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돈파치 최대왕생
[image]
'''도돈파치 사이다이오죠''' (怒首領蜂最大往生, どどんぱちさいだいおうじょう, 노수령봉 최대왕생)
공식 사이트
Xbox 360판 사이트
1. 개요
CAVE의 탄막 슈팅 게임인 돈파치 시리즈의 최신 아케이드 슈팅 게임이며 2012년 4월 20일부터 가동 개시.
영문판 제목은 '''DoDonPachi True Death'''
기판은 CV1000(케이브 3세대)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약 가격은 198000엔이다. 세금 포함시 207900엔(예약금 5만엔). 2012년 3월 9일까지 예약을 받았다. 2012년 2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일본 아키하바라에 있는 Hey 오락실에서 로케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동년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일본 도쿄도, 사이타마, 교토부, 후쿠오카에서 2차 로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2012 AOU에도 출전. 그리고 4월 20일부로 가동 개시하였다.
도돈파치 대왕생과 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이 적당히 섞여있다는 것이 세간의 평. 게임의 기본 구성은 대왕생을 따라가되 오토봄 ON/OFF, 충전 즉시 발동 가능한 하이퍼, 콤보가 끊겨도 초기화되지 않는 히트 수 등 게임 내 편의성 등에서 흑부활의 요소가 들어가 있다.
여담이지만 개발 블로그에서는 이번 작품은 「케이브의 '''인류에게 보내는 도전장'''」이란다. '''대왕생의 히바치를 압도하는 인바치의 강력함을 보면 사실이란 걸 알 수 있다.'''
인바치 뿐만 아니라, 모든 스테이지가 케이브의 다른 게임들에 비해 굉장히 난이도가 높다. 난이도가 가장 낮은 샷 타입으로 해도 높은 난이도 때문에 대왕생에서 산전수전 다 겪은 플레이어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
케이브가 이 게임의 모바일 버전인 도돈파치 일면번장을, 2017년 1월에 모비릭스에서 이를 기반으로 발전시킨 도돈파치 Unlimited를 퍼블리싱했지만, 2018년에 와선 이 게임들은 전부 서비스를 중지했다. 안습.
그러던 2020년 3월 19일, 케이브에서 AKA to BLUE의 아케이드판 Type R이 나온 기판 exA-Arcadia에 이 게임을 '''도돈파치 최대왕생 EXA 레이블'''이라는 이름으로 아케이드로 역이식한다고 발표했다. 출시일은 2020년 상반기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출시가 연기되었으며, 2020년 9월 16일에 로케이션 테스트가 진행된다. #
2. Xbox 360 이식판
2013년 5월 30일, Xbox 360으로 이식되었다. 아케이드 HD 모드, 노비스 모드, Xbox 360판 모드, Ver.1.5 탑재, 그리고 신 캐릭터 ELEMENT DOLL EXTRA Z-002 '사야(성우:히라노 아야)' 추가.[1] #, # 참고로 기존에 발표된 것과는 다르게 최대왕생 이식판은 한정판이 2종류로 나누어져 있다고 한다.
이하는 각각의 한정판에 들어가는 내용물들.
- 한정판 : 게임소프트, 어레인지 사운드트랙, A5 설정자료집
- 초한정판 : 게임소프트, 어레인지 사운드트랙, 아케이드판 사운드트랙, A4 프리미엄 설정자료집, 주제가 "별가루 가란도" CD, A4 특제 스티커, 도돈파치 최대왕생 트레세츠 부속
- 표지정보
- 점포별 특전정보
2.1. 모드 설명
- Xbox 360 모드: 신 캐릭터 ELEMENT DOLL EXTRA Z-002 '사야'로 진행한다. 잔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에네르기 10000을 가지고 시작한다. 메뉴얼 봄 발동시 에네르기 1500, 오토봄 발동시 에네르기 2000을 소모하며 2000이 안 될 때 피탄당하면 게임 오버. 또 오토샷, 샷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에네르기가 감소하면서 샷과 레이저가 동시에 나가며 하이퍼게이지 회복속도가 빨라진다. 에네르기는 하이퍼 발동 도중 아이템을 획득하는 것으로 회복되며 게임오버시 컨티뉴하면 다시 10000으로 리셋된다. 컨티뉴 여부에 관계없이 코류 격파 후 히바치가 등장하게 되며 히바치 발악 모드 돌입하기 직전 플레이어 기체가 강화되며 봄 사용시 에네르기 감소량도 1000/1500(메뉴얼봄/오토봄)으로 감소한다. 히바치 격파 후 인바치와 싸우게 된다. 잔기도 없고 히바치, 인바치를 전부 상대해야돼서 그런지 히바치와 인바치의 난이도는 아케이드 모드보다 훨씬 낮다. 샷 강화는 노비스 모드의 난이도이며 레이저 강화는 일반적인 난이도, 익스퍼트 강화는 다른 모드의 익스퍼트 강화시 난이도다. 참고로 게임 시작부터 마지막 인바치까지 사야와 오퍼레이터가 쉴새없이 떠드는 통에 물건너에서 이 모드의 별명은 "플레이어블 드라마 CD", "실황 떠벌이 도돈파치"(...)등으로 다양하다.[2] 특히 절정에 치닫는 때는 3면.
