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연방 여권

 

'''러시아 연방 여권'''
Passport of Russian Federation
Заграничный паспорт граждан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image]
'''발급 국가'''
[image] 러시아
'''발급 기관'''
[image] 러시아 외무부
'''영어'''
'''Passport of Russian Federation,
Russian passport'''
'''러시아어'''
'''Заграничный паспорт граждан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한국어'''
'''러시아 연방 여권,
러시아 여권'''
'''비자 현황'''
''''''
1. 개요
2. 무비자 혜택


1. 개요


주한 러시아 대사관[1]
주 부산 러시아연방 총영사관[2]
'''러시아 연방 여권'''은 러시아의 여권이다. 러시아 연방 여권은 구소련 국가들의 대부분에선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나, 우크라이나, 투르크메니스탄은 러시아와 무비자 협정이 체결되어 있지 않고 있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는 EU 회원국이자 솅겐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전면적 무비자 협정이 체결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러시아 연방 여권으로는 중남미의 대부분 국가, 이스라엘, 한국, 브루나이, 대만에서도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2. 무비자 혜택


EU와 러시아는 사이가 안 좋은 관계이기 때문에 무비자 협정은 체결되어 있진 않지만, 폴란드, 불가리아, 그리스는 러시아인들이 일부 지역에 가거나 여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무비자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image]
중국과 함께 국력에 비해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나라가 별로 없는 나라이다. 당장 러시아를 제외한 다른 상임이사국 전원이 비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 그래도 중국보다는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가 훨씬 많은 편이다. 당장 서유럽과 북미를 제외하면 주요국에 비자가 필요없다. 118개 국가에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하다. 게다가 EU 일부국가들(그리스, 폴란드, 키프로스 등)은 러시아인들이 일부지역에 가는 것에 한해서 무비자를 허용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거의 대부분 비자를 요구하고 있으며, OECD 고소득 선진국 중에서는 대한민국이스라엘에만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그래서 부자들은 영연방 소국 시민권복수국적으로 확보하는 경우가 꽤 있다고 한다. 대부분의 서방 선진국에는 불법 체류 가능성이 높다고 보아 아직 무비자 혜택은 주어지지 않고 있으며, 2014년 들어 서방 선진국과의 관계마저 악화되면서 러시아인들의 비자발급까지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과 러시아는 서로간에 무비자를 적용하고 있지 않지만, , 북마리아나 제도는 2012년부터 러시아인들이 무비자로 가는 것이 가능해졌고, 2015년 7월 17일부터 추코트카를 방문하기 원하는 알래스카 주민들이 무비자로 갈 수 있게 일부 지역에 한해서 무비자로 갈 수 있게 되었다.# 2015년 8월 18일에는 브릭스 회원국이 러시아에 갈 수 있게 브릭스 회원국 사이에서 무비자협정을 맺으려 하고 있으며 2018년 10월 30일에는 중국과도 무비자협상을 시작했다.# 그리고 이에 맞서서 대만도 러시아인의 무비자입국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인이 비자 없이 갈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지역이 바로 동남아시아. 그 중 같은 공산권이었던 베트남 같은 곳에는 러시아인 관광객이 굉장히 많다. 대한민국 같은 일부 후발 선진국의 경우에는 무비자 입국을 허용해 주기도 한다. 과거라면 모르지만 현재는 러시아의 경제사정이 어느 정도 높아지면서 중국과는 달리 굳이 비자를 받지 않아도 불법 체류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에는 공산국가 시절의 영향으로 국내용 여권과 일반적인 여권인 국제 여권이 따로 있어 국내용 여권이 국내 장거리 이동 등에 필요한 신분증 등의 용도로 쓰이는데 몇몇 구 소련 출신 국가들(카자흐스탄, 벨라루스 등)은 러시아 국내 여권만으로 이들 국가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우크라이나러시아 간의 돈바스 전쟁 여파로 러시아인의 유럽연합 국가 방문에 대해 EU 국가들이 대대적인 보복 제재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인은 폴란드를 포함해 폴란드 서쪽 국가를 여행하려면 '''입국보증금'''을 내야 한다. 입국보증금은 국가에 입국 시 내며(각 나라별로 다르다. 즉 '''여러 번 보증금을 뜯긴다!''') EU 국가에서 완전히 볼일을 마친 이후 러시아로 귀국 후, 귀국일 3년 이내에 따로 신청을 해야 환급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