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 총대주교
1. 개요
동서 대분열 이후 서방 가톨릭 라틴 교회에서 동방의 교구에 자체적으로 임명한 총대주교.
2. 역사
1054년 교회의 대분열로 인해 5대 총대주교구 중 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예루살렘 4개 관구가 서방교회(라틴교회)와의 단절을 선언했다. 이후 십자군 전쟁을 통해 다시금 중근동 지역에 발을 딛은 서방교회는 십자군 왕국들과 십자군으로 파견된 서방교회 신자인 병사들을 사목하기 위해 이들 4개 관구에 자체적으로 총대주교를 임명하기로 하고, 교황의 권한으로 안티오키아를 시작으로 예루살렘·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에 차례로 라틴 총대주교를 임명하였다.
물론, 십자군 전쟁이 대차게 망하자 이들도 그냥 망했어요. 애초에 이 지역이 정교회나 오리엔탈정교회가 깊게 뿌리내린 지역인 데다 이슬람 세력이 곱게 놔둘 리도 없었으니. 십자군 국가들이 이슬람 세력에 넘어간 후에는 로마에 상주하는 명예직으로 남았다. 이후 잦은 공석 등 불안한 상태가 지속되다가 1950년대 들어 임명이 중단되더니, 교황청은 1965년을 끝으로 예루살렘 총대주교를 제외한 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 3개 라틴 총대주교좌를 폐지하였다.
2.1. 폐지
교황청이 라틴 총대주교좌를 폐지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먼저 가톨릭과 정교회의 관계가 20세기 들어 크게 호전되었다는 점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거쳐 1965년에 당시 교황 성 바오로 6세와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가 만나서 역사적인 화해를 이루고 상호파문을 철회하였다. 정교회를 정통교회로 인정을 했으니 굳이 저 관구들에 라틴 총대주교를 별도로 임명할 이유가 사라졌다.
두 번째로는, 정교회나 오리엔트 정교회로부터 독립한 일부 지역 교회들 상당수가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며 동방 가톨릭 교회란 형태로 가톨릭 교회의 일원으로 귀순한 것이다. 실제로 가톨릭 교회 소속의 총대주교가 알렉산드리아에 한 명, 안티오키아에는 무려 세 명이나 존재한다. 이러니 굳이 라틴 총대주교를 유지할 필요성 자체가 없어져버린 것이다.
다만 예루살렘에서는 가톨릭 교회 입장에서도 성지 관리를 담당할 책임자가 필요하기에 라틴 총대주교좌를 존속시켰다. 예루살렘 총대주교좌를 보유한 동방 가톨릭 교회가 없기도 하다.
3. 목록
3.1. 초대교회 5대 관구의 라틴 총대주교
-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1204년부터 임명, 1948년부터 공석, 1965년 폐지)
4차 십자군이 동로마 제국을 일시 멸망시키고 라틴 제국을 세웠을 때 설치된 총대주교좌.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동로마인들의 망명국가 니케아 제국에서 총대주교좌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당시에는 동로마 황제도 두 명,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도 두 명이라는 이상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니케아 제국이 라틴 제국을 멸망시키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복한 후로는 로마에 상주하는 명예직으로 존속했다가 폐지되었다.
- 안티오키아 라틴 총대주교(1098년부터 임명, 1953년부터 공석, 1965년 폐지)
- 알렉산드리아 라틴 총대주교(1954년부터 공석, 1965년 폐지)
1215년부터 시작한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좌. 이 시기 알렉산드리아는 당연히 이슬람의 지배를 받고 있었지만 십자군 원정으로 종종 십자군의 보호령 처지가 됐다가 이슬람 세력에게 탈환되는 일도 있었다. 알렉산드리아 라틴 총대주교좌는 이러한 와중에 설립된 것이며 명목상으로만 유지되어 로마에 상주하다가 결국 폐지되었다.
-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1099년부터 임명)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잃은 1187년부터는 마지막 남은 십자군 영토인 아크레에 상주하다가, 아크레마저 무너진 후에는 키프로스, 로마로 옮겨다녔다. 1847년까지는 로마에 상주하는 명예직이었으나 1847년 다시 제대로 된 가톨릭 총대교구가 예루살렘에 세워졌다. 푸아드 트왈이 2016년 6월 24일 사임하였고 그 후로 새 총대주교가 임명되지 않고 있다가 2020년 10월 24일에 총대주교가 임명되었다.[1]
3.2. 이외의 라틴 총대주교
한편, 이들 5대 관구의 총대주교 이외에도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서방교회에서 신설한 총대주교좌가 몇 군데 있다. 그러나 이들 총대주교좌는 가톨릭에서만 인정하고 타 교회의 총대주교좌와 겹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라틴 총대주교라고 구별하여 부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 베네치아 총대주교: 6세기 후반 북이탈리아 일대에서 발생한 교회 분열 사태 때 주동 역할을 했던 아퀼레이아 주교가 총대주교를 자칭했는데, 분열이 수습된 뒤에도 자칭했던 호칭이 남아서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베네치아는 따라서 대교구가 아닌 총대주교구(Patriarchal See)로 불린다.
- 리스본 총대주교: 포르투갈이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막아낸 보상 격으로 1737년 처음 주어졌다.
- 동인도 총대주교: 인도 지역의 첫 라틴전례 교구인 고아 대교구장 대주교에게 명예칭호로 결부되었다. 1886년에 처음 주어졌다.
- 폐지되었거나 공석인 총대주교좌
- 서인도 총대주교: 1524년에 처음 주어진 명예칭호로, 태생부터 어느 한 교구에 결부되지 않고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신세였다. 1705년애 스페인 왕국군 군종대목구에 결부되면서 떠다니는 신세를 일단 면했다가, 스페인 내전 때 공화정부가 대목구를 폐지하면서 또 여기저기로 떠다니는 신세가 되었다. 마지막 보유자이자 마드리드 대주교인 레오폴도 에이호 이 가라이가 선종한 1963년 이후에는 새로 임명되지 않았다.
- 그라도 총대주교
- 아퀼레이아 총대주교
[1] 2020.10.23까지, 피에르바티스타 피자발라 대주교가 직무를 대행하고 있다가 24일에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