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령역
富寧驛 / Puryŏng Station
[clearfix]
함북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읍 소재.
역사서에 있는 '''4군 6진'''중 6진에 해당하며, 6진중 가장 먼저 건설된 진이다. 1417년 부거에 경성 도호부의 치소를 두었고 1432년 부거에 영북진을 설치하면서 부령이 된 것. 이 때문에 6진이 모두 설치되기 전에는 사실상 조선의 최북단이었으며, 부령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1449년이다.
1914년 부령군이 설정되면서 8면 56동을 관리했는데, 이 대부분의 면적이 현재의 청진시로 넘어가게 된다. 원래는 대략 1,900㎢에 달하는 엄청난 넓이를 가지고 있었으나 다 떼어주고 현재는 절반도 안 남은 790㎢만 관할하고 있다.
하위 행정구역이 가장 극심하게 변한 군 중 하나인데, 이는 앞서 언급했듯이 청진시에 상당한 면적을 넘겨준 것도 한몫한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에는 군청을 수성역 인근에 두고 있었는데, 부령군이 1960년에 통째로 청진시 부령구역으로 넘어가면서 군청이 없어졌다. 1970년에 부령군이 부활되었다가 고작 2년 후에 다시 폐지(...) 그리고 마침내 1985년에 부령군을 다시 신설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 이 과정에서 많은 행정구역을 청진시에 넘겨주고 인구 이동이 심해진 덕택에 현재 부령군은 고작 1읍 3로동자구 5리를 관할하는 미니 군이 되어버렸다. 인구로 치면 함경북도에서 뒤에서 두번째이며, 청진시의 '''1/13'''에 불과.
그나마도 대부분이 산지라서 사람이 사는 곳이라고는 그저 철도나 도로 인근에 사는 것이 전부. 그리고 그 대부분이 이 부령역 서쪽과 고무산역 인근에 몰려 있다. 부령역, 고무산역 그리고 부령군의 최남단인 석막역 인근의 민가를 싹 들어내면 부령군 인구의 90% 이상을 들어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고무산역의 경우 무산군과 회령시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이고, 석막역 바로 남쪽은 청진시 송평구역이라서 이쪽은 시가지에 가깝다. 그래서 인구가 많은 것. 뭐 그래봤자 석막역 인근의 경우는 고무산역 인근의 1/3 수준이지만.
역 서쪽으로 가로 2km, 세로 500m의 길이로 민가가 퍼져 있으며, 인근에 경작지라고는 없다. 그저 공장만이 몇몇 있을 뿐. 공장까지 인입선이 나 있으며 전철화된 것은 당연하다.
참고로 이 역이 한국전쟁당시 '''UN군이 도달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역'''이다. 1950년 11월 30일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이 부령~부거 지역까지 진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후 수도기계화사단은 장진호 전투개시와 동시에 후퇴명령을 받고 후퇴길에 올랐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거의 비슷한 위도에 있는 부거역도 대상에 해당되지만, 청진-나진간 선로가 1965년에 완공되었으므로 한국전쟁 당시는 부거역도, 선로도 없었다.
청진청년역 기점 35.5km.
[각주]
[clearfix]
1. 개요
함북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읍 소재.
역사서에 있는 '''4군 6진'''중 6진에 해당하며, 6진중 가장 먼저 건설된 진이다. 1417년 부거에 경성 도호부의 치소를 두었고 1432년 부거에 영북진을 설치하면서 부령이 된 것. 이 때문에 6진이 모두 설치되기 전에는 사실상 조선의 최북단이었으며, 부령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1449년이다.
1914년 부령군이 설정되면서 8면 56동을 관리했는데, 이 대부분의 면적이 현재의 청진시로 넘어가게 된다. 원래는 대략 1,900㎢에 달하는 엄청난 넓이를 가지고 있었으나 다 떼어주고 현재는 절반도 안 남은 790㎢만 관할하고 있다.
하위 행정구역이 가장 극심하게 변한 군 중 하나인데, 이는 앞서 언급했듯이 청진시에 상당한 면적을 넘겨준 것도 한몫한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에는 군청을 수성역 인근에 두고 있었는데, 부령군이 1960년에 통째로 청진시 부령구역으로 넘어가면서 군청이 없어졌다. 1970년에 부령군이 부활되었다가 고작 2년 후에 다시 폐지(...) 그리고 마침내 1985년에 부령군을 다시 신설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 이 과정에서 많은 행정구역을 청진시에 넘겨주고 인구 이동이 심해진 덕택에 현재 부령군은 고작 1읍 3로동자구 5리를 관할하는 미니 군이 되어버렸다. 인구로 치면 함경북도에서 뒤에서 두번째이며, 청진시의 '''1/13'''에 불과.
2. 역 정보
그나마도 대부분이 산지라서 사람이 사는 곳이라고는 그저 철도나 도로 인근에 사는 것이 전부. 그리고 그 대부분이 이 부령역 서쪽과 고무산역 인근에 몰려 있다. 부령역, 고무산역 그리고 부령군의 최남단인 석막역 인근의 민가를 싹 들어내면 부령군 인구의 90% 이상을 들어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고무산역의 경우 무산군과 회령시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이고, 석막역 바로 남쪽은 청진시 송평구역이라서 이쪽은 시가지에 가깝다. 그래서 인구가 많은 것. 뭐 그래봤자 석막역 인근의 경우는 고무산역 인근의 1/3 수준이지만.
역 서쪽으로 가로 2km, 세로 500m의 길이로 민가가 퍼져 있으며, 인근에 경작지라고는 없다. 그저 공장만이 몇몇 있을 뿐. 공장까지 인입선이 나 있으며 전철화된 것은 당연하다.
참고로 이 역이 한국전쟁당시 '''UN군이 도달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역'''이다. 1950년 11월 30일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이 부령~부거 지역까지 진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후 수도기계화사단은 장진호 전투개시와 동시에 후퇴명령을 받고 후퇴길에 올랐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거의 비슷한 위도에 있는 부거역도 대상에 해당되지만, 청진-나진간 선로가 1965년에 완공되었으므로 한국전쟁 당시는 부거역도, 선로도 없었다.
청진청년역 기점 35.5km.
[각주]