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작(도교)

 




朱雀 Jujak (Zhūquè)
'''''《주작》'''
강서대묘 널방 남벽 벽화, 7세기(고구려), 모사도 디지털 복원
''
.
1. 개요
2. 역사
3. 봉황, 삼족오와 혼동
4.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clearfix]

1. 개요


쪽을 수호하는 사신. 붉은색의 봉황이나 공작새의 모습 또는 불사조를 연상시키는 붉은 가 암수 한 쌍의 모습으로 그려지며, 오행 중에서 여름을 관장하며 붉은색을 상징한다. 또한 지혜롭고 과학, 재판, 심판도 관장하며 360종의 날짐승들의 수장이다. 전설에서는 봉황이 도를 깨우치면 깃털색이 붉은색으로 변해서 주작이 된다고 한다. 부활도 상징한다고 전해지며 화염의 힘으로 상처를 치유하고 화염, 폭발, 고열, 용암, 마그마, 가뭄을 다룬다고 전해진다.

2. 역사


전국시대-진한 시대를 거치면서 중국에서는 도교가 발전하는데, 이 때 오방색과 점성술이 엮여 사신수 개념이 나타난다. 28개의 중국식 별자리 중 남방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의 7개 성좌가 새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남방을 상징하는 붉은색 새인 주작의 개념이 나타났다. 특히 육조시대에는 도교가 크게 유행하여 수호신의 도상으로 적극 채용됐다.
[image]
조선시대 사용한 주작기.@
주작은 중국만이 아니라 한국에서도 숭상받던 동물이다. 발해 희왕 시대의 연호가 주작(朱雀)이고, 이능화의 조선무속고에 따르면 고려 시대에 주작을 모시는 주작사당이 있었으나 조선이 건국되면서 없어졌다는 기록이 나온다. 조선조에 들어서도 조선 왕실에서 쓰이는 물건에는 곳곳에서 주작을 장식한 유물이 많이 나온다. 고구려 벽화의 삼족오와 형태가 거의 유사하다. 조선시대에 사용한 주작기는 머리 3개, 눈 3개, 다리 3개로 역시 삼족오의 형태가 변형되어 내려 온 것이라 볼 수 있다.