- Ver.1.5: 아케이드 HD판에서의 변경점이 탑재된 모드. 일부 시스템이 변경되었다.
- 노비스 모드: 탄의 밀도를 감소시킨 초심자용 모드.
- 아케이드 HD 모드: 아케이드판의 그래픽을 고화질화한 모드.
2.2. 주제가
- 오프닝 : "별가루 가란도"(부른 사람 : 히라노 아야)
- 엔딩 : "Heading For Tomorrow"(부른 사람 : Zwei)
2.3. 기타
게임을 할 때마다 돈이 모이며 이 돈으로 샵에서 월페이퍼나 각종 옵션들을 구입할 수 있다. 돈은 게임 오버시나 클리어시 클리어한 스테이지 수×20만큼 받게 되며[3] 스코어어택(팀)을 할 경우 받는 돈의 양이 2배가 된다. 또 챌린지 모드를 깰 때마다 해당 챌린지에 쓰여진 금액만큼을 받게 된다. 한 가지 덧붙여서 돈 노가다시 챌린지 48이 난이도에 비해 가장 효율이 좋다.
3. 스토리
3.1. 아케이드판
이때까지 돈파치 시리즈의 배경 스토리가 3인칭에서 서술되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엘리먼트 돌의 입장에서 서술되고 있다는 것도 특이점. 다만 A타입 엔딩에서 슈리가 자신과 함께한 파일럿에게 반말을 하는 것을 미루어 보면 서술자는 히카리나 마리아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앨범 커버에도 마리아가 뜨고 마리아가 주인공과 같이 있는 일러도 있는 것으로 보아서 아마 서술자는 마리아인 것으로 추정.
3.2. Xbox 360판
4. 시스템
4.1. 조작
8방향 레버와 3개의 버튼을 사용한다.
A : 샷 / 레이저(샷은 반자동으로 나간다.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레이저가 나간다)
B : 봄 / 하이퍼(하이퍼 발동 가능시엔 봄 대신 하이퍼가 발동)
C : 풀 오토(샷 자동연사, 끊어 쏘기 가능)
4.2. GP(Get Point) 시스템
적을 파괴하던지 레이저를 맞추면 GP 게이지가 상승. GP 게이지가 다 사라지기 전에 다른 적을 파괴하던지 레이저 공격을 계속 맞추고 있으면 HIT 수가 오르며 GP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적을 파괴하여 GP 게이지가 최대치가 되면 스코어 아이템이 출현한다. GP 게이지가 다 사라지면 GP 보너스와 히트수가 30% 깎인다. 각 스테이지의 보스전에서는 GP 보너스를 얻을 수 없다. 오직 히트수 상승만 가능하다.
고의로 봄을 써도 콤보 히트수가 끊어지지 않는다. 콤보가 끊기는 경우는 하이퍼 사용시 GP 게이지가 0이 되거나 하이퍼 사용 중 미스 혹은 오토봄 발동시에 나머지는 콤보 히트수가 매우 적어서 더이상 감소할 히트수나 GP 점수가 없을 경우에 끊어지게 되어있다.
4.3. 하이퍼 시스템
하이퍼는 '''10레벨'''까지 모을 수 있다. 하이퍼 시스템 발동시에 화면 가운데의 적탄들이 스코어 아이템으로 변하는 효과가 있으며 레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이퍼 레벨과 하이퍼 게이지의 양은 화면 좌상단에 위치해 있다.
