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mm

 

1. 8×50mmR 르벨
2. 8mm 마우저
3. 8mm 만리허
4. 8×59mm RB 브레다
5. 8×22 mm SR 남부
6. 그 밖의 8 mm 탄


1. 8×50mmR 르벨


[image]
프렌치(French) 탄으로도 불리며, 해당 탄약과 같이 도입된 르벨 M1886을 비롯한 베르티에 소총, 호치키스 기관총 등 프랑스제 총기에 사용되었다.
'''세계 최초로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탄'''으로, 무연화약은 기존의 흑색화약 탄보다 위력이 약 3배를 능가하여, 기존 그라 소총에 사용되는 11×59mmR 그라 탄과 비교했을 때 Balle M 기준으로 약 800J 더 높으며, 탄속은 173m/s 더 빠르다. 또한 흑색화약과 달리 연기가 적어 사격 후 사수의 시야를 가리거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으며, 발사기구와 총열 내부에 남는 그을음이 거의 없다시피해서 각 군의 주목을 받게되었다.
1886년 나온 초기형인 Balle M는 라운드형 탄자를 사용하였으며, 1898년부터 스피처형 탄자를 도입하여 탄속과 사거리가 보다 향상된 Balle D가 개발되었는데, 이 탄은 세계 최초로 스피처형 탄자를 사용한 탄약이기도 하다. 예광탄은 Balle T, 철갑탄은 Balle P로 불렸으며, 1932년에는 Balle D를 다시 개량하여 위력을 증대시킨 Balle N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최초로 개발된 물건인 만큼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우선 짧은 개발 기간으로 인해 기존의 11mm 그라 탄을 넥다운해 개발한 터라 탄피가 원뿔형에 가까울 정도로 테이퍼각이 크고, 거기에다 구형 탄약 특성상 림드형이라 자동화기 개발에 부담이 갔다. 이 문제로 인해 기존의 캔버스제 탄띠가 탄약을 잘 잡아주지 못해서 보탄판을 도입해야 했다.[1] 또한 쇼샤의 탄창 형태가 탄피의 형태로 인해 반원형이 되어 휴대성이 낮아진데다,[2] 큰 테이퍼로 인해 장탄이 불편해져서 탄창에 장탄용 구멍을 뚫을 수 밖에 없어 이물질 유입에 취약해졌으며,[3] 권총손잡이와 전방손잡이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불편해졌다.[4]
거기다 시간이 흐르면서 영국이나 독일 등지에서 발리스타이트, 코르다이트 등 신형 무연화약이 개발되어 7.92×57mm 마우저, .303 브리티시 등 르벨 탄과 필적하거나 더 능가하는 탄약이 개발되면서 성능 상의 우위가 사라졌다.
한편 당시 프랑스의 제식 소총인 르벨 M1886은 튜브탄창을 사용했는데, 스피처형 탄약인 Balle D를 도입하면서 뒤의 탄이 앞쪽 탄의 뇌관을 찔러 탄창 내부에서 폭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생겼다. 이 문제는 B화약의 높은 감도로 인해 심화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해 뇌관 주위로 오목한 홈을 두르는 구조를 적용하여 방지하였다.
이후 림리스에 작은 테이퍼각을 가진 7.5×54mm 프렌치 탄으로 대체되었으나, 해당 탄을 사용하는 신형 소총 MAS-36의 보급이 더뎌 2차대전기에도 이 탄은 여전히 사용되었고, 전후에도 2선급 부대에서 소수 사용되다가 MAS-36과 MAS-49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프랑스에서는 완전히 퇴역하게 되었다. 한편 타국에 공여되거나 식민지에 남겨지는 식으로 국외로 반출된 프랑스제 총기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총기를 시용하거나 입수한 국가에서도 이 탄약을 사용하곤 했다.
규격을 8×51mmR로 표기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는 탄피 길이가 정확히는 50.5mm라서 그렇다.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면 51mm, 버림하면 50mm. 이 때문에 명칭에 약간의 혼란이 있다.

2. 8mm 마우저


7.92×57 mm를 8×57 mm IS로 칭하기도 하는데, 8×57 mm IRS의 경우 전혀 다른 탄환으로, 주로 중절식 소총에 사용된다.

3. 8mm 만리허


[image]
사진은 8×50 mm R.
오스트리아-헝가리제. 만리허 소총 시리즈와 스코다 기관총,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MG30 등에 사용되었다. 프랑스의 8mm 탄에 영향을 받아 처음으로 등장한 8×52 mm R은 '''반쯤'''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탄이었으며, 1893년에 들어서면서 완전히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8×50 mm R가 완성되면서 성능이 향상되었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8×56 mm R을 개발함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에서는 기존의 8×50 mm R을 대체하였다.
8×56 mm R의 경우 현재 미국 탄약회사 Hornady 와 세르비아 탄약회사 Prvi Partizan 두 곳에서 생산 중이며, 8×50 mm R과 8×52 mm R은 더 이상 생산이 되지 않기에 이 탄을 개조해서 수제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8×56 mm R 탄이 소량으로 생산되는 탄이라 구하기 어려워서 흔한 탄약인 7.62×54 mm R 탄피를 개조해 수제로 만들어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5]
7.62×54 mm R 탄을 개발할 때 8×52 mm R 탄을 참고했다는 설이 있다.

