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벨 M1886

 

1. 개요
1.1. 제원
2. 역사
3. 실전과 문제점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5. 둘러보기

[image]

1. 개요



프랑스군샤스포, 그라에 뒤이어 19세기말 채용해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한 볼트액션 소총.
세계 최초로 무연 화약탄을 사용한 제식 소총이다.

1.1. 제원


'''Fusil Mle 1886 M93'''
''르벨 M1886''

'''종류'''
볼트액션 소총
'''국가'''
프랑스
'''역사'''
'''개발'''
바티스트 트라몽
'''개발 년도'''
1885년
'''생산'''
생-테티엔 병기창
샤텔로 병기창
툴레 병기창
'''생산 년도'''
1887년~1920년
'''생산 수'''
3,450,000정
'''사용 년도'''
1887년~현재
'''제원'''
'''구경'''
8mm
'''탄약'''
8×51mmR 르벨
'''급탄'''
8+1발 관형탄창[1]
'''작동 방식'''
볼트액션
'''중량'''
4.41kg (장전시)
4.18kg (비장전시)
'''전장'''
1,300mm
'''총열 길이'''
800mm
'''탄속'''
610~700m/s
'''유효사거리'''
400m
'''최대사거리'''
1,800m

2. 역사


1884년, 프랑스의 화학자 폴 베이유(Paul Marie Eugène Vieille)는 알프레드 노벨이 만든 니트로셀룰로오스에틸알코올을 가해 에테르화한 최초의 무연화약을 개발하여 B화약(Poudre B)[2] 으로 명명한다. 이는 종래의 흑색화약의 약 3배 위력으로 탄환을 발사할 수 있는 데다가, 흑색화약과는 달리 연기가 적어 사격후 사수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사수의 위치를 노출시키지도 않고, 발사기구와 총신 내에 남는 그을음도 흑색화약에 비하면 거의 없다시피한 물건으로 각 군의 주목을 받게 된다.
1886년 1월, 프랑스의 신임 전쟁성 장관은 이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신형 소총을 '''그해 5월까지''' 개발하여 군에 보급한다는 지나치게 야심찬 계획을 수립하고, 개발부서에 이런 말도 안되는 스케쥴을 강요 했다. 따라서, 당시 여러가지 탄종과 각국에서 개발된 여러 형태의 연발총 장전기구를 어느정도 느긋하게 연구중이던 병기국에 갑작스러운 개발 독촉이 떨어진 것이다. 따라서 촉박한 시간 덕분에 프랑스 병기국은 당시 육군 사수학교 교장이었던 니콜라 르벨(Nicolas Lebel) 중령이 개발한 탄두에 병기국의 드살레(Desaleux) 대위가 개발한 탄피[3] 을 를 합쳐 새롭고 강력한 8mm Lebel탄을 개발한다.
[image]
8mm 르벨

Forgotten Weapons의 크로파첵 M1884 리뷰 영상
그리고, 거의 동시에 샤텔로(Chatellerault) 조병창에서 신형탄에 맞는 신형 소총을 개발 하고 있었는데, 촉박한 개발 기간에 맞추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소총을 개발하기보다는 당시 해군 제식 소총이었던 11mm 구경의 크로파첵 연발 소총[4]을 신형탄에 맞게 재설계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신형 소총의 개발은 빠르게 진행되어 전쟁성 장관이 요구한 기한 안으로 완료 할 수 있게 된다.
이 신형 소총은 Fusil d'Infanterie Modèle 1886라는 제식명을 받게 되지만 사용 탄환의 개발자 이름을 따라 Lebel Mle 1886, 또는 Lebel 소총으로 불리게 된다.