- 공격력 상승(하이퍼 레벨이 높을수록 레이저가 넓어진다.)
- GP 게이지 최대치 달성시 출현하는 아이템 수 증가
- 적을 파괴하거나 적에게 레이저를 맞출 시, 아이템 취득시 히트 부스트(히트수 상승폭의 상승)가 발생한다
- 취득하는 GP 보너스에 배율이 발생한다(화면 좌상단에 표시. 하이퍼 레벨이 높을수록 높은 배율 발생)
- GP 게이지의 최대 지속시간이 2배가 된다
- 랭크가 상승하며(화면 상단에 표시) 게임의 난이도가 어려워진다. 높은 레벨의 하이퍼를 발동할수록 상승하는 랭크의 폭도 커진다.
- 스코어(별) 아이템을 취득한다(하이퍼 시스템이 발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만)[4] .
- 적에게 레이저를 계속 맞추어 히트수를 상승시킨다(히트수에 따라 하이퍼 게이지가 상승)
- 벌 아이템을 취득한다(히트수에 따라 하이퍼 게이지가 상승)
- 레이저 공격시 발생하는 오라를 적에게 맞춘다.
하이퍼 상태에서 큰 별 아이템을 잔뜩 출현시키고 하이퍼가 끝남과 동시에 이 큰 별 아이템을 회수하는 테크닉을 이용해 하이퍼를 재충전할 수 있다. 영상을 보면 작게는 1하이퍼에서 많게는 6하이퍼까지 충전이 가능. 데스 스마일즈의 파워업 종료 후 아이템 회수하는 속칭 '리차지' 테크닉과 비슷한 느낌.
4.4. 기체 특징 및 강화 체계(엘리먼트 돌)
도돈파치 대부활에 가장 근접하다고 볼 수 있는 기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의 생김새 또한 대부활의 기체들과 거의 같다.
TYPE-A는 전방집중, B는 이동방향으로 옵션의 샷 방향이 휘는 속칭 와인더, C는 확산형 샷을 가진다. 단, C의 경우에는 대부활만큼 넓은 범위를 커버하지는 않는다.
봄 이펙트는 A타입은 구형의 불덩어리, B타입은 화면 전체에 융단 폭격을 날린다. 그리고 C타입은 대부활의 봄과 비슷한 푸른 회오리 형상의 이펙트.
[image]
대왕생의 엘리먼트 돌이 돌아왔다. 전작과의 차이점이라면 한 기체당 한 엘리먼트 돌이 맡고 있다는 것이 특징. 공식 명칭은 ELEMENT DOLL EXTRA A, B, C이다.
각 기체를 맡고 있는 엘리먼트 돌의 명칭과 성우는 아래와 같다.
- TYPE-A 朱理(슈리 CV.유카나) - 붉은 옷의 금발 캐릭터
- TYPE-B 光(히카리 CV.키타무라 에리) - 녹색 옷의 청발 캐릭터
- TYPE-C 真璃亜(마리아 CV.노토 마미코) - 메이드복을 연상시키는 청색 옷의 은발 캐릭터
도돈파치와 대왕생에서 진일보하여 3개의 기체와 3개의 강화로 총 9가지 종류의 기체를 고를 수 있다. 강화 체계는 대왕생 때와 마찬가지로 샷/레이저/익스퍼트(샷과 레이저 모두 강화)이며 엑스퍼트 강화를 고르면 흡사 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의 스트롱 스타일처럼 시작부터 상당히 강화된 난이도로 시작된다. 거기에 더해 '''드레스 시스템'''이라 해서 강화의 종류에 따라 기체에 대응되는 엘리먼트 돌의 복장이 달라진다.
- 전투복 - 옵션 4연장(통상의 샷 강화형)
- 사복 - 옵션 3연장, 레이저 강화(통상의 레이저 강화형)
- 수영복(…) - 옵션 4연장, 레이저 강화(통상의 엑스퍼트 형)
기체 선택 후 드레스 선택시 오토봄의 ON/OFF가 가능하다. 봄은 기본적으로 샷강화는 3, 레이저 강화는 2, 엑스퍼트 강화는 1개의 최대 봄스톡과 봄을 소지하고 시작하며 오토봄 OFF의 경우에는 미스시 최대 봄 스톡이 1씩 늘어나며 부활시 최대 봄 스톡만큼 봄을 들고 나온다. 샷 강화는 6까지, 레이저 강화는 4까지, 엑스퍼트 강화는 2까지 올라간다.
