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다이트 운동

 

Luddite Movement
1. 개요
2. 상세
3. 픽션
4. 참조
5. 관련 문서


1. 개요


19세기 초, 1811년에서 1817년 사이에서 일어난 '''기계 파괴 운동'''이다. 당시 나타나기 시작한 방직기노동자의 일거리를 줄인다는 생각으로 대규모 기계 파괴 운동을 벌인 것이다.

2. 상세


네드 러드(Ned Ludd)라는 인물이 이 운동을 주도했기에 러다이트 운동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이 러드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진 적이 없어서 현재는 가공의 인물이라는 설이 유력하다.[1]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지능이 조금 떨어지는 네드 러드라는 어린 소년이 단지 손놀림이 서툰 바람에 실수로 두 대의 공장 직조 기계를 망가뜨렸다. 그때부터 가끔 알 수 없는 이유로 공장 기기들이 고장나곤 했다. 의심을 받은 사람들은 입을 모아 "하지만 네드 러드가 그랬단 말입니다"라고 변명했다. 1812년, 다급해진 직조공들은 비밀 결사를 만들어 도시에서 게릴라 부대를 형성했다. 그들은 공장 소유주들을 위협하고 이것저것 요구했으며, 소유주들은 그들의 요구를 대부분 들어주었다. 지도자가 누구냐는 질문을 받으면 그들은 "누구라니, 물론 네드 러드 장군이지요"라고 대답했다. 그들은 점차 러다이트라고 알려지게 됐다.
18세기 초까지 영국의 산업은 숙련공들이 공장에 모여서 협업을 통해서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제 수공업의 시대였다. 그런데 증기기관이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기계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되자 수공업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수공업과는 다르게 비싼 돈 들여서 숙련직을 고용하지 않고 소수의 비숙련공만 고용해도 충분히 돌릴 수 있는 게 기계였고, 그러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문에 저임금에 손쉽게 부려먹을 수 있는 여성과 미성년자 고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심지어 5~6살짜리 어린이들도 있었을 정도. 반대로 숙련공의 가치가 급속하게 낮아지면서 일부 장인을 제외한 나머지 수공업자들은 대거 공장문을 닫고 노동자로 전락하며 몰락해버렸고, 보호 역할을 해줄 길드도 시대의 변화에 뒤쳐져 약화되어가며 결국 사라졌다. 상인과 숙련공이 주도하던 공장제 수공업은 몰락하고 소수의 자본가가 대규모의 노동자를 고용해서 제품을 대량생산하는 기계제공업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또한 18세기 후반부터 영국은 매년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기 시작하고 인클로저 운동으로 많은 농민들이 도시로 나가 일하게 되었는데 이러다보니 자연스레 잉여노동력이 넘쳐나게 되었다. 자본가들은 생존의 위기에 처해있는 이들 도시빈민들의 절박함을 이용해서 쥐꼬리만한 임금에 하루 12시간이 넘는 장시간 노동을 시켰다. 이 결과 자본가들은 엄청난 재산을 모아서 부르주아 귀족으로서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는데 반해서, 노동자들은 하루 15-16시간씩 일해도 푼돈밖에 벌지 못 했고 다쳐도 치료조차 받지 못하고 쫓겨나기 일쑤였으며 길거리에서 노숙을 하는 실업자 수 또한 나폴레옹 전쟁기의 불황을 타고 급속히 늘어났다.
더군다나 당시 영국은 매년 일정액 이상의 세금을 내는 부유층 남성에게만 투표권을 주는 사실상 귀족민주정에 가까운 체제였다.[2] 따라서 투표권이 없는 노동자, 소작농, 도시빈민 계층의 이해관계는 완전히 무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영국 정부와 의회는 이런 노동자들의 고통에 대해선 무관심했으며, 철저하게 자본가들의 이해만 대변하였다. 영국 의회는 자본가들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1799년 '단결금지법'을 제정해서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결성, 집단교섭, 파업 등 일체의 집단행동[3]을 금지해놓은 상태였다. 사회보장제도 또한 자유방임주의 사상에 따라서 전무했으며, 빈민구제는 일부 종교단체의 소규모 자선활동이 전부였다. 당시는 야경국가론의 시대였다.[4]
