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 베이컨

 


Roger Bacon
[image]
옥스퍼드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로저 베이컨의 동상
1214년 경 ~ 1294년 6월 11일.
프란치스코회 소속의 수도자로, 중세 영국의 철학자이자 신학자.
1240년대 파리 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을 처음으로 강의했으며, 그의 스승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처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연구했다.
아우구스티노 이래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시녀론에 입각하여 새로운 철학으로 기독교 교리를 증명할 수 있다는 신념 하에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연금술, 수학, 시각 이론, 천문학, 점성술 등의 학문을 연구했다. 또한 다른 학문들이 줄 수 없는 가르침을 경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하며, 논증 중심적인 스콜라 철학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경험학을 제창하였다.
동시대의 도미니코회 소속의 주교 성 대 알베르토[1]가 그의 지적 라이벌이기도 했다.
이 시기는 과학종교, 철학신학의 경계가 아직 제대로 정립되지 않을 때였다. 그래서 기존의 교리에 어긋나는 이슬람 철학자들의 주장에도 관심을 보일 정도로 진보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던 로저 베이컨은 도미니코회프란치스코회 모두에게서 경계받고 있었다. 결국 프란치스코회 총장이자 대표적 스콜라 철학자인 성 보나벤투라가 에티엔느 탕피에 파리 주교에게 교리에 어긋나는 학설을 받아들인 학파들을 고발하였고, 파리 교구가 그것들을 모두 단죄하는 바람에 로저 베이컨도 함께 프란치스코회에서 추방당했다. 그 뒤 무려 14년 동안이나 이탈리아 안코나의 감옥에 수감되어 있다가, 80세가 되던 해에 풀려났지만 2달 뒤에 사망하였다.
장미의 이름》을 읽어보면 직접적으로 출현하지는 않아도 수도 없이 그의 이름이 나오는데, 설정상 주인공 아드소 수사의 스승인 윌리엄 수사의 스승이기 때문이다. 즉, 아드소 수사의 사조부 격이 되는 셈이다.
자동차의 존재를 가장 일찍이 예언한 사람이기도 하다(1250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과학과 근대 철학》에 언급되어있다). 노스트라다무스보다도 약 300년 정도 일찍 그 존재를 예언한 셈.

[1]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적 스승으로 로저 베이컨과 같이 뛰어난 아리스토텔레스학자이자 신학자. 기독교적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실질적 창시자로 거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