오토봄 ON의 경우에는 피탄시 오토봄이 발동되며 남은 봄 개수에 상관없이 모든 봄을 소비한다. 또한 미스가 나도 최대 봄 스톡이 늘어나지 않는다. 엑스퍼트 강화의 경우에는 위기회피를 위한 봄이라면 어차피 봄 스톡이 1 고정이므로 고의적으로 봄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오토봄 발동시에는 봄 지속시간도 짧고 화면에 보여지는 효과도 다르며 콤보도 끊긴다. 대부활과 비슷하게 플레이어 기체 주변에서 터지는 연출.
전작인 대부활과 대왕생에 비해서 엘리먼트 돌의 설정이 매우 부실하다. '''정확히는 설정은 있는데 그게 게임내에서 보여지는 면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전작의 도터들이나 돌들도 설정이 매우 부실하긴 했지만, 엔딩에서 매우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개성을 확립하였으나 이쪽은 그게 아니므로 매우 아쉬운 부분. 가장 중요한 존재의의는 '엘리먼트 돌 = 엘리먼트 도터'라는 공식이 정립되었다는 것뿐이다.
4.5. 벌 아이템
시리즈 전통의 벌 아이템도 여전히 존재하며 습득시 벌 점수 아래에 하이퍼 게이지 증가량이 표시된다. 벌 점수는 첫 벌 점수에 2배씩 증가하며 벌 퍼펙트(스테이지에 존재하는 벌 아이템을 노 미스로 전부 취득)시 2배율 추가. 다음 스테이지 점수 수치는 도돈파치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처음 취득하는 벌의 아이템의 점수가 2배로 시작). 기존작과 비슷하게 벌의 위치는 Y축 상으로 겹치면 보이는 형태지만 벌 아이템이 커졌고 아이템의 위치가 흰색 점이 원형으로 모이는 표시까지 나기 때문에 위치를 비교적 더 쉽게 찾아낼 수 있다.
5. 보스
보스들의 명칭부터 도돈파치 대왕생에 등장한 보스들의 명칭을 뒤튼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이번 작품의 보스들은 도돈파치 대왕생의 보스들을 어레인지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스자쿠의 경우에는 본체의 색이 붉은색으로 바뀌고 양쪽의 프로펠러 파츠가 업그레이드되었다. 또한 5스테이지 보스의 경우 1형태에서는 코류의 어레인지 곡을 사용하고 2형태에서는 비행하면서 일반 보스곡을 사용하는데 이 구성이 코류-제트 코류로 이어지는 대왕생 최종보스전의 느낌이 강하다.
1주 클리어 영상을 보면 주인공 돌들과는 다른 정체불명의 돌이 하나 나오는데 아마도 이번 작의 최종보스가 아닐까 추측 중이었는데….
히바치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모습은 그 정체불명의 돌이다.[8] 보러가기. 이번에는 한자 표기가 陽蜂. 성우는 유우키 아오이.
단, 이 히바치의 대사가 엄청나게 깨기에 국내나 일본은 물론 서양에서도 귀엽기는커녕 포스가 없어졌다고 꽤 실망하는 반응이 대세. 이를 비꼬아 일본에서는 '웨히히바치(ウェヒヒ蜂)',[9] 서양에서는 '로리바치(lolibachi)'라 부르는 듯하다. 영상에서는 B타입 레이저 강화 기체를 사용했으며 제트-코류 격파까지 노미스.
이번 히바치는 돈파치, 도돈파치, 도돈파치 대왕생, 도돈파치 대부활의 패턴 중 일부를 보여준다. 또한 1형태 격파 후 발광에 돌입하기 직전에 "변☆신!" 이라는 대사와 동시에 정말로 '''벌로 변신한다.''' 전작인 대부활과는 순서가 반대.[10]
발광 패턴은 역대 히바치 중 최강이었던 대왕생 히바치의 발광과 나름 피할 만 했던 도돈파치 히바치의 발광 패턴을 번갈아가면서 쓴다. 링크가 걸린 영상에서 히바치 진입시 랭크는 27. 이후 랭크를 계속 떨어뜨렸고 발광 전에 컨티뉴 한 번으로 랭크가 0으로 줄어들었다. 컨티뉴 이전의 3, 4 패턴과 이후의 3, 4 패턴은 눈에 띌 정도로 탄속에 차이가 나는 걸 고려하면 노미스나 노봄으로 발광까지 오는 경우엔 탄속이 영상보다 훨씬 빠를 것이라는 추측도 부정할 수 없다.