반면에 노동자들의 삶의 질은 점점 악화되고 있었다. 생산성은 급격하게 올랐지만 부의 재분배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빈부격차는 급속도로 벌어졌다. 투표권도 없고, 합법적인 집단행동도 금지된 그야말로 꿈도 희망도 없는 상황속에서 이들의 불만은 결국 비합법적인 폭력으로 터져나오게 된다. "기계로 인해 계속 고통을 받을 바에야 차라리 부숴버리는 게 낫다."는 주장이 비정규직 섬유 노동자들 사이에서 힘을 얻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은 공장이 가동되지 않는 밤이 되면 몰래 망치로 기계를 고장내거나 공장을 불태웠고 이것이 러다이트 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로 불황에 시달리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러다이트 운동은 대중들에게 지지를 받게 되었고, 시인 바이런 같은 지식인들조차 노동자들의 요구가 정당하다면서 지지를 표했으며, 자발적인 후원금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자본가들은 실질적인 피해와 함께 러다이트 운동에 대한 대중들의 지지 때문에 공포에 떨어야 했다.
하지만 기계로 인한 생산성 향상은 이미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러 있어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었고, 당시 사드머스 내각이 군대를 풀어 노동자들을 탄압하고, 주동자들을 모두 처형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하면서 러다이트 운동은 수그러들게 된다. 그러나 노동자들의 불안감과 불만은 수면 아래로 내려간 것일 뿐,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결국 노동자들은 이 운동을 통해 부분적이나마 노조설립이 허용되고, 단체교섭을 인정받는 등 영국 정치권과 자본가들의 양보를 이끌어냈다.
러다이트 운동은 단순한 기계 파괴 운동이 아니라 산업 혁명으로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자리잡아가던 영국에서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권익을 요구하면서 일어난 '''최초의 노동운동'''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러다이트 운동의 실패 이후 노동자들은 보통선거를 요구하는 차티스트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19세기 말 이 차티스트 운동으로 결집한 노동자들이 마르크스주의와 맞물려서 정치세력이 되어 영국 노동당이 출현한다.
한편 러다이트 운동의 원인 중 하나였던 빈부격차실업 문제는 전체적인 생산성의 향상, 보통선거제도의 도입에 따른 노동권 보장과 사회보장제도의 확대가 맞물리면서 '''아주 오랜 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허나 전면적인 복지제도 도입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려서 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복지제도가 어느정도 도입되었지만 복지국가 수준은 아니었고, 대공황과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며 보통 선거에 의한 대중 민주주의와 산업시장에서의 효율성, 노동자의 권리확대를 절충하며 발전해 기존의 소극적 야경국가의 정책에서 벗어나는 데는 1942년 베버리지 보고서가 발간될 때까지 오랜 기간 노동자의 투쟁이 필요했다.

3. 픽션



4. 참조



5. 관련 문서



[1] 이 인물은 실존했을 수 있지만 러다이트 운동의 주도자일 확률은 사실상 없다.[2] <선거는 민주적인가> (버나드 마넹 저, 곽준혁 역) 참고.[3]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라고 해서 보통 노동삼권이라고 부른다. 현재 대한민국 헌법 제33조에도 규정되어 있다. [4] 온 사회를 부르주아(자본가)와 프롤레타리아(노동자)로 양분하고, 극단적인 양극화와 자본가 사이의 경쟁격화로 결국 대공황이 올 것이며,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붕괴할 것이라는 카를 마르크스의 주장은 이런 시대적 현실 속에서 나온 것이다. 보면 알겠지만 19세기는 보통 선거, 노동권, 노동조합, 사회보장제도가 전무해서 부의 재분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원시적 적자생존의 시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