3. 봉황, 삼족오와 혼동


고대 시절부터 지금까지 봉황, 삼족오, 주작은 셋이 서로 혼동되거나 동일시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현대에 들어 서양 문화와 접촉하고서는 불사조와도 혼합되는 경향이 보인다.
산해경에서는 모습이 닭과 같은데 다섯가지 빛깔의 깃털을 달고 있다고 한다. 깃털이 불꽃으로 뒤덮혀 있다는 묘사도 자주 나타난다. 하지만 벽화에서나 지금도 다시 그려지는 모습에서나, 벼슬이 달렸고 긴꼬리를 가진 게 영락없이 색만 다른 봉황의 모습. 후한서 열전에서는 "주작은 곧 봉황을 일컫는 말이다"라는 구절이 나오기도 하고, 송대에 쓰인 기록에도 "주작은 봉황의 모습을 취한다"고 쓰여 있다. 때문에 공작새, 긴꼬리닭 등이 봉황과 주작 신화 모티프가 되어서 둘이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존재한다.
주오(朱烏), 적오(赤烏)라고도 불리며, 삼족오가 벼슬을 달고 긴 꼬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는 등 삼족오와도 혼합된 흔적이 나타난다. 태양이나 불과 관련된 이미지와 새라는 지점이 연결고리가 되어서 엮이게 된 듯.
예기사기에서는 주작이 아니라 주조(朱鳥)라고 써 놨다. 주작의 작(雀)이 참새 작이 아니라 새 전반을 가르키는 말로써 쓰였다는 것을 암시한다.
신화 상의 동물로써 새라는 점, 붉은색과 불과 관련된 점 등 서양의 불사조와 전반적인 이미지가 비슷해서인지 불사조 역시 주작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주작과 봉황영어식 번역어로서 본래는 서양의 불사조를 의미하는 단어인 피닉스(Phoenix)를 아예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불사조는 평소에는 딱히 불을 관장하거나 불을 다루는 능력을 가진 것도 아니고, 죽을 때 몸을 불살라 다시 태어나는 존재라서 따지고보면 전혀 다르다. 주작 역시 따로 부활 같은 능력이 묘사되지 않는데 불사조와 혼합되어서 부활 능력이 있다던가 하는 식의 설명이나 설정이 붙기도 한다. 반대로 부활 능력이 없는데도 봉황도 졸지에 불사조로 번역되어 있고. 신화상의 유래 역시 전혀 무관하다. 주작이나 봉황의 경우 옛 중국 신화산해경에서 유래되었지만, 피닉스는 이집트 신화의 불사조인 벤누(Bennu, Bnn)에서 유래되었다.
사실 이런 식의 혼합주의 경향은 다신교에서는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강 이미지나 겉모습의 묘사, 연상되는 연결고리 등이 있으면 어느새 비슷한 존재로 여겨져서 서로의 속성이 섞이고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4.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환상게임의 영향으로 대중매체에서는 꽤 덕을 본 편. 일본의 창작물만이 아니라 한국의 창작물에서도 영향이 이어져 꽤 대접이 좋은편이다. 다만, 중국의 창작물에서 현무와 세트로 청룡이 아닌 용보다도 아랫급으로 대접이 안 좋은 편이다.
적색청색이라는 극명한 색채 대립 탓인지, 왠지 청룡과 라이벌 플래그를 세우고 있으며, 주작이나 청룡 중 하나는 꼭 반동 인물(Antagonist)이나 악역 기믹으로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탑블레이드, 태왕사신기, 디지몬 시리즈 등에서 그런 구도를 차용했다. 사실 방위로 봤을 때는 청룡의 반대편은 백호이고 주작의 반대편은 현무이다. 원전의 구도를 생각하면 주작의 라이벌은 현무가 되는 것이 맞다. 또 이런 클리셰를 사용한 작품 중 제일 오래된 것이 다름 아닌 환상게임. 환상게임을 고려하지 않으면, 이런 원전과 영 다른 생뚱맞은 클리셰가 정착된 이유를 설명할 수가 없다.
나머지 세 신수들이 대중매체마다 속성이 바뀌는 것에 비해 주작은 거의 모든 매체에서 불속성 하나로만 표현된다. 생김새로 보나 색으로 보나 불 외에는 표현할만한 게 없기 때문.
한국 창작물에서도 꽤 비중을 먹고 있다. 천랑열전나우사신무에서는 공격기가 없다시피 하지만 다른 기술들의 바탕이 되는 면에서 오히려 차별화된다(후술). 또한 수요전의 주인공은 현무왕이지만 최종보스가 주작왕이다.
  • 둥굴레차!주은찬, 주화란
  • 가면라이더 가이무의 오버로드 인베스 듀듀온슈
  • 가메라 시리즈의 4신도 모티브를 기반으로 가메라가 현무라면 이리스가 바로 주작.
  • 강철전기 C21, 코즈믹 브레이크 - 주작, 주작 바스카
  • 거상신수 주작
  • 만화 귀신별곡의 주작은 백호에게 한입거리도 안되는 존재로 등장. 다만 그 이유가 주작은 본디 모습의 부엌신(흑계)이 인간들의 음기를 받아 봉황이 된 것에 비해 백호는 과거 그 흑계를 낚아 흑계가 거의 다 모은 운을 먹튀한데다가 본디 사람들의 운명을 정해주는 운명신이기 때문이다.
  • 꾸러기 수비대적색의 쥬켄
  • 만화 주작의 활의 주인공 스루가 요스케의 신기가 주작의 활이다. 그것도 어떤 의미로 보면 신기들 중 최강...
  • 디지몬 시리즈주작몬도 이 주작이 모티브.
  • 몬스터길들이기 - 화사
  • 무한전기 포트리스 - 디그&다그
  • 바람의 나라에서는 무휼의 누나 세류공주의 신수로 등장한다. 과거 아직 어린아이였던 세류를 보고 반해 인간으로 화해 그와 혼인하였으나, 천기를 거스르고 한 일이라 짧은 시간동안 급속히 늙어버려 인간으로서의 그는 숨을 거두었고, 이후 세류의 신수가 되었다. 후에 부여정벌 당시 중상을 입은 괴유를 돕기 위해 무리하게 소환하다 세류가 부상을 입고 신기를 잃어버리면서 그 후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 바람의 나라(게임) - 신수변신 주작, 환수 주작이 존재한다.
  • 수리검전대 닌닌저의 호우호우 마루가 주작 모델인 오토모닌이다.
  • 스낵월드 트레져러스 - 마카로 마운틴의 정상[1]에서 보스로 등장. 근데 그냥 주작이 아니라 닭처럼 퉁퉁한 주작인 게 함정.
  • 액셀 월드에서는 제성을 수호하는 4마리의 초(超)급 에너미, 즉 사(四)신 중 하나로 등장하며, 동시에 사신 중 등장 비중이 가장 크다. 비행형이며, 존재 자체가 어마어마하게 큰 파괴의 심의 덩어리로 묘사될 정도로 성깔이 꺼칠하고 강력하다. 여기다 우리의 주연들이 눈앞에 나타날 때마다 계속 놓쳐서 그런지(...)[2] 여간 이를 득득 갈고 있는 게 아니다.
  • 오버워치의 캐릭터 메르시전용 스킨으로 등장.
  • 월화의 검사 1에서는 주작의 수호신인 카가미 신노스케가 지옥문을 열어 인간을 멸망시키려는 최종보스로 등장한다. 스토리상 이를 막는 것이 청룡의 수호신인 카에데.
  • 유유백서 - 주작(유유백서). 네 마리의 범죄자 집단 사성수의 리더로 등장한다.
  • 이누야샤 극장판 4편 홍련의 봉래도 - 흉라
  • 여신전생 시리즈 - 주작
  • 인피니티의 동양풍 진영 유징 제국 소속 한국인 충격 보병대 주작대의 유래.
  • 천랑열전나우에 등장하는 사신무에 주작의 기술은 보법이나 화경[3] 등의 회피기술이 위주라서 공격기가 거의 없고, 다른 사신들이 가지고 있는 칠연격이 없다. 때문에 사극성연중붕격이라는 기술도 주작이 빠진 21연격. 안습. 연격을 하기 위한 보법이 주작이긴 하다.
  • 퍼즐앤드래곤 - 주작을 모티브로 한 몬스터인 레이란이 등장. 자세한 것은 퍼즐앤드래곤/몬스터 개요/사방신 참고.
  • 포켓몬스터 - 토네로스의 영물폼은 주작을 모티브로 했다. 그러나 색이 초록색 + 하얀색[4][5]이라 주작처럼 보이지 않는다(...).
  • 큐라레: 마법 도서관 - 슈퍼 레어 등급의 회복계 4성 마도서로 등장. 그런데 스킬명이 조작이다.
  • 탑블레이드 시리즈의 등장인물 히와타리 카이의 팽이 드랜져와 그 후속 기종들에는 주작이 깃들어있다.
  • 태왕사신기 - 주작이 분노에 의해 폭주한 흑주작, 수지니
  • 웹툰 플로우에서 사방신 중 하나로 등장하며, 주작이 태어날 때 주작의 도시에서 화산이 폭발한다 하여 취급이 매우 좋지 않다. 사방신 중 유일하게 죽은 사람을 살릴 수 있으나, 그 대가로 신은 다음 주작의 아이가 태어날 때까지 죽은 채로 있게 된다.
  • 터닝메카드 - 마스터(터닝메카드)의 투사체인 주작, 윙피닉스(터닝메카드)
  • 환상게임 - 이 만화의 등장인물이자 여주인공인 유우키 미아카[6]가 주작의 무녀이다.
  • SHOW BY ROCK!! 시리즈 - 이명부터가 '데스 피닉스 죠' 싸울때마다 손에서 불꽃을 쏘는 모습이 보인다.
  • SD건담 삼국전 - 조조 건담
  • Yes! 프리큐어 5 - 바바로아 여왕