그리고 8월 31일 케이브 공식 개발 블로그에 드디어 음봉/인바치의 전체 공개. 인바치의 대면 조건은 노미스 노봄(오토봄 발동도 봄 사용으로 간주한다) 모든 스테이지 벌 퍼펙트,[11] 그 외 숨겨진 두 개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 숨겨진 두 개의 조건은 샷·레이저 강화, EX 강화 두 종류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대 히트수와 랭크가 나머지 두 조건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인바치는 진 최종보스인 만큼 오리지널 패턴이 많고 최종보스로서의 위엄도 되찾았다. 또 발광 패턴으로 돌입할 때 시누가요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격파할 때 마지막으로 남긴 말에서 다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중. 일단은 음봉은 인류의 다음을 위해 몸이 필요없다는 게 판단이었고 엑박판 소개가 그 양봉과 음봉에 대한 배경 스토리 아니냐는 말. 그리고 전작에서 수령 옆에 돌이 두 마리였다는 것이 이걸로 떡밥 풀린 거 아니냐는 말도 있다.
그리고 언제 나오는 진 몰라도 마지막 스테이지에 1탄, 2탄에 중간보스로 나온 놈이 재탕(…)된다. 심지어 2탄 중간보스는 '''두 번''' 나온다! 체력바 있는 보스가 몇 대 나오는지 보자.
6. 기타
이 게임의 개발용 기판이 실수로 유출되어 화제가 되었다. 히트박스 경계 표시, 레벨 스킵, 오토플레이 등 치트 메뉴가 몇개 포함되어 있다.
돈파치 시리즈 최초로 '''2주가 없다.''' 대신 돌의 의상에 따라서 난이도를 고를수 있다. 그리고 기본 난이도가 전작보다 매우 높아졌다. 특히 기체마다 피탄판정이 달라서, 가장 난이도가 낮은 샷 타입으로 진행시에도 많은 연습을 요구한다.
강화형에 따라 피탄판정이 다른데, 샷이나 레이저의 경우 EX에 비해 체감상으로도 훨씬 크고 분명 피했는데 피한 탄이 뒤쪽으로 가면서 이동한 기체에 닿지 않았는데 맞아버리는 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EX는 가장 피탄판정이 작으나 난이도가 대왕생 2주차를 가볍게 씹는 난이도라서 어차피 그게 그거다.
올 클리어 보너스는 잔기 1개당 10억, 폭탄 1개당 2억점이다.
음악은 케이브 팬이라면 익숙한 베이시스케이프의 나미키 마나부가 담당하였으며 게임 내 오퍼레이터는 성우 시모다 아사미가 담당했다. 또한 일러스트 담당이 알 토네리코 시리즈의 나기 료라서 알 토네리코 4라는 농담도 돈다.
그 외에 3스테이지에서 중간보스가 선박계의 적이라는 점에서 케츠이의 비노그라도프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은데 이름이 '''IGS-채음(사이온)-'''이다. 설정상 여기에서의 IGS는 '임페리얼 가드 시스템' 의 약자이기는 한데 대왕생에서도 보스 이름의 일부가 말장난으로 되어있음을 생각해 보면 이런 이름이 붙어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할 지도….
그리고 최초로 파일럿 및 오퍼레이터의 간략한 설정과 일러스트가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왔다. 지금까지 돈파치 시리즈 주인공들이 엔딩에서나 모습을 드러낸 것에 비해 상당히 대조적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들이 작품내에서 뭔가를 보여주는게 없어서 매우 아쉽다. 당장 위의 세 주인공들도 비중이 없는 상태인데...
또한 돈파치 시리즈의 마스코트라 할수있는 '''수령이 등장하지 않는다.'''[12] 대신 死ぬがよい는 진 최종보스 인바치가 발악 패턴시 발언. 또 Xbox 360 이식판의 사야도 통상 봄 발동시 死ぬがよい의 대사가 있다.