4. 8×59mm RB 브레다


이탈리아 왕국제. 중기관총용 사용 탄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으며, 피아트-레벨리 M1935, 브레다 M37, M38 등 중기관총에 사용되었다.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간 계약으로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되었다.
1920년대부터 6.5×52 mm가 기관총에 사용되기에는 위력이 너무 약하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30년대 즈음부터 새로운 기관총 탄 개발이 시작되었다. 7/8mm 등 다른 구경으로 시험을 하여 최종적으로 8×59 mm가 되었다.
RB의 의미는 리베이티드 림을 뜻한다.

5. 8×22 mm SR 남부


[image]
8×22 mm SR 南部
일본의 남부 키지로가 개발한 권총탄. 남부 권총94식 권총, 100식 기관단총에 사용되었다.
성능은 .380 ACP와 비슷한 운동에너지를 가졌으며, 호신용 권총탄으로서는 그리 나쁘진 않으나 군용으로 써먹기에는 '''동시기 다른 국가가 군용으로 사용하는 권총탄에 비해서 위력이나 대인저지력면에서 뒤쳐진다.'''[6] 이는 장약량은 적은데 탄피 형상은 소총탄과 유사한 것에 기인하며, 권총의 작동구조도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예전부터 사용해왔던 26년식 권총의 9×22 mm R(111J)보다 그나마 위력이 높으니(274 J) 위안이 될 지언정 현실은...
육군이 사용하는 탄과는 달리 해군이 사용하는 탄에는 각인이 없다.
1939년 8월 당시 이 탄을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은 종이상자를 포함해서 10,000발에 390엔이라고 한다.
SR의 의미는 세미 림드를 뜻한다.

6. 그 밖의 8 mm 탄


  • 8 mm 로트-슈타이어(8×18 mm): 오스트리아-헝가리제 권총탄. 로트-슈타이어 M1907 권총에 사용되었다.
  • 8×27 mm R: 프랑스의 권총탄. 8 mm 프렌치 오드넌스로도 불린다. 모델 1892 리볼버나 나강 M1895, S&W M10 등 리볼버에 사용되었다.
  • 8×53mm R: 일본의 소총탄. 일본이 처음 채택한 무연화약 소총탄이다. 무라타 22년식 소총과 22년식 기병총에 사용되었으나 반동이 심하다는 지적에 따라 6.5×50mm SR로 대체되었다.
  • 8×58mm R: 덴마크의 소총탄 1889년부터 1945년까지 덴마크군의 제식 소총탄으로 사용되었다.
  • 8×63mm: 스웨덴제. 기관총에서 사용하기에는 위력과 저지력이 비교적 약한 기존의 6.5×55mm 탄을 대신하기 위한 기관총용 탄약으로 1932년에 도입되었다.

[1] 이 외에도 여러 요인으로 인해 프랑스군이 보탄판을 도입했다. 한편 특허 문제로 인해 보탄판을 도입했다는 주장은 거짓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2]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림드형 탄인 .303 브리티시 및 7.62×54mmR이나 림리스형 탄이지만 테이퍼가 큰 7.62×39mm를 사용하는 탄창도 테이퍼가 큰 편이지만, 쇼샤만큼 크지 않았다.[3] 이로 인해 1917년에 캔버스제 탄창 덮개가 지급되었으며, 1918년에 완전 밀폐된 탄창이 개발되었으나 전쟁 말기라 사용되지 않았다.[4] 미군 사양인 Mle 1918은 테이퍼가 작은 데다 림리스형인 .30-06 스프링필드 탄을 사용하여 탄창 형태로 인한 문제를 해결했으나, 설계 오류로 인해 원본보다도 단점이 더욱 많아져서 최악의 기관총이라는 평을 받았다.[5] 7.62×54 mm R 탄은 탄피 길이가 8×56 mm R보다 짧기 때문에 이 같은 방법을 사용해 수제로 만든 탄의 경우, 규격에 맞춰 제조한 탄보다 탄피 넥 부분의 길이가 약간 짧아진다. 다만 사용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6] 9×19mm 파라벨럼, .45 ACP, 토카레프에 비해 위력이 약한데다, 심지어 이것보다 길이가 짧은 8×18 mm 로트-슈타이어보다 더 뒤처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