했던 고령자 중에는 한국인에 대해 '같은 피해자'라는 동질감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를 반증하는 것이 '내지'라는 표현. 홋카이도의 사람들은 지금도 혼슈+규슈+시코쿠(주로 혼슈 한정)를 관습적으로 내지라 부른다. 가령 도쿄에 여행 갔을 때 '내지 왔다!'라고 SNS에 올리거나 하는 식이다.[3] 이는 자신들이 살고 있는 홋카이도는 내지 개념에 속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한데, 위 용례에서 보다시피 제국주의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의미는 희석되었고, 마치 제주도 사람들이 한반도에 갔을 때 '육지 나왔다!' 하는 정도의 어감일 뿐이다.
오키나와의 경우 비슷한 맥락에서 '내지'와 함께 '야마토', '본토'라는 표현이 자주 쓰인다. 이쪽은 아직도 내지에 대한 앙금이 많이 남아있다. 당연한 게 홋카이도 주민들은 19세기 말~20세기에 일본 본토에서 건너온 이들이 다수인지라 일본에 대한 귀속감에 민족적인 걸림돌이 될 만한 부분이 없는 반면, 오키나와는 본토의 야마토 민족과 민족 정체성부터 다른 별개의 민족이고 19세기까지 괴뢰국 수준이기는 했을지언정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던 다른 나라였다. 그리고 오키나와의 경우 2차 대전 때 내지인들을 위해, 심지어는 내지인들에 의해 막대한 인적 물적 희생을 치른 반면 홋카이도는 2차대전 때 주 전장이 아니어서 일본 다른 지역보다 무난하게 넘어간 편이다.

3. 內旨


조선시대에서는 승정원이나 다른 국가에서는 비서관 같은 곳에서 거치지 않은 국왕 또는 황제 명령이나, 국왕 또는 황제이나 왕세자 또는 황태자가 궁궐 안에 부재할 때 왕비 또는 황비가 내리던 명령.
국왕 또는 황제이나 왕세자 또는 황태자가 궁궐에 부재하거나 보고를 올릴 수 없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왕비가 권력을 대행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며, 왕비 또는 황비가 단순히 상징적인 존재가 아니라 국가 권력의 중요한 담당자였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한번 내지가 떨어지면 먼거리에 있는 자이라도 내지에 적혀진 내용을 거부하기란 힘들다.

4. 內地(neidi)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자신들의 영토에서 정치체제가 다른 홍콩, 마카오(+ 자기네 영토라 주장하는 대만)를 제외하고 중국 공산당 일당제가 적용되는 영역을 말한다. 동의어로는 중국 대륙, 본토 등이 있다. 홍콩이나 마카오에서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1] 그러나 가라후토(사할린)는 내지에 포함되었다. 사실 아이누 등 원주민보다 일본인의 인구비중이 훨씬 많았으며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사할린 섬 자체가 일본 열도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따지고 보면 여기나 홋카이도나 제반환경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혈통과 출신지, 정통성 등 연고를 중요시하던 당대 일본에서는 혼슈, 시코쿠, 규슈 이외의 홋카이도, 오키나와 출신 등은 내지인임에도 은근히 차별받았다.[2] 특히 개척농민이 많았던 홋카이도의 경우 농사에 쓸 말을 몽땅 군마로 징발당했던 것이 생존문제로 직결되었다. 오키나와의 경우 오키나와 전투로 인구의 1/3이 목숨을 잃었다.[3] 이는 타카하시 신의 만화 좋은 사람에서도 묘사된다. 삿포로에 사는 주인공 여자친구의 대사를 유심히 읽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