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

 

1. 개요
2. 메모광
2.1. 실제 인물
2.2. 가상 인물
3. 메모 프로그램


1. 개요


'Memo'는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내용을 적은 글 또는 그 행위를 말한다. 'memorandum'의 줄임말로, 라틴어로 ‘기억하다’인 'memorare'를 어원으로 한다.[1] 한자어로는 '비망록'(備忘錄)라고 한다.
사무 용도로 적는 글의 일종으로, 목적 지향적이고 구조화된 양식을 띈다. 기억하기 위해선 최대한 많은 내용을 담는 게 좋으나, 시간과 공간의 한계가 있기에 핵심만 요약해서 적게 된다.
인간의 기억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메모를 통해 이 한계를 극복하면 생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자기개발서에서도 매번 메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습관이 되기 전까지는 무척 귀찮고 메모했다는 사실조차도 까먹는 경우가 많다.
이재영 교수는 강연과 저서에서 반복하여 노트쓰기를 통해 천재성을 자신의 안에서 꺼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물론 뇌과학적으로 검증된 바는 아니다. 다만 투입과 산출의 반복이라는 검증된 방식의 일종이라 여길 수도 있다.
최근에는 누군가가 본의 아니게 자신의 비밀이나 은밀한 취향 등을 입 밖에 꺼냈을 때 "△△△ 메모" 등의 드립 용도로도 쓰인다.

2. 메모광


메모를 열심히 하는 사람을 메모광이라 부른다.

2.1. 실제 인물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생전에 10만여 점의 데생과 6000여 쪽이 넘는 방대한 글을 남겼다. 실험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정교한 그림, 실험결과 분석 등으로 채워져 있다.
  • 베르나르 베르베르 - 매일 아침 일어나면 지난밤에 꾼 꿈을 수첩에 적어 둔다. 나중에 이 수첩은 작품의 좋은 소재가 된다고 한다.
  • 에디슨 - 보거나 들은 건 뭐든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노란 표지의 노트에 곧바로 옮겨 적었다. 그렇게 평생을 기록한 메모노트가 3400권이나 발견되었다.
  • 이하윤 - 메모광이라는 수필까지 남겼다.
  • 정약용 - 18년의 유배생활에서 600여 권의 저술을 남겼다. 저술 분야는 정치, 지리, 의학, 철학 등 특정 분야에 한정되지 않았다. 늘 필기구를 지니고 다녔으며 깨달음이 있으면 반드시 기록했다.
  • 허영만 - 항상 수첩과 필기구를 가지고 다닌다.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라고. 심지어 술자리에서 친구들과 농담하다가 한 이야기를 고추장과 나무젓가락으로 냅킨에 쓴 적도 있다고(...). 젊은 시절에는 꿈에서 본 아이디어를 잠에서 깨어나자마자 눈도 안 뜨고 바로 적어내려갔다고

2.2. 가상 인물



3. 메모 프로그램



3.1. 삼성 기본 애플리케이션



"메모"는 삼성전자가 자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모'용 이다.
실은 호환성과 동기화 기능에 문제가 있어 말이 많은 이다. 과거 기기별로 호환이 안 되는 건 기본이고, 심지어 같은 갤럭시 S 시리즈끼리도 호환이 안돼서 삼성 Kies를 이용한 동기화는 물론 삼성 계정을 이용한 동기화도 제대로 되지 않았던 흑역사가 있었다. 이 외에도 메모 개수에 제한이 있다거나, 하이퍼링크를 지원하지 않는다거나, 스크롤이 매끄럽지 못하다거나 하는 문제점들이 존재했다. 다만 2015년에 발매된 갤럭시 S6 이후부터는 이런 문제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파생형으로 갤럭시 S III 이상의 갤럭시 S 시리즈에 쓰이는 S메모(원래 갤럭시 노트의 기본 메모 앱이었으나 후술할 S노트가 추가되면서 노트 시리즈에서는 사실상 버려졌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 쓰이는 S노트(갤럭시 노트 ICS 업그레이드 때 추가, 갤럭시 노트 II에서는 기존의 S메모를 없애고 S노트로 완전히 대체했다.)가 있는데 이건 손글씨 및 간단한 그림 용도이다.
갤럭시 S II 계열 기종들은 젤리빈 업데이트 이후에도 S메모가 아닌 기존의 "메모" 앱을 그대로 유지해버려서 이에 대한 불만도 많았다.
현재, S노트와 "메모"가 '''삼성 노트로 통합'''되었고, 삼성계정을 통한 연동이 가능하다.

3.2. iPhone기본응용프로그램






[1] 같은 어원의 관용 표현으로 메멘토 모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