[1] 정확히는 '방황의 산꼭대기'다.[2] 6권에서는 아더 메이든을 데리고 튀는 실버 크로우를 태워버리려다 제성 안에서 트리리드 테트록사이드(=아주르 에어)가 작은 틈새를 만들어 그 안으로 도망쳐서 실패, 8권에서는 다시 제성 밖으로 나가는 실버 크로우를 공격했다가 블랙 로터스스카이 레이커를 데리고 우주로 날아가는 실버 크로우를 쫓다 역으로 털릴 뻔하면서 또 실패, 18권에서는 다시 제성으로 들어가는 실버 크로우, 스카이 레이커, 메타트론을 잡아 족치려다 메타트론한테 쓴소리 들으면서(...) 또X2 실패, 19권에서는 네가 네뷸러스 멤버에 추가된 아주르 에어와 함께 탈출하는 걸 또 놓쳐서 또X3 실패(...).[3] 적의 공격을 흘리거나 되돌려주는 등의 카운터 격의 기술[4] 더군다나 주작이 모티브면 불꽃 타입이 붙을 법한데 단일 비행타입이다.[5] 이는 던지미/타격귀와 토네로스/볼트로스가 일본의 전래동화인 빨간 도깨비 파란 도깨비의 컨셉이 겹쳐 던지미/타격귀가 색을 가지고 토네로스/볼트로스가 뿔을 가졌기 때문이다. [6] 청룡의 무녀인 혼고 유이와는 절친한 친구 사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