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익찬회
[clearfix]
1. 개요
고노에 후미마로가 1940년 신체제운동 이후 창당한 허울뿐인 일본 제국의 극우 파시즘 정당.[2]
2. 상세
총리 취임 전까지만 해도 열정적으로 개혁을 외치던 고노에 후미마로는 1937년 총리 취임 후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1939년 돌연 내각총사퇴를 선언했고, 뒤이은 히라누마 기이치로는 대외 정책의 실패로 사임했다. 뒤이은 아베 내각과 요나이 내각은 고노에를 어떻게든 다시 앉히고자 했던 군부 특히 육군의 농간으로 연이어 무너졌다.
특히 인기가 많은 고노에가 혁신세력을 모아 기성 정당들을 선거에서 찍어누를 대안 정당을 만들 것이란 소문이 파다하게 퍼지면서 창당도 안되었는데도 벌써부터 '고노에 신당'이라는 이름까지 붙고야 마는 등 이미 고노에의 총리 복귀가 기정사실화되었으니, 결국 1940년 7월 군부의 의도대로 고노에는 총리에 재취임하기에 이르른다.
그런데 본디 군부의 시나리오는 고노에의 이름을 팔아서 정국을 통제하고 전체주의 고도국방국가이라는 일본군 육군 통제파의 꿈(?)을 이룩하는 것이었으나, 고노에는 이번만큼은 군부의 괴뢰는 안하겠다는 다짐을 단단히 먹은 상태였고, 이 고노에 신당을 크게 확대시켜서 모든 권력을 철저하게 총리, 즉 자신에게 몰아주게 한다는 이른바 '신체제운동'을 발족시키게 된다.
고노에의 신체제운동은 권력이 골고루 분산되다 못해 산만할 지경이었던 메이지 유신 체제의 대안으로서 사회 각계 각층을 총망라하는 강력한 대중조직의 건설을 제시했다. 고노에의 신체제에서 외면당할까 두려웠던 기성정당들(입헌정우회, 입헌민정당)은 고노에 본인이 시키지도 않았건만 제 스스로 당을 해산하고 신체제운동 합류를 선언하기 시작했고, 1940년 10월 대정익찬회라는 이름으로 결실이 맺어졌다. 이 거대한 정치조직은 마치 공산당처럼 지방 말단 촌락에서부터 세포조직을 건설하여 그 위로 쌓아올리는 일종의 피라미드식 조직으로 건설되어, 그 최상부에는 총리를 앉히고 사회 전체에 뻗어나간 조직력을 통해서 강력한 정책추진력을 쥐어줄 예정이었는데 결국 몽상으로 끝나고야 말았으니, 가장 큰 원인은 당장 그 누구도 총리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걸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당장 사실상 고노에에게 정권을 떠넘겨준 군부는 정국의 주도권을 고노에에게 넘길 요량이 전혀 없었고, 전직 총리 히라누마 기이치로를 위시로 하는 관념우파는 파시즘도 서구사상이므로 배격하자던 양반들로 가히 청학동 동자 수준의 사고방식을 가진 작자들이었으므로 천황 뺨치는 권력이 총리에게 집중되는 꼴을 보고 막부의 재판이라며 손가락질을 해댔으며, 기성 정치인들은 이런 초헌법적 기관이 생기면 메이지 헌법은 무어가 되느냐며 야단을 쳤다.
이렇게 반발이 거세지자 결국 내각에서 대정익찬회는 정치결사가 아니라 공공결사라는 해석을 내놓으면서 대정익찬회는 공식적으로 정당도 아니게 되었고 일종의 국민운동본부로 변질되고 일본 파시즘은 실질적으로 끝이 나고 말았다. 정치운동으로 기획되었지만 정당이 되질 못했고, 권력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그 어떤 권력도 창출할 수 없었으며, 전체주의를 표방했지만 대중조직은 될 수 없었던, 그야말로 되다만 파시즘, 미완의 파시즘을 상징하는 기구라고 할 수 있겠다.[3]
3. 역대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
당시 중의원 정원이 466명으로, 대정익찬회 추천 의원(익찬정치체제협의회)이 원내 의석의 '''81.8%'''를 차지했다. 나머지 85석은 비추천 의원들로, 그 중 다수가 우익정당 동방회(東方会) 계열이었다.[4] 이는 태평양 전쟁 중 천황제 파시즘이 만연할 때 동방회와 입헌양정회를 제외한 모든 합법정당이 대정익찬회로 흡수된 특수한 정치적 상황과 더불어, 비밀투표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4. 역대 총재
[1] 본토결전에 대비한 향토방위대로, 공습 방어와 피해복구에 전 국민을 동원하기 위해 대정익찬회, 대일본익찬청년단, 대일본부인회를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일본이 항복문서에 서명한 1945년 9월 2일에 해산되었다.[2] 다만, 파시즘 여부에 논란이 있다.[3] 구 일본제국과 천황제를 파시즘으로 볼 수 있냐는 문제는 지금도 학계의 논쟁거리이다. 천황제 파시즘 항목 참조. 일본사에서 파시즘이라고 하면 대정익찬회가 아닌 일본군을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다.[4] 마찬가지로 우익정당인 입헌양정회(立憲養正會)도 후보를 내기는 했지만 전부 낙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