기체의 드레스의 선택에 따라 엔딩 때의 복장또한 달라진다. 1주차 엔딩으로만 미루어 보면 전작인 대왕생과는 달리 세 돌들은 모두 살아남는 모양인 듯.
5면 도중에 GP 포인트가 2147만을 넘어서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GP포인트가 999999999까지 치솟더니 100억대의 스코어가 2천억으로 20배 폭증하는 엄청난 스코어 결함이 생기기도 했다. 스코어 한계점까지 카운트 스타트! 이쯤 되면 스코어 밸런스가 박살났다고 해도 무방한 상황. 다만 1.2조가 나왔는데도 칸스토가 뜨지 않는 것을 보아 의도적인 시스템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여담이지만 오버플로우 현상 때문에 EX에 한해서 5판 이전까지는 최대한 점수를 불리지 않고 최대한 랭크 상승을 억제해서 5스테이지에 돌입하여 5스테이지 내에서만 오버플로우 현상을 이용해서 스코어를 순식간에 증폭시켜 버리는 괴악한 패턴이 개발되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
최대왕생에 完 자를 붙이게 된 이유는 돈파치 시리즈의 완결판이 아니라 단순히 디자인에 불과하다고 한다. 당시 케이브 사장이 도돈파치 최대왕생 아케이드 개발 완료를 앞두고 "'完' 자를 붙이면 왠지 멋지지 않을까?"(…)라고 했는데 어느 순간 붙어버리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케이브가 사정이 좋지 않아 슈팅 게임 제작을 그만 둔다'라는 우려와는 다르게 '앞으로도 슈팅 제작은 종료할 생각이 없으며 도돈파치 시리즈 또한 종결짓는다고 한 적이 없다'라는 것을 보아 향후에도 계속 지켜봐야 할 듯하다.(출처)
본 작에 들어간 한자는 전부 전서체(篆書體)로 처리되었다.
전작인 도돈파치 대부활과 함께 돈파치 시리즈 중 스팀에 이식되기를 희망하는 유저들의 비율이 높다. 2016년 4월 29일, 케이브 라이브 방송에서 도돈파치 대부활이 스팀에 이식된다는 발표가 났다.
2020년 여름. 도돈파치 최대왕생 EXA레이블이라는 이름으로 아케이드로 재이식이 결정되었다.
xbox360 에뮬레이터인 xenia에서 설정만 건드려주면 정상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다!
[1] 혹자는 히바치의 성우의 작품과 서로 빗대어 신들의 싸움이 되었다고 했다.[2] 초한정판에 수록된 설정집에는 이것의 대본이 있는데, 분량이 6페이지나 된다.[3] 예를 들어 2스테이지에서 죽으면 1스테이지를 클리어한 것이니 20, 5스테이지에서 죽으면 4스테이지를 클리어한 것이니 80, 전부 다 클리어하면 5스테이지를 클리어한 것이니 100을 받게 된다. 1스테이지에서 죽어서 클리어한 것이 없을 경우 1을 받는다.[4] 이번작의 별 아이템은 레이저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회수된다. 확실한 정보는 아니니 수정이 요구되지만 하이퍼 레벨을 모을수록 하이퍼 레벨을 더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듯하다.[5] 일본어로는 사이온이라고 읽는다.[6] 조건불충분 시 여기서 끝남.[7] 특정조건만족시 인바치가 최종보스이다. 자세한 건 히바치 항목을 참조.[8] 등장시 나오는 경고에는 '엘리먼트 도터'라고 나온다. 그런데 엘리먼트 도터들이 전작의 보스였음을 감안한다면….[9] 피탄당하면 히바치가 플레이어를 비웃는데 'ウェヒヒ'는 카나메 마도카의 웃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이다. 그리고 이 웃음은 안의 사람 특유의 웃음 소리다.[10] 따지고 보면 대부활은 인간형→벌형→인간형이긴 하지만….[11] 벌 퍼펙트 조건은 해당 스테이지의 벌 아이템을 전부 노미스로 취득.[12] 3면 클리어시 정산화면에서 슈리의 뒤쪽에 배경으로 이전까지의 익숙한 수령의 모습이 보이기는 하지만 그림인지 화상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