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가 2
1. 개요
스페인의 차상위 축구 리그, 즉 2부 리그로 정식 명칭은 '''라리가 2'''. 한때 스폰서였던 BBVA[1] 의 회사 슬로건을 '''Adelante(아델란테, 전진)'''이라 쓰고 있는데 이를 리그 명칭으로 써서 한동안 '''리가 아델란테(Liga Adelante)'''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2016-17 시즌부터는 '''라리가 2(La Liga 2)'''로 변경되었다.[2] 2019-20 시즌부터 타이틀 스폰서 명칭을 산탄데르의 스마트 뱅킹 서비스인 스마트뱅크로 바꾸어 '''라리가 스마트뱅크'''라고 불리기도 한다.
2. 소개
최상위 리그인 라리가의 다음 등급 리그이기 때문에 승강제가 곧 라리가의 구성과도 연결된다. 총 22개 클럽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42경기씩을 치른다. 라리가에서 전 시즌 18위~20위를 기록하여 강등되는 팀들은 다음 시즌 여기에 속하게 되고, 같은 해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각 그룹 우승팀 간 플레이오프를 치러 2개 팀이 승격하며 우승팀 간 플레이오프 패자와 2~4위 플레이오프 승자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하여 2개 팀이 승격한다. 19위에서 22위까지의 팀들은 차기 시즌 하부 리그인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된다.
최다 우승팀은 9회 우승의 레알 무르시아 CF이다.
3. 특징
리저브 팀의 리그 참가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2013-14 시즌에는 FC 바르셀로나의 리저브 팀인 FC 바르셀로나 B와 레알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인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가 세군다 디비시온에 소속되어 있었다.[3] 그러나 이 팀은 규정에 따라 상위 팀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할 수 없다. 예를 들어, 2011-12 시즌 비야레알 CF B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잔류 가능한 12위로 시즌을 마쳤지만 라리가의 비야레알 CF가 18위로 강등이 되는 바람에, 비야레알 CF B는 자동으로 세군다 디비시온 B으로 강등이 되어버렸다. 반대로, 2010-11 시즌 및 2013-14 시즌 FC 바르셀로나 B는 승격 플레이오프에 출전할 수 있는 3위로 시즌을 마쳤지만 라리가에 FC 바르셀로나가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FC 바르셀로나 B는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여할 수 없었고, 4~7위의 4개 클럽이 승격 플레이오프를 하기도 하였다. 2015-16 시즌에는 아틀레틱 빌바오의 리저브팀인 빌바오 아틀레틱 팀이 소속되어 참가하였으며, 2016-17 시즌에는 세비야 FC의 리저브팀인 세비야 아틀레티코 팀이 소속되어 참가하였다.
4. 2020-21 시즌 참가 팀
4.1. 12/13 시즌 승강 팀
- 프리메라 리가에서 강등
- RCD 마요르카 - 프리메라 리가 18위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 프리메라 리가 19위
- 레알 사라고사 - 프리메라 리가 20위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CD 테네리페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SD 에이바르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레알 하엔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4.2. 13/14 시즌 승강 팀
- 프리메라 리가에서 강등
- CA 오사수나 - 프리메라 리가 18위
- 레알 바야돌리드 CF - 프리메라 리가 19위
- 레알 베티스 - 프리메라 리가 20위
- 프리메라 리가로 승격
- SD 에이바르 - 우승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 준우승
- 코르도바 CF -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레알 무르시아 CF - 리그 4위[5]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 리그 20위
- 레알 하엔 - 리그 21위
- 에르쿨레스 CF - 리그 22위
4.3. 14/15 시즌 승강 팀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레알 오비에도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빌바오 아틀레틱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SD 우에스카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라싱 산탄데르 - 리그 19위
- 레크레아티보 우엘바 - 리그 20위
- CE 사바델 FC - 리그 21위
- FC 바르셀로나 B - 리그 22위
4.4. 15/16 시즌 승강 팀
- 프리메라 리가로 승격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 우승
- CD 레가네스 - 준우승
- CA 오사수나 -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CF 레우스 데포르티우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UCAM 무르시아 CF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카디스 CF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세비야 아틀레티코 클루브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4.5. 16/17 시즌 승강 팀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쿨투랄 이 데포르티바 레오네사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로르카 FC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FC 바르셀로나 B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알바세테 발롬피에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UCAM 무르시아 CF - 리그 19위
- RCD 마요르카 - 리그 20위
- 엘체 CF - 리그 21위
- CD 미란데스 - 리그 22위
4.6. 17/18 시즌 승강 팀
- 라리가에서 강등
- RC 데포르티보 데 라 코루냐 - 라리가 18위
- UD 라스팔마스 - 라리가 19위
- 말라가 CF - 라리가 20위
- 라리가로 승격
- 라요 바예카노 데 마드리드 - 우승
- SD 우에스카 - 준우승
- 레알 바야돌리드 CF -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CF 라요 마하다혼다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RCD 마요르카 - 챔피언 플레이오프 우승
- 엘체 CF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에스트레마두라 UD - 3라운드 플레이오프 우승
-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쿨투랄 이 데포르티바 레오네사 - 리그 19위
- FC 바르셀로나 B - 리그 20위
- 로르카 FC - 리그 21위
- 세비야 아틀레티코 클루브 - 리그 22위
4.7. 18/19 시즌 승강 팀
- 라리가에서 강등
- 지로나 FC - 라리가 18위
- SD 우에스카 - 라리가 19위
- 라요 바예카노 데 마드리드 - 라리가 20위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CF 라요 마하다혼다 - 리그 19위
-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 리그 20위
- 코르도바 CF - 리그 21위
- CF 레우스 데포르티우 - 리그 22위[7]
4.8. 19/20 시즌 승강 팀
-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CD 누만시아 - 리그 19위
- RC 데포르티보 데 라 코루냐 - 리그 20위
- 에스트레마두라 UD - 리그 21위
- 라싱 산탄데르 - 리그 22위
5. 시즌 결산
5.1. 라리가 2
5.2. 세군다 디비시온(북부/남부)
5.3. 세군다 디비시온
[1] 스페인 빌바오에 기반을 둔 다국적 기업 빌바오 비스카야 아르헨타리아 은행(Banco Bilbao Vizcaya Argentaria)[2] 바뀐 로고 및 명칭은 산탄데르의 금융 상품 이름을 따 "1|'''2'''|3" 으로 헷갈리게 표기(웹사이트 주소도 'laliga-123'으로 끝난다!)하지만, 크게 쓰여있는 2만 읽어서 La Liga 2 로 읽는다.[3] 그러나 카스티야는 13-14 시즌 종료 후에, 바르셀로나 B는 14-15 시즌 종료 후에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어버린다.[4] 재정 문제로 강등.[5] 재정 문제로 강등되었다. 또한 2014-15시즌 동안 승격 자격 역시 가질 수 없다. 대신 19위에 위치해 있던 CD 미란데스가 세군다리가에 잔류[6] 재정 악화로 인한 강등.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추가적인 강등의 가능성도 이야기되고 있다. 항목 참조.[7] 재정문제로 실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