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장

 

本部長. 영어로는 보통 Director로 표시한다. 정부명칭상 정부기관의 본부장은 Deputy Minister
1. 개요
2. 양상
2.1. 기업


1. 개요


본부의 으뜸을 말한다.

2. 양상


  • 군대: 육군본부해군본부, 공군본부에선 본부장이 아닌 각군 참모부의 총괄자로서의 명칭[2]참모총장이 으뜸이다.
    • 중장: 합참 작전본부장,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국방정보본부장
    • 준장: 국방부 조사본부장, 국방시설본부[1]
  • 공무원
    • 국무총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중대)
    • 차관급: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미약)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고공단 가급 (1급): 대부분의 중앙부처의 본부장(예: 국가수사본부장, 교정본부장, 경기소방재난본부장, 서울소방재난본부장, 부산소방재난본부장, 감사원 공직감찰본부장(고위감사공무원단 가급)).
    • 고공단 나급 (2급): 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인천, 충남, 전남, 경북, 강원, 경남의 소방본부장(예: 인천소방본부장), 중앙119구조본부
    • 고공단 나급 (3급): 충북, 대전, 세종, 전북, 광주, 대구, 울산'의 소방본부장, 경기북부소방본부장, 제주/창원소방본부장
    • 4급: 부산광역시 서울본부장(광역지자체의 파견연락소 역할이다. 명칭은 사무소, 본부)[3]
1~6급으로 나뉜 공공기관의 경우, 1급은 '지역본부장 및 본부 실장', '60명급 지사의 지사장'으로 나뉜다. 기관 규모에 따라 다르나, 큰 기관의 본부장은 500~800여명 규모의 조직을 관리한다.

2.1. 기업


주요 사업부서별로 본부로 정해놓는다. 드라마에서 재벌 3세들이 주로 보임되는 자리가 본부장, 실장, 팀장 자리이기도 하다. 본부장 대신 사업부 단위로 직제를 만든 뒤 사업부장으로 부사장을 앉히는 경우도 있다.
사실 회사 규모마다 달라서 정해진 것이 없지만 대기업에서는 대개 상무이사급인 경우가 많다.
  • 사장 급: 2014년 LG전자 한국영업본부장은 사장급이다.
  • 부사장 급: 2015년 포스코 철강사업본부장은 부사장급이다.
  • 전무이사급: 2015년 유한양행 사업지원본부장은 전무급이다.
  • 과장 급: 중견기업 중에는 15~20명 규모 부서의 부서장을 본부장이라 부르고 과장을 그 자리에 앉혀놓는 경우도 있다.

[1] 이 2개의 보직 모두 2019년 6월 기준 준장이 보임해있다. 예전에는 소장이 보임했다. 다만 국방부 조사본부장은 준장이 보임 도중 소장으로 진급 후 임기와 복무기간을 채우고 예편하는지라 변수는 있다.[2] 총수의 뜻인 검찰총장의 '총장'과는 다르다. 사무총장의 '총장'으로 총괄자의 뜻이다.[3] 소속은 부산시이지만 근무지는 서울시 영등포구이다. 1996년부터 서울사무소가 만들어져 2012년 서울본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