3. 실전과 문제점


르벨 소총은 등장 당시, 기대되었던 대로 무연 화약의 장점을 그대로 발휘하여 위력과 사거리, 정확도, 신뢰성, 내구성, 운용성 등 모든 면에서 경쟁국이자 적국인 영국과 독일의 흑색화약 소총을 능가하는 성능을 갖고 있었으나, 최초로 개발된 물건인 만큼 몇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주어진 개발기한이 단 '''5개월'''이었던 만큼 새로운 설계를 시도할 여유가 전혀 없었기에, 탄은 그라 소총의 탄피를 억지로 8MM 신형 탄두에 맞게 고친 수준이고, 총자체도 사실상 기존의 크로파첵 연발 소총을 신형탄에 맞게 재설계한 수준에 불과했기 때문에, 무연화약 소총탄의 적용을 제외하면 새로운 요소가 거의 없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것이 큰 문제로 작용하였다.
먼저, 사용탄의 경우 개발당시에는 유일무이한 무연화약 소총탄으로 당연히 최고의 성능을 자랑 했지만, 곧 독일의 마우저와 영국의 엔필드에서 이를 능가하는 탄환인 7.92mm 마우저7.7mm 브리티쉬를 개발하게 된다. 그리고 5년 후인 1891년에는 서구권에 비해 기술력이 뒤떨어지는 러시아마저 7.62×54mmR 탄을 개발하기에 이른다.
후발 주자인 7.92mm 마우저와 .303 브리티쉬 탄 등에 비하여 르벨탄은 탄도 특성, 탄도 안정성, 위력이 모두 떨어졌고, 테이퍼 형태에 림이 튀어나온 뒤로 갈수록 심하게 굵어지는 탄피 형태는 나중에 기관총등의 자동 화기 운용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5]
두번째, 탄창의 구조도 문제가 되는데, 마우저 등 대부분의 볼트 액션식 소총이 채용한 장전기구의 바로 밑에 고정식 상자형 탄창이 자리잡는 방식이 아닌, 총신 아래에 튜브식-현대의 펌프액션 산탄총에 많이 쓰이는-탄창을 채용하였던 것이 문제가 된다.
개발 당시로서는 꽤 많은 8발이나 장전되는 등, 나름의 장점이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다른 볼트 액션 소총의 장전 방식이 스트리퍼 클립 방식을 주로 쓰면서 장전 속도가 빨라진데 반해, 르벨 소총은 한발 한발 튜브탄창에 탄을 밀어넣어야 한다. 이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사능력이 구형 단발식에 비해 크게 빨라진게 아니라는 모순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또 튜브탄창에서 탄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엘리베이터를 제대로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 방법이 다른 소총과 비교해서 꽤 까다롭다. 예컨대 볼트를 힘껏 당겨야 하고 재장전 할 때마다 볼트 조작을 두 번씩[6] 해야 하기 때문에 급박한 상황에서 탄을 다 쏴버린 경우 재장전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상당히 불리해질 수밖에 없었다.
다만 통념과는 다르게 뾰족한 탄두로 인한 탄창 내 유폭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특별한 단점이라고 보기는 어려운데, 그 이유로 첫째는 8mm르벨 탄의 유난히도 큰 테이퍼 각 때문에 애초에 탄두가 다른 탄의 뇌관을 겨냥하고 있는 경우가 드물었고 둘째로 뾰족한 탄두를 장착하면서 뇌관부 둘레로 도넛 모양의 홈을 파 두어 탄창 내에서 뾰족한 쪽이 뇌관부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졌기 때문이다.
전장이 길고 말을 타고 있는 동안에 1발씩 장전해야하는지라 기병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카빈화가 시도되었지만 간신히 길이를 줄인 시제형만 등장하고 채택이 거부되었다.[7]
세번째, 타국의 소총들과 달리, 총열 위를 덮는 핸드가드가 없다는 것도 문제가 되었는데, 이 때문에 장시간 총을 사용할 경우 달아오른 총열에 손이 닿아 화상을 입을 위험이 다른 소총보다 높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이를 보완할 베르티에 계열 소총[8]이 대거 보급되면서 서서히 주력의 자리에서 밀려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까지 생산이 지속되면서[9] 1차대전 내내 준 주력의 자리를 지켰고, 세르비아, 러시아, 벨기에 등에 공여되기도 했다. 한편 1차대전 초반에 독일군에게 다량으로 노획되어 후방 부대에 지급되기도 하였다.
종전 후에는 적지 않은 수량이 망실된데다 신형 베르티에 소총이 이미 대량 보급된 상태였으므로 2선급으로 돌려졌지만, 식민지 유지를 위한 대규모 병력의 무장에 필요한 총기의 수요가 컸고 국방 예산도 축소되었던지라 완전히 퇴역시킬 여건은 아니었기에 후방 부대나 식민지 부대 등에서 지속적으로 운용되었고 전방 부대의 경우에도 총류탄 발사에 사용하게 위해[10] 분대당 1정 정도가 지급되었다.
이후 신형 7.5mm 탄을 사용하는 MAS-36의 보급이 진행되었지만, 대공황의 여파로 도입이 늦어진데다 도입 자체도 원할하지 못했던 탓에[11] 르벨 소총의 교체는 완전히 진행되지 못하여 제2차 세계 대전때에도 식민지군에서는 상당량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2차대전 말기에는 독일군에 의해 국민돌격대에 지급되기도 했다. 전후에는 잠시 2선급 무기로 쓰이다가 곧 완전히 도태되어 사라졌지만 1979년까지 예장용으로는 사용되었다고 한다. 국외로 반출된 것은 이후로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는데, 1, 2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콩들이 사용하기도 했으며, 심지어 이라크 전쟁 때도 소량이 사용되었고 아프가니스탄에서도 간간히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총 생산량은 350만정.
[image]
참호전에서는 이렇게 마개조 당하기도 하였다.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도미네이션즈 : 영웅 전술성 병력인 페르디낭 포슈가 사용한다.
  • 베르됭(게임)
  • 배틀필드 1 : 정찰병 장비로 등장하며 인펀트리와 스나이퍼 두가지 타입이 존재. 8발 다 사격하고 재장전에 돌입하면 8발 장전 후 볼트를 2번 당기는 고증까지 충실하게 재현해놨다.
  • 헌트 쇼다운 : 롱 탄약을 사용하는 높은 사거리와 파워를 가지고 있지만 총 장탄 수 말고는 모든 점이 모신나강의 하위 호환인 소총으로 나온다. 이 게임에서도 탄환을 정성스럽게 밀어넣는 고증이 잘 표현되어있다.
  • Post Scriptum : 6월 작전 업데이트 이후 프랑스군의 소총으로 추가되었다.
  • 미이라 시리즈의 미이라1 : 초반부 하무납트라에서 프랑스 외인부대와 유목민 군대와의 전투에서 등장한다. 특이하게도 이 작품의 르벨 소총은 관형 탄창을 쓰지 않고, 한 발씩 약실에 수동 장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실제 북아프리카에 주둔하던 프랑스군이 더운 날씨때문에 관형탄창에서의 폭발 사고가 너무 자주 일어나서 탄창 부분을 없애고 한 발씩 장전해 사격하도록 했던 것을 표현했다. 아무튼 덕분에 떼거지로 밀려오는 유목민 기병대에게 저지력을 갖추지 못하고 전멸한다.
그런데 시기가 1920년대인데 기관총 하나 장비하지 않고 와서 전멸?

5. 둘러보기









[1] 탄창에는 8발이 들어가며 탄약 엘리베이터에 추가로 한 발을 더 장전할 수 있다. 약실에도 장전하면 최대 10발을 장전할 수 있으나, 약실에 탄을 장전한 채로 휴대하면 오발사고의 위험이 있어서(특히나 이 소총은 수동 안전장치가 없어서 약실에 탄을 장전하고 소지하는 행위는 더더욱 위험했다) 안전하게 장전할 수 있는 최대 장탄수는 9발이다.[2] 프랑스어 Poudre Blanche(백색 화약)를 축약한 이름이다. 흑색화약과 대비되는 의미로 '''백색화약'''이라 명명한 것. 참고로 무연화약 전반을 일컫는 프랑스어는 Poudre Sans Fumée이다.[3] 기본적으로 그라 소총의 11MM흑색화약용 탄피를 8MM 탄두에 맞게 조금 수정한 것이다[4] 튜브 장전식이며,프랑스 육군도 흑색화약식 연발총으로서 약간 개량된 모델을 도입하려고 시도중이었다.[5] 쇼샤 기관총의 크기만 크고 20발밖에 안 들어가는 반원반형 탄창은 결국 8mm 르벨탄의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생겨난 형상이었다.[6] 재장전을 위해 아래로 내린 엘리베이터를 제자리로 돌려 놓기 위해 한 번, 탄을 약실에 넣기 위해 다시 한 번[7] 다만 1930년대에 R35라는 이름으로 기존 르벨 소총을 짧게 개조한 카빈형이 도입된 바 있다. 이는 후방 비전투 부대에게 지급할 목적으로 기존 총을 재활용한 것이다.[8] 고정식 탄창과 클립장전을 쓰는 비교적 평범한 볼트 액션 소총이나 초기형은 고작 '''3연발''' 이었다. 개량형인 Mle 1916부터 5연발로 증가.[9] 다만 충분한 수량이 생산되었다는 판단에 따라 생산라인이 1904년에 닫혔기 때문에 르벨 소총의 대부분은 1886년부터 1904년 사이에 생산되었고, 이후의 생산은 재고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1차대전 기간 동안 20만 정 가량이 생산되었다.[10] 이는 탄창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탄창 차단기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총류탄을 사용할 경우에는 탄창 차단기로 탄창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공포탄을 장전해 발사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실제 사례로, 2차대전기 미군은 탄창 차단기가 적용된 스프링필드 M1903을 분대당 1정씩 지급해 총류탄 발사에 사용했다. 참고로 르벨 소총의 탄창 차단기는 리시버 우측에 위치한다. 방아쇠울과 리시버가 만나는 위치를 보면 조그만 버튼과 가로홈이 있는데 그게 바로 탄창 차단기다. 버튼을 앞으로 밀어놓으면 탄창이 차단되고 뒤로 당겨놓으면 급탄 엘리베이터가 작동한다.[11] 1940년 5월까지 보급된 MAS-36은 고작 25만 정에 불과했고 그나마도 대독 선전포고 이후 생산량을 대폭 늘려 15만 정을 생산한 결과였다. 게다가 기존 베르티에 소총을 신형탄에 맞게 개조한 M1907-15 M34의 수량조차도 6만 3천 정에 불